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

李대통령 '정상외교 슈퍼위크'…아세안·APEC, 美中日과 연쇄회담

정치
Author
KReporter
Date
2025-10-24 07:22
Views
13

美·中·日 정상 경주로 집결…"능동적 플랫폼 외교로 새로운 도약"

미중 정상회담 '빅이벤트' 주목…'깜짝' 북미회담 가능성에도 촉각

UAE 왕세자·IMF 총재도 경주行…APEC 의장국으로 AI·인구변화 담론 주도

아세안에선 캄보디아와 정상회담…'스캠범죄' 공조방안 모색




왼쪽부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왼쪽부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로이터=연합뉴스·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다음 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로 이어지는 '정상외교 슈퍼위크'를 맞이한다.

특히 APEC을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은 물론 전 세계 이목이 쏠린 미중 정상회담까지 연쇄적으로 열리는 만큼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취임 후 가장 중요한 외교무대를 맞닥뜨린 것으로 볼 수 있다.

미중 갈등 속에 빨라지는 세계 무역질서 재편, 이와 맞물린 한미 관세협상 문제 등 대외적으로 험난한 도전이 이어지는 시점에서 이 대통령이 이 관문을 어떻게 통과하느냐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 전반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 美·中·日 정상 경주로…한미회담서 '관세' 성과 낼까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내주 아세안·APEC 정상회의 일정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APEC 의장국으로서 능동적 플랫폼 외교 전개를 통해서 유엔 총회 계기 본격 복원된 정상외교의 새로운 도약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 관심이 쏠려있는 일정은 31일부터 내달 1일까지 예정된 APEC 정상회의다. 그중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행보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모두 국빈방문 형태로 방한한다. 미국과 중국 정상이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국빈방문 일정을 소화하는 것은 처음이다.

위 실장은 특히 "미국과는 역대 최단기간 내에 정상 간 상호방문을 완성했다"며 "중국 정상의 방문 역시 11년 만으로, 한중 관계 복원의 기반을 마련하는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 일정을 살펴보면 우선 한미 정상회담은 29일 오후에 예정돼 있다.

무엇보다 그동안 좀처럼 마침표를 찍지 못했던 한미 관세협상, 동맹 현대화를 포함하는 안보 패키지 협상 등에서 양 정상이 '톱다운' 논의를 거쳐 가시적 성과를 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다만 이 대통령은 최근 공개된 미국 방송사 CNN과의 인터뷰에서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통상협상을 타결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조정·교정하는 데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며 예상보다 협상이 길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중 정상회담은 내달 1일로 예정돼 있다.

이날 열리는 APEC 폐막식에서 이 대통령이 다음 정상회의 개최국인 중국의 시 주석에게 의장직을 인계하고, 당일 오후 양 정상이 곧바로 회담을 갖는다.

미중 갈등 속에 한중 관계를 어떻게 관리해내느냐가 이 대통령의 숙제다.

위 실장은 "한중 정상회담에서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키는 방안에 더해, 한반도 이슈와 북한 이슈 및 주변 정세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중 정상회담은 한미 정상회담과 한중 정상회담 사이인 30일에 열린다.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이 통상 갈등 해결을 위한 물꼬를 튼다면 세계 경제 전반에 그 파급력이 적지 않은 만큼 회담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한일 정상회담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위 실장은 "회담을 준비하는 중이며 실무선에서 날짜가 좁혀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신임 일본 총리와 조기에 대면 교류를 하면서 긍정적인 한일관계 흐름이 유지될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전격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위 실장은 "저희가 아는 바로는 북미 간 새로운 동향은 없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서류 체크하며 출근하는 이재명 대통령

서류 체크하며 출근하는 이재명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서류를 체크하며 출근하는 모습을 23일 SNS에 공개했다. 2025.10.23 [이재명 대통령 SNS. 재판매 및 DB 금지] superdoo82@yna.co.kr




 

◇ APEC 의장국으로 AI 등 '미래 이슈' 담론 주도…UAE 왕세자 방한

이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29일)과 한중 정상회담(1일) 사이에도 APEC 정상회의 의장으로서 다양한 외교 일정을 소화한다.

우선 본회의 개막 전인 29일 오전에는 'APEC CEO(최고경영자) 서밋' 개막식에 특별 연사로 참여한다.

이튿날인 30일에는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를 포함해 APEC 정상회의장에서 여러 참가국 정상과의 양자 회담을 가질 계획이다. 캐나다와의 정상회담에서는 잠수함 수주 건을 포함한 방산 협력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31일에는 APEC 정상회의 본회의가 개막한다.

제1세션에서는 '더욱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세계를 향하여'라는 주제 아래 무역 및 투자 증진 협력 방안이 논의된다.

특히 여기엔 APEC 21개 회원국 경제단체 외에도 아랍에미리트(UAE) 칼리드 아부다비 왕세자,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참석한다.

이 대통령은 제1세션이 끝난 뒤 APEC 기업자문위원회(ABAC) 위원들과 오찬을 하며 건의 사항을 청취하고, 오후에는 APEC 회원 경제 지도자, 기업인, 내외빈을 초청한 환영 만찬에 참석한다.

본회의 마지막 날인 내달 1일 오전에는 '미래의 변화에 준비된 아시아 태평양 비전'을 의제로 인공지능(AI) 발전, 인구 구조 변화 등 새로운 경제 흐름을 주제로 토의하는 제2세션이 진행된다.

아세안, APEC 일정에 쏠린 관심



아세안, APEC 일정에 쏠린 관심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24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취재진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의 이재명 대통령 아세안 순방 및 APEC 정상회의 일정 관련 브리핑을 취재하고 있다. 2025.10.24 superdoo82@yna.co.kr




◇ 아세안 찾아 '스캠대응' 논의도…日총리 첫 대면 주목

APEC에 앞서서는 이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특히 현지에서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전략적 동반자 관계의 발전과 온라인 스캠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이어 열리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안의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곧바로 진행되는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는 아세안과 한중일 3국 간의 협력 강화를 강조할 방침이다.

오후에는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와의 정상회담이 예정됐다.

이 자리에서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 심화와 무역 투자, 인프라, 방위산업 등 실질적인 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의 이번 방문을 통해 ▲ 정부의 아세안 중시 기조 재확인 및 포괄적 전략 동반자관계의 발전 방향 제시 ▲ 아세안과 한중일의 다층적 지역 협력 견인 ▲ 정부 한반도 정책에 대한 아세안의 지지 확보 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회의에는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신임 총리도 참석할 것으로 보여, 이 대통령과의 첫 대면이 이뤄질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1565

New 李대통령 '정상외교 슈퍼위크'…아세안·APEC, 美中日과 연쇄회담

KReporter | 07:22 | Votes 0 | Views 13
KReporter 07:22 0 13
1564

New 캄보디아 피싱조직 '마동석'팀 조직원 뒤늦게 "죄송" 선처요청

KReporter | 07:21 | Votes 0 | Views 11
KReporter 07:21 0 11
1563

李대통령 "가능성 크지 않지만 北美 만난다면 환영·적극 지원"

KReporter | 2025.10.23 | Votes 0 | Views 19
KReporter 2025.10.23 0 19
1562

李대통령 "초국가 범죄에 총력 대응"…정부 특별대응본부 설치

KReporter | 2025.10.23 | Votes 0 | Views 18
KReporter 2025.10.23 0 18
1561

빨라지는 발걸음…韓美 정상회담서 '관세·안보 합의문' 나올까

KReporter | 2025.10.22 | Votes 0 | Views 30
KReporter 2025.10.22 0 30
1560

"가구공장 알바 하러"…캄보디아 송환 피의자들 '조직적 거짓말'

KReporter | 2025.10.22 | Votes 0 | Views 33
KReporter 2025.10.22 0 33
1559

李대통령 "투기수요 철저히 억제…가용 정책수단 집중 투입"

KReporter | 2025.10.21 | Votes 0 | Views 22
KReporter 2025.10.21 0 22
1558

김용범·김정관, 내일 다시 방미…APEC 前 관세협상 접점 찾나

KReporter | 2025.10.21 | Votes 0 | Views 22
KReporter 2025.10.21 0 22
1557

李대통령 "국방을 어딘가 의존해야 한다는 생각, 납득 어려워"

KReporter | 2025.10.20 | Votes 0 | Views 31
KReporter 2025.10.20 0 31
1556

캄보디아로 향한 한국인, 매년 2천∼3천명씩 안 돌아왔다

KReporter | 2025.10.20 | Votes 0 | Views 38
KReporter 2025.10.20 0 38
1555

세탁소에 술집까지 갖춘 캄보디아 범죄단지…"작은 왕국"

KReporter | 2025.10.17 | Votes 0 | Views 57
KReporter 2025.10.17 0 57
1554

안규백 "오산기지 특검 압수수색, 미국과 협의할 사안 아냐"

KReporter | 2025.10.17 | Votes 0 | Views 40
KReporter 2025.10.17 0 40
1553

캄 총리, 韓대표단에 "스캠단속 강화…한국인 보호 더 노력"

KReporter | 2025.10.16 | Votes 0 | Views 33
KReporter 2025.10.16 0 33
1552

행안장관, APEC 준비 현장 점검…"韓역량 보여줄 기회"

KReporter | 2025.10.16 | Votes 0 | Views 34
KReporter 2025.10.16 0 34
1551

악몽의 캄보디아 범죄단지 고문실…"전기충격기로 지지고 짐승취급"

KReporter | 2025.10.15 | Votes 0 | Views 43
KReporter 2025.10.15 0 43
1550

정책실장·산업장관 동시 방미…한미 APEC 임박 속 합의점 찾나

KReporter | 2025.10.15 | Votes 0 | Views 37
KReporter 2025.10.15 0 37
1549

"하루 한명 사망"·"안구적출"…캄보디아 '웬치'선 무슨 일이

KReporter | 2025.10.14 | Votes 0 | Views 54
KReporter 2025.10.14 0 54
1548

李대통령 "한번 빚지면 평생 쫓아와…금융이 너무 잔인하다"

KReporter | 2025.10.14 | Votes 0 | Views 39
KReporter 2025.10.14 0 39
1547

국힘 원로 "민주주의 무너져…유승민·이준석·한동훈 함께해야"

KReporter | 2025.10.13 | Votes 0 | Views 38
KReporter 2025.10.13 0 38
1546

캄보디아서 韓대학생 고문사망 이어 추가 납치신고…30대 연락두절

KReporter | 2025.10.13 | Votes 0 | Views 41
KReporter 2025.10.13 0 41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