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형마트들 “8월부터 식료품값 인상 불가피”…트럼프행정부 새 관세 여파
미국 내 식료품 가격이 오는 8월부터 본격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 행정부의 새로운 대규모 관세가 8월 1일부터 발효되면서, 이로 인한 비용 부담이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번 조치는 전 세계 수십 개국에서 수입되는 식품과 농산물에 25~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비영리 정책 연구기관인 ‘택스 파운데이션(Tax Foundation)’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 전체 식료품 수입액은 약 1,630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약 75%가 이번 조치의 영향을 받는다.
브라이언 켈리 시애틀대학교 경제학 부교수는 “특히 국제 식품을 취급하는 식료품점들이 타격을 크게 입을 것”이라며 “브라질 커피, 태국 쟈스민 쌀, 멕시코산 아보카도 같은 품목은 수입 대체가 어려운 데다 수요도 높기 때문에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번 관세는 다문화 지역이나 저소득층 밀집 지역에서 운영되는 중소형 마트들에 더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켈리는 “이런 마트들은 대형 유통업체에 비해 이윤율이 낮아, 원가 상승을 소비자 가격에 바로 반영할 수밖에 없다”며 “소비자들이 구매 습관을 바꿀지 여부는 가격 인상 폭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가 전체 식료품 물가를 평균 3~5%가량 끌어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여기서 끝이 아니라는 점이다. 켈리는 “비단 수입 식품뿐 아니라 국내산 식품도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며 “비료와 농기계 등에 부과되는 관세로 인해 생산 비용이 전반적으로 오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가 트랙터 등 농업 장비 가격을 장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이로 인한 식품 생산비 상승은 서서히 전체 물가 수준을 밀어올리는 구조적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소득 수준에 따른 영향도 우려된다. 켈리는 “관세는 사실상 역진적 조세(regressive tax)”라며 “소득이 낮은 사람일수록 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더 큰 타격을 입게 된다”고 경고했다.
일부 국가들이 막판에 협상을 통해 관세를 피할 수 있을 가능성도 거론되지만, 전문가들은 “완전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낮고, 일부 타협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실질적인 관세 발효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시애틀을 포함한 미 전역의 소비자들이 앞으로 장바구니 물가 상승을 얼마나 체감하게 될지, 또 그 여파가 경제 전반에 어떤 충격을 줄지 주목된다.
Copyright@KSEATTLE.com
(Photo: KING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