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

李대통령 "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END'로 한반도대결 종식"

세계
Author
KReporter
Date
2025-09-24 07:57
Views
20

유엔총회 기조연설…"비핵화 단기간 해결 어려워, 실용적·단계적 해법"

"남북 교류협력 확대…북미관계 포함 국제사회와의 관계 정상화 지지"

"대한민국 국제사회 복귀 당당히 선언…친위쿠데타로 민주주의 못 꺾어"

"다자주의 협력해야…韓거주 내외국인 모두 존중받도록 제도 개선"

이재명 대통령, 유엔 기조연설




이재명 대통령, 유엔 기조연설

(뉴욕=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9.24 xyz@yna.co.kr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대한민국은 'END 이니셔티브'로 한반도 냉전을 끝내고 세계 평화에 기여하기 위한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7번째 순서로 나서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한반도 평화 구상을 소개했다.

이 대통령이 제시한 'END'는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의 약자다. 이 대통령은 "'END'를 중심으로 한반도에서의 적대와 대결의 시대를 종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첫 단계인 '교류'에 대해서는 "교류와 협력이 평화의 지름길이라는 것은 굴곡진 남북 관계의 역사가 증명한 불변의 교훈"이라며 "교류 협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지속가능한 평화의 길을 열겠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관계 정상화'에 대해서도 "남북의 관계 발전을 추가하면서 북미 사이를 비롯한 (북한과) 국제사회의 관계 정상화 노력도 지지하고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마지막 '비핵화'와 관련해서는 "엄중한 과제임이 틀림없지만,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렵다는 냉철한 인식의 기초 위에 현실적으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대한 '중단'부터 시작해 '축소'의 과정을 거쳐 '폐기'에 도달하는 실용적·단계적 해법에 국제사회가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자신이 제안한 '3단계 비핵화론'을 다시 꺼내 들었다.

이 대통령은 이 같은 평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남북 간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상호존중의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상대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떤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도 할 뜻이 없음을 다시 분명히 밝힌다"며 "이 세 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우선 남북 간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과 적대 행위의 악순환을 끊어내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李대통령 "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END'로 한반도대결 종식"(종합) - 2

유엔 총회 기조연설하는 이재명 대통령



유엔 총회 기조연설하는 이재명 대통령

(뉴욕=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9.24 xyz@yna.co.kr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했음을 당당히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지난 겨울,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은 '빛의 혁명'을 이뤄냈다"며 "친위쿠데타로도 민주주의와 평화를 염원하는 대한국민의 강렬한 의지를 꺾을 수는 없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는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기도 했다. 대한민국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의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을 함께할 모든 이에게 '빛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회 앞 빼곡한 응원봉 불빛



국회 앞 빼곡한 응원봉 불빛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응원봉을 흔들고 있다. 2024.12.14 ksm7976@yna.co.kr




국제사회가 당면한 공통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자주의적 접근'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같은 문제를 겪는 모든 국가가 함께 머리를 맞대는 '다자주의적 협력'을 이어갈 때 평화와 번영의 밝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려운 시기일수록 유엔의 기본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더 협력하고, 더 신뢰하고, 더 굳게 손잡아야 한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자주의적 협력의 길에 대한민국이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내외국인 모두가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삶의 모든 현장에서 존중받도록 제도와 문화를 발전시키려 한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 등 국경 간 이동 및 이에 따른 비자제도 문제가 화제로 떠오른 시점에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인공지능(AI) 안보 기술에 대한 국제사회의 적극적 협력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다음 달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한 AI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자 한다"며 "'모두를 위한 AI'가 국제사회의 뉴노멀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연설을 마치면서 "서로 다른 나라의 국민이 협력하며 전 지구적 도전을 함께 헤쳐 나가는 미래가 꿈 같은 장밋빛 전망처럼 들릴 수 있지만, 이는 결코 불가능하지 않다"고 역설했다.

이재명 대통령, 유엔 도착



이재명 대통령, 유엔 도착

(뉴욕=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기조연설을 위해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 도착하고 있다. 왼쪽은 조현 외교부 장관. 2025.9.24 xyz@yna.co.kr




특히 "국경과 언어, 문화적 차이를 넘어 K컬처가 전 세계인을 하나로 연결하고 있다"며 "이는 인류의 보편적인 공감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한다"고 언급했다.

또 "대한민국은 새 역사를 향해 나아갈 준비를 마쳤다. 대한민국 국민이 들었던 오색빛 응원봉처럼 국제사회와 유엔이 희망의 등불을 들어달라"며 "한반도의 새 시대를 향해, 함께하는 더 나은 미래의 길을 향해 대한민국이 맨 앞에서 담대하게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1523

New 李대통령, 美월가 찾아 '코스피 5000' 비전 알리고 투자 세일즈

KReporter | 07:30 | Votes 0 | Views 14
KReporter 07:30 0 14
1522

New 국회 투표서 명패수가 더 적자…국힘 "부정"·與 "국힘이 한것"

KReporter | 07:29 | Votes 0 | Views 15
KReporter 07:29 0 15
1521

李대통령 "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END'로 한반도대결 종식"

KReporter | 2025.09.24 | Votes 0 | Views 20
KReporter 2025.09.24 0 20
1520

檢총장대행 "검찰 지우면 개혁 오점"…법무장관 "발언 부적절"

KReporter | 2025.09.24 | Votes 0 | Views 22
KReporter 2025.09.24 0 22
1519

'첫 공개' 대통령실 특활비 집행내역 보니…외교·인사분야 집중

KReporter | 2025.09.23 | Votes 0 | Views 29
KReporter 2025.09.23 0 29
1518

서울 도심 활보한 혐중시위…원색적 욕설에 몸 피한 中관광객

KReporter | 2025.09.23 | Votes 0 | Views 32
KReporter 2025.09.23 0 32
1517

李대통령 "관세 조속해결…통화스와프 없이 美요구 수용시 금융위기"

KReporter | 2025.09.22 | Votes 0 | Views 37
KReporter 2025.09.22 0 37
1516

'초등생 살인' 교사 명재완에 사형 구형…"잔혹하게 살해"

KReporter | 2025.09.22 | Votes 0 | Views 48
KReporter 2025.09.22 0 48
1515

현대차 사장 "미 車관세 15% 적용 조속한 한미 합의 기대"

KReporter | 2025.09.19 | Votes 0 | Views 56
KReporter 2025.09.19 0 56
1514

특검, 국힘DB 압수수색…통일교인 추정 당원 11만명 명단 확인

KReporter | 2025.09.19 | Votes 0 | Views 56
KReporter 2025.09.19 0 56
1513

李대통령 "美 협상안 동의했더라면 탄핵…美와 함께·中도 관리"

KReporter | 2025.09.18 | Votes 0 | Views 53
KReporter 2025.09.18 0 53
1512

충돌로 막내린 대정부질문…"입법 독재"·"내란잔당이 발목"

KReporter | 2025.09.18 | Votes 0 | Views 48
KReporter 2025.09.18 0 48
1511

조희대 "李대통령 사건, 한덕수 등 누구도 논의 안해" 정면반박

KReporter | 2025.09.17 | Votes 0 | Views 43
KReporter 2025.09.17 0 43
1510

연합사령관, 中의 대만 포위훈련 언급하며 "위기상황서 동맹 중요"

KReporter | 2025.09.17 | Votes 0 | Views 41
KReporter 2025.09.17 0 41
1509

李대통령 "권력 원천은 국민…자기 것인 줄 착각 말아야"

KReporter | 2025.09.16 | Votes 0 | Views 50
KReporter 2025.09.16 0 50
1508

金총리 "올해 안에 남북미 만남 있으면 좋겠다는 기대 있다"

KReporter | 2025.09.16 | Votes 0 | Views 44
KReporter 2025.09.16 0 44
1507

대통령실, 한미 관세협상에 "협상기간·국익 꼭 연결되진 않아"

KReporter | 2025.09.15 | Votes 0 | Views 51
KReporter 2025.09.15 0 51
1506

"대법원장 사퇴" 與 사법부 압박 총공세…속끓는 법원 '침묵'

KReporter | 2025.09.15 | Votes 0 | Views 43
KReporter 2025.09.15 0 43
1505

"총구 들이밀고 밥은 쓰레기 같아"…참혹했던 美구금 증언

KReporter | 2025.09.12 | Votes 0 | Views 78
KReporter 2025.09.12 0 78
1504

법원장들 "사법개혁에 사법부 참여 필수…내란재판부 신중해야"

KReporter | 2025.09.12 | Votes 0 | Views 48
KReporter 2025.09.12 0 48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