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걷기만 해도 치매 진행 7년 늦춰진다…‘하루 5천 걸음’의 힘

문화·라이프
Author
KReporter
Date
2025-11-06 09:57
Views
237

THIS Japanese walking technique is better than HIIT, here's how | - Times  of India

 

미국 연구팀이 매일 걷는 걸음 수가 알츠하이머병의 인지 저하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특히 하루 5천~7천 걸음을 걷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 기능 저하 시점을 평균 7년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사추세츠종합병원 신경학자 와이-잉 웬디 야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300명 가까운 고령자를 9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 발표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은 모두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 단계에서 뇌 스캔을 통해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축적된 것으로 확인된 사람들이다. 이 단백질은 알츠하이머병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 하루 평균 3천~5천 걸음을 걷는 사람은 인지 저하가 약 3년 지연됐으며, 5천~7천 걸음을 걷는 사람은 7년 정도 늦춰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야우 박사는 “만약 평소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많다면, 조금만 활동량을 늘려도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며 “매일의 작은 움직임이 뇌 건강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걷기 활동이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 단백질 중 하나인 타우(Tau) 단백질의 축적 속도를 늦춘다는 점도 확인했다. 타우 단백질은 신경세포 간 연결을 방해해 기억력 저하와 혼란 증상을 유발한다.

다만 야우 박사는 “이번 연구는 걸음 수와 인지 기능 저하 사이의 연관성을 밝힌 것으로, 인과관계를 단정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운동이 왜 뇌 건강에 도움이 되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뇌 혈류 개선이나 염증 감소가 한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메이요클리닉 신경학자 로널드 피터슨 교수는 “방법론이 탄탄하고 흥미로운 결과지만, 특정 인종과 고학력층이 다수였다는 점에서 일반화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캔자스대 의대 존 시폴트 교수는 “평생 꾸준히 중등도 이상의 신체 활동을 해온 사람은 알츠하이머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단기간의 운동 프로그램보다 오랜 습관이 더 큰 예방 효과를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앞으로 걸음 수뿐 아니라 운동의 강도, 패턴, 종류가 알츠하이머 예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추가로 분석할 계획이다.

야우 박사는 “운동은 습관화하기 어려운 일일 수 있지만, 단 한 걸음이라도 더 걷는 것이 뇌를 지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KSEATTLE.com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78

걷기만 해도 치매 진행 7년 늦춰진다…‘하루 5천 걸음’의 힘

KReporter | 2025.11.06 | Votes 0 | Views 237
KReporter 2025.11.06 0 237
477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KReporter | 2025.07.15 | Votes 0 | Views 447
KReporter 2025.07.15 0 447
476

'대장 내시경, 45∼74세 10년 주기로'…대장암 검진 권고 바뀐다

KReporter | 2025.07.15 | Votes 0 | Views 582
KReporter 2025.07.15 0 582
475

한국 홍역환자, 작년의 1.4배…"베트남 등 해외여행시 주의"

KReporter | 2025.07.15 | Votes 0 | Views 301
KReporter 2025.07.15 0 301
474

블루베리 항산화 흡수 극대화하려면…무엇보다 'ㅇㅇ' 중요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843
KReporter 2025.06.23 0 843
473

가발없이, 흑채없이, 두피문신없이, 약 복용없이, 심는 시술없이! 나의 모발 회생프로그램

Soonri | 2025.04.01 | Votes 0 | Views 798
Soonri 2025.04.01 0 798
472

"아동 비만 부르는 '음식 중독'…감정·행동 문제와도 관련"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889
KReporter 2025.03.04 0 889
471

심장도 망가뜨리는 암…"암 환자 심장마비 위험 3.2배↑"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674
KReporter 2025.03.04 0 674
470

"만성 B형 간염 조기 치료해야 간암·사망 확률 낮춘다"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632
KReporter 2025.03.04 0 632
469

만사가 귀찮은 건 나이 탓?…"노인 우울증 의심해 조기치료해야"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643
KReporter 2025.02.27 0 643
468

"성격장애 있으면 자살 위험 7.7배…우울증보다 높아"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581
KReporter 2025.02.27 0 581
467

WHO, 엠폭스에 '최고 수준' 보건 경계태세 유지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479
KReporter 2025.02.27 0 479
466

"직장인 우울증 원인 1위는 남녀노소 불문 '직장 스트레스'"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425
KReporter 2025.02.27 0 425
465

여성 100명 중 1∼2명꼴 '조기폐경'…"당뇨병 위험↑"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391
KReporter 2025.02.21 0 391
464

"건강·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활방식·환경이 유전자보다 커"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362
KReporter 2025.02.21 0 362
463

비만약 된 당뇨병약 '위고비'…오남용과 부작용의 그림자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400
KReporter 2025.02.21 0 400
462

"암 생존자가 '이 음식' 끊었더니 사망률 낮아졌다"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370
KReporter 2025.02.14 0 370
461

암 발생률 2위 대장암…"40세前 비만 안되게 체중 증가 막아야"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297
KReporter 2025.02.14 0 297
460

겨울철 단골손님 '요추염좌'…"따뜻하게 입으세요"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263
KReporter 2025.02.14 0 263
459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가역치료 실험으로 증명

KReporter | 2025.02.05 | Votes 0 | Views 354
KReporter 2025.02.05 0 354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