택배노조 "속도경쟁 안돼"…"새벽배송 필수" 청원은 1만명 돌파
노조 "소비자 편의 뒤에 희생…규제하고 구조 바꿔야·택배노동자 과로 대책 필요"
논란 속 새벽배송 유지 청원 동의도 빠르게 증가…내달 13일까지 5만 넘으면 심사

택배노동자 과로방지를 위한 서울지역 공동 기자회견
[촬영 김성훈 수습기자]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택배노조를 비롯한 단체들이 18일 택배노동자 과로를 막기 위한 대책을 촉구했다. 다른 한편에선 새벽배송 금지에 반대하는 국회 청원이 5일 만에 동의자 1만명을 넘겼다.
전국택배노조 서울지부와 서울민중행동 등은 이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과로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이들은 "쿠팡의 택배업 진출로 촉발된 '로켓배송', '심야배송', '365일 배송'은 택배사 간 속도 경쟁을 불러왔다"며 "심야 및 주7일 배송을 확산시키며 택배노동자들을 과로사로 내몰고, 택배사들은 이윤을 얻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소비자 편의와 산업 발전 뒤에 가려진 생명의 희생을 용납할 수 없다"며 "이윤을 위해 속도를 강요하고 노동자 생명을 위협하는 '심야배송'과 '365일 배송'이라는 구조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지난 9월 26일 출범한 3차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서 심야·휴일 배송 규제를 논의하고, 택배노동자의 수입 감소 없는 노동시간 단축을 실현하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 지난 13일 올라온 '새벽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은 공개 닷새 만인 18일 오후 6시30분 기준 1만350명의 동의를 얻었다.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이라고 소개한 청원인 최모씨는 "저희 부부와 같은 맞벌이는 장 보는 것도 새벽배송이 없으면 쉽지 않은 일"이라며 "새벽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또 "국민들의 삶과 밀접하고 많은 일자리와 연결된 산업에 대한 규제는 많은 고려와 논의가 필요하다"며 "무작정 금지하는 것은 더 큰 불편과 사회적 갈등을 가져올 뿐"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빠르게 동의수 21%를 넘긴 해당 안건은 다음 달 13일까지 5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으면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돼 심사를 받는다.
새벽배송을 둘러싼 논쟁은 지난달 22일 택배노조가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이유로 0∼5시 '초심야시간' 배송 제한을 주장하며 촉발됐다. 쿠팡 직고용 택배기사로 구성된 '쿠팡노조'와 소비자단체 등은 각각 일할 권리와 소비자 편익을 근거로 새벽배송 제한에 반대하고 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