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물가 또 상승…미국 평균과 보조 맞춰 ‘생활비 압박’ 심화
시애틀 지역 물가가 여름 동안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주민들의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있다. 미국 전역의 물가 흐름과 발맞춰 오름세가 나타났지만, 특히 에너지 비용에서 지역 특유의 압박이 두드러진다.
미 노동부가 1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시애틀·타코마·벨뷰 지역의 지난 8월까지 1년간 물가는 2.8% 상승했다. 이는 6월 기록보다 0.1%포인트 오른 수치다. 같은 기간 미국 전체 물가는 2.9% 올랐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치인 2%를 웃도는 수준이다.
어린이&반려견도 참여! 에드몬즈 옥토버페스트 9/19-9/20
합리적 가격대 WA 로컬 화이트와인 추천 리스트
펌킨 스파이스 라떼 컴백! 올가을 스타벅스 인기 메뉴는?
월급의 몇 %까지 가능? 모기지 마지노선은 ‘이 비율’
워싱턴주 최대 축제 Washington State Fair 08/29~09/21/25
스테이시 존스 시애틀대 경제학 교수는 “시애틀의 흐름은 전국적인 인플레이션 추세와 동일하다”며 “관세, 금리, 경기 전반 등 거시경제적 요인들이 지역에도 그대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시애틀 지역은 전국과 달리 에너지 비용이 빠르게 치솟고 있다. 1년간 에너지 가격은 7.3%나 뛰어 전국 평균 상승률(0.2%)을 크게 웃돌았다. 같은 기간 식료품, 의류, 가구, 중고차 가격도 뚜렷한 오름세를 보였다.
물가 불안을 키우는 요인으로는 관세 정책이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전 세계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했으며, 이로 인해 수입업자들이 부담한 비용이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되고 있다. 워싱턴주 재무관리국(OFM)은 “관세로 인해 향후 2029년까지 분기별로 2~3%포인트의 추가 물가 상승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압델무민 트라오레 OFM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관세가 워싱턴 주민들의 지갑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것임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지적했다.
다만 연방정부가 일부 국가에 면제와 유예 조치를 부여하고, 예비 무역협정을 추진하면서 실제 물가에 반영되는 규모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시애틀 지역은 원래도 소비재·서비스 가격이 미국 평균보다 높아 물가 상승 충격이 더 크게 체감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향후 관건은 연준의 금리 정책이다. 현재 기준금리(연방기금금리)는 4.25~4.5% 수준으로, 트럼프 행정부는 수개월째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물가 지표가 다시 상승세를 보이면서 연준이 인하 속도를 늦추고 점진적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Copyright@KSEATT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