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게시판

불교의“육바라밀(六波羅蜜)과 기독교 육일 천지창조

작성자
새사람
작성일
2014-06-12 11:49
조회
579


불교의“육바라밀(六波羅蜜)”은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육일천지창조”(天地創造)와 동일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창세기에 육일동안 천지(天地)를 창조하신다는 뜻은 땅<지옥>에 속해 있는 인간의 존재를 하늘<천국>에 속한 존재로 창조하는데 육일(여섯 단계)이 소요 된다고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육바라밀(六波羅蜜)”은 지옥계에 살고 있는 중생들이 여섯 번 과정을 통해 천상계에 올라 부처<예수>가 되는 것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해탈<부활>하여 부처가 되기까지 수많은 고행을 겪으며 정진수행<연단>을 하였는데 그 과정을“육바라밀(六波羅蜜)”이라 말씀하고 있습니다, 중생들<인간들>이 “육바라밀(六波羅蜜)”을 반드시 행해야 하는 이유는 중생들이 살아가는 세계가 모두 동일한 세상이 아니라 사람의 영적 상태와 차원에 따라 여섯으로 분류된 세계 즉 육계<여섯 단계>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육계“는 육 차원<여섯 단계의 상태>의 세계를 말하는데 첫째 지옥계. 둘째 아귀계. 셋째 축생계. 넷째 수라계. 다섯째 인간계. 여섯째 천상계를 말씀하고 있습니다. 인간들이 처음에 머물고 있는 곳은 생로병사와 번뇌 망상의 고통이 계속되는 지옥계인데 지옥에서 벗어나 천상에 올라 ”부처”(예수)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육바라밀(여섯 번 거듭)을 행해야 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육바라밀첫째 보시 둘째 지계 셋째 인욕 넷째 정진 다섯째 선정 여섯째 지혜입니다. 이것은 부처님께서 무명의 중생들이 지옥에서 나와 천상에 이르러 부처<예수>가 되기까지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을 여섯 가지 길로 가르쳐 주신 것입니다. 그럼 불교에서 말하는 여섯 단계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날" 지옥계(물고기) ;지옥계에서 벗어나는 첫째 길-보시-지옥이라는 단어를 문헌에서 찾아보면 지하에 있는 감옥, 고통이 가득한 세계, 현생에 악업을 행 한자들이 사후에 고통 받는 곳. 지옥은 땅의 감옥에 갇혀 있다는 뜻으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진정한 의미는 사람의 혼이 육신 안에 갇혀 있다는 뜻입니다. 인간의 존재는 본래 흙으로 된 땅 인데 결국 해탈<부활>육신<땅>에 갇혀 있던 “혼“이 육신으로 부터 벗어나 자유자재 하는 존재들을 말하고 있습니다. 중생들은 자신 안에 있는 욕심. 즉 탐(貪)(욕심), 진(賑)(분 냄), 치(痴)(어리석음)때문에 항상 번뇌 망상의 고통과 생로병사의 윤회<돌고 도는>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결국 부처님께서 육계를 통해서 말씀하고 계신 지옥은 육신의 고통과 정신적인 고통 속에서 죽지 못해 살아가는 자. 즉 현생에서 지옥과 같은 삶을 살고 있는 존재들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옥도 다 같은 지옥이 아니라 여러 층으로 분류<나뉘어져> 되어 있습니다. 지옥에서 심한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들은 탐(貪), 진(賑), 치(痴)로 인한 삼재<세 가지 재앙>의 고통 속에서 지옥을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윤회<돌고 돌면서 살고 있다>죽고 또 태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지옥의 고통에서 영원히 벗어나려면 먼저 자신 속에 자리 잡고 있는 탐(貪)<욕심>,진(賑)<분 냄>,치(痴)<어리석음>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불행한 것은 불자들도 악업<죄>의 근원이 되는 탐<욕심>진<분 냄>치<어리석음>를 분명하게 모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탐(貪)이란 인간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욕심을 말하는 것이며 진(賑)이란 사람들의 성급한 성격. 즉 혈기로 인한 성냄을 말합니다.


그런데 무엇 때문에 욕심이 생겨나고 혈기가 일어나는가 하면 치(痴)때문에 일어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고통과 괴로움은 탐심과 성냄 때문에 일어나는데 탐(貪),진(賑)의 근원이 바로 치(痴)이기 때문입니다. 치(痴)란 인간의 어리석음을 가리키며 어리석음은 인간의 무지(無知)를 말하는데 “무지(無知)“는 진리를 모른다는 말입니다. 부처님<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무지(無知)“는 부처님의 말씀이나 부처님의 뜻을 모르는 것을 말합니다. 결국 부처님(예수님)의 뜻을 모르기 때문에 욕심을 내고 혈기를 부린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예수님>께서 이렇게 “무지(無知)“한 중생들을 가리켜 무명의 중생이라 말씀하시는데 무명이란 빛이 없다는 말씀이며 빛이 없다는 말은 곧 부처님(예수님)의 말씀이 없다는 뜻입니다. 이와 같이 지옥이란 진리의 빛이 없는 어둠속에서 악업<죄>으로 인해 고통 받고 살아가는 중생들의 세계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무명의 중생들이 지옥의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탐(貪), 진(賑), 치(痴)를 버리고 자비심을 가져야 합니다. 자비심이란 상대방을 이해하고 감싸며 긍휼과 사랑으로 가난한 이웃들을 돕고 베푸는 것입니다. 이렇게 중생들이 지옥에서 벗어나려면 육바라밀의 첫 단계이며 첫 관문인 보시<베 품>를 끊임없이 행해야 합니다.


 


그런데 부처님(예수님)께서 말씀하고 있는 보시는 자신이 복을 받기 위하여 욕심으로 하는 보시는 진정한 보시가 아니며 아무런 조건이나 사심 없이 진실한 마음으로 베푸는 것을 보시<베 품>라 말씀하고 있습니다. "둘째날" 아귀계(기는 짐승) ;아귀에서 벗어나는 둘째 길.-지계-아귀란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굶주려 음식을 미친 듯이 찾는 자. 기갈로 고통 받는 자. 음식에 걸신들린 자. 굶은 사람이 미친 듯이 밥을 먹는 것을 보면 아귀같이 먹는다는 말을 합니다. 즉 식탐이 많은 자들을 가리켜 아귀 같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옥에서 보시<베 품>행을 마치고 아귀계로 나온 자가 다시 식탐을 한다면 이치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지옥계에서 불우한 이웃을 돌보며 아낌없이 보시를 행하여 아귀계로 나온 자가 다시 식탐을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이들이 지옥에서 아귀계로 나온 것은 육신의 양식이 없어서 나온 것이 아니라 부처님(예수님)의 말씀을 찾아 나왔기 때문 입니다. 이렇게 아귀계에 있는 자들은 육신의 양식에 굶주린 자들이 아니라 부처님<예수님>의 말씀이 없어 걸신들린 귀신처럼 갈급한 마음으로 부처님의 말씀(진리)를 찾아 헤매는 자들을 말합니다. 이렇게 진리에 걸신들린 자들을 성경에서는 나그네 고아 과부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아귀계는 지옥에서 벗어난 자들이 천상에 오르기 위해 부처님의 계율<예수님의 율법>을 열심히 지키며 수행하는<훈련받는>자들을 말합니다.


 


이와 같이 아귀들이 원하고 찾는 것은 육신의 양식 혹은 이 세상의 지식이나 부귀영화가 아니라 오직 부처님(예수님)께서 주시는 계율이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그의 뜻대로 수행<훈련>하는 것입니다. 아귀<기는 짐승>들이 축생계<들짐승>로 나아가려면 부처님의 계율<예수님의 율법>을 받아 열심히 수행<훈련>정진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부처님(예수님)의 계율에 따라 강도 높은 훈련과 연단을 받지 않으면 지옥계에서 탐(貪), 진(賑), 치(痴)로 굳어진 마음이 절대로 부서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귀들은 삼독<세 가지 독>탐(貪), 진(賑), 치(痴)를 날마다 버리고 부처님의 계율<예수님의 율법>에 따라 수행정진을 하며 살아가는 자 들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아귀계에서 축생계로 거듭나는 길을 지계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셋째 날" 축생계;(걷는 짐승) 축생의 탈을 벗는 셋째 길.-인욕-축생은 실제 짐승들이 아니라 축생의 상태에 있는 중생들을 말합니다. 지금까지 지옥에 있는 중생들이 지옥에서 벗어나려면 보시를 열심히 행하여야 한다는 것과 아귀계로 나온 불자들은 부처님(예수님)께서 주신 계율<율법>십계<십계명>를 열심히 지키며 수행을 해야 아귀계에서 벗어나 축생계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축생계의 짐승들이 짐승의 탈을 벗고 인간이 된다는 것은 무척이나 힘들고 어려운 일입니다. 결국 축생의 상태에서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정의 훈련을 통과하여 축생의 속성과성품이 모두 죽어 없어질 때 부처님(예수님)의 속성과 성품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는데 이것을 부분적인 해탈(부활)이라 말합니다. 이와 같이 축생들이 축생의 탈을 벗고 인간이 되려면 반드시 인욕 즉 모든 굴욕을 참고 견디는 인내심이 있어야만 합니다. 그러데 육바라밀(六波羅蜜)을 수행하고 있는 축생들이 참고 인내해야 할 인욕은 그 무엇보다도 오염된 비 진리를 가지고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불자들이나 기독교인들로부터 오는 비난과 핍박을 견디어 내는 일입니다.


 


왜냐하면 부처님(예수님)의 오류 없는 진리는 불교나 기독교의 전통과 교리로 만들어진 비 진리와 항상 대적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오직 부처님(예수님)의 말씀만을 붙잡고 천상을 향해 달려가는 수행자들은 육신적인 고통을 참는 것 보다 비 진리를 소유하고 있는 전통기득권을 가진 불자들이나 기독교인들로 부터 오는 각종 핍박과 유혹을 참아 내기가 더 어렵고 힘든 것입니다. 이러한 인욕의 과정을 모두 마친 자라야 비로소 축생의 탈을 벗고 수라의 세계에 이르게 됩니다, "넷째 날" 수라계(축생) ;인간으로 해탈하는 넷째 길.-정진-수라라는 말은 아수라 라는 단어의준말로 싸우기를 좋아하는 귀신 이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수라의 뜻은 몸싸움이 아니라 수행자들이 전도 된 몽상과 탐, 진, 치로 인해 일어나는 번뇌 망상에서 하루속히 벗어나기 위해 자신과 싸우고 있는 자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육바라밀 중에 지옥, 아귀, 축생의 삼계를 형이하학적인 육신과 생각의 세계라면 수라, 인간, 천상의 삼계는 형이상학적인 정신과 마음의 세계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지옥, 아귀, 축생의 존재들은 육신과 생각을 정결케 하는 세계이며 수라계부터는 정신과 마음을 정결케 하는 세계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천성을 향해가는 수행자들은 자신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더불어 세상으로 부터 오는 각종 유혹과 싸우기 위해 항상 전쟁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수라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과 싸우고 있는 수행자들에게 가르쳐 주신길이 바로 정진입니다. 정진은 정력을 다하여 나아가는 것. 열심히 노력 하는 것. 악을 버리고 선을 닦는 것. 앞 만보고 달려가는 것. 모든 생각과 마음을 모두 내려 놓고 오직 한 생각과 한 마음으로 천상을 향해 진심으로 달려가라는 의미 입니다. 예수께서“양“치는 목자라는 것은 제자들의 영적상태가”양”수라계 축생들이기 때문입니다


 


"다섯째" 날 인간계;(여자,인간) 천상에 오르는 다섯째 길.-선정-사람들이 사는 곳. 중생들이 윤회 하는 곳. 사람의 세계를 말합니다. 그러나 부처님이 말씀하시는 인간이나 인간계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이 세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지옥-아귀-축생-수라의 세계를 벗어나 인간으로 해탈된, 즉 중생한 자들의 세계를 말하고 있습니다. 역학자들은 사람들이 이 세상에 태어날 때 각기 자신의 띠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모두 짐승의 띠를 가지고 태어나며 사람의 띠를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고 합니다. 이것은 이 세상에 태어나는 인간들의 외형은 모두 사람의 탈을 쓰고 있으나 인간 내면의 상태는 짐승들과 같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이 말씀을 통해서 불자들이나 기독교인들은 짐승의 상태에서 벗어나 진정한 인간이 된다는 것도 얼마나 힘들고 어렵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을 통해서 인간으로 중생하였다 해도 성불하여 부처(예수님)가 되려면 다시 인간계에서 벗어나 천상계로 올라가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부처님(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인간은 수라천상사이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행자들을 말하고 있습니다, 인간계에 있는 인간들이 천상에 오르려면 부처님(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선정을 해야 합니다 선정 이라는 단어의 뜻은; 사전에 차분한 마음을 가지고 명상 하는 것. 마음의 번뇌를 가라앉히는 것. 마음을 동요 시키지 않는 것인데 부처님께(예수님)서 말씀하시는 선정은 부처님의 마음에 이르기 위해 자신의 모든 생각을 버리고 마음을 닦아서 고요하고 청정한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처님(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선정은 조용히 앉아서 참선을 한다 해서 번뇌 망상이 떠나가고 마음이 청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진리(말씀)의 빛. 즉 부처님(예수님)의 가르침과 그의 말씀에 의해서 조금씩 닦아져 동정녀 마리아와 같은 정결한 처녀(여자)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선정은 부처님(예수님)의 말씀을 화두로 삼고 주야로 묵상을 하면서 자신이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잘못된 생각과 마음을 부처님(예수님)의 생각과 마음으로 하나하나 바꾸어 나가는 것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지금까지 자신이 소유하고 있던 생각과 마음을 모두 버리고 부처님(예수님)의 생각과 마음으로 변화될 때 삼매의 경지에 이르게 되고 해탈(부활)이 되는 것입니다


 


"여섯째날" 천상계(남자,예수); 지혜의 본체가 되는 여섯째 길. -지혜-.하늘의 세계. 반야(하나님)의 세계. 즉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의 세계. 육바라밀을 통해서 해탈(부활)하여 성불하신 부처(예수)들의 세계를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처님들이 계신 천상의 세계도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라 깨달음의 상태와 차원에 따라 각각 그 위(位)가 다른 것입니다. 즉 부처님이 계신 열반의 세계에 1차원에는 관자재보살님(성자하나님)이 계시고 2차원에는 보리살타 부처님(성령 하나님)이 계시며 3차원에는 삼세제불(성부하나님)이 계시다는 것입니다. 결론은 불교와 기독교는 하나인데 오늘날 종교계가 타락하여 불교는 땡 중들로 비 진리로 만연되어있고 기독교 또한 거짓목자로 온 세상을 비 진리로 만연되어 영혼들을 죽이고 있는 것입니다


 


계18:3-5 하늘로서 다른 음성이 나서 가로되 내 백성아, 거기서 나와 그의 죄에 참예하지 말고 그의 받을 재앙들을 받지 말라 그 죄는 하늘에 사무쳤으며 하나님은 그의 불의한 일을 기억하신지라 하늘에 사무치고 있는 바벨론의 죄 큰 성 바벨론의 죄가 하늘을 뒤덮고 있다는 것이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도록 극에 달하여 있다는 것을 말하며 그들의 죄가 관영하여 생각하는 것이 항상 악하다는 것입니다. 노아의 때 소돔고모라의 때 유대나라 때 마지막 오늘날의 때 그러므로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으니 하나님께서는 끝을 내시겠다는 것입니다



전체 1

  • 2014-07-15 01:34

    완전 이단이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44

6.영취산

새사람 | 2014.08.21 | 추천 0 | 조회 185
새사람 2014.08.21 0 185
443

5.법륜(法輪)과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

새사람 | 2014.08.21 | 추천 0 | 조회 461
새사람 2014.08.21 0 461
442

4.복유학무학(復有學無學)

새사람 | 2014.08.21 | 추천 0 | 조회 214
새사람 2014.08.21 0 214
441

시애틀 정토회에서 법륜스님과 함께하는 2014년 제7기 불교대학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1)

시애틀베스트 | 2014.08.20 | 추천 0 | 조회 548
시애틀베스트 2014.08.20 0 548
440

3.대아라한(大阿羅漢)

새사람 | 2014.08.20 | 추천 0 | 조회 211
새사람 2014.08.20 0 211
439

2.수보리 아난 라후라

새사람 | 2014.08.20 | 추천 0 | 조회 366
새사람 2014.08.20 0 366
438

1.신앙의 차원과 그 상태

새사람 | 2014.08.20 | 추천 0 | 조회 173
새사람 2014.08.20 0 173
437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

새사람 | 2014.08.19 | 추천 0 | 조회 358
새사람 2014.08.19 0 358
436

법화경 머리글

새사람 | 2014.08.17 | 추천 0 | 조회 297
새사람 2014.08.17 0 297
435

반야심경(般若心經) (1)

새사람 | 2014.07.29 | 추천 0 | 조회 594
새사람 2014.07.29 0 594
434

불교에서 말하는 삼계(三界)

새사람 | 2014.07.26 | 추천 0 | 조회 875
새사람 2014.07.26 0 875
433

불교에서 말하는 극락(極樂) 세계

새사람 | 2014.07.18 | 추천 0 | 조회 715
새사람 2014.07.18 0 715
432

불교와 기독교는 진실이 없고 허구와 기복으로 치우쳐있다 (1)

새사람 | 2014.07.15 | 추천 0 | 조회 464
새사람 2014.07.15 0 464
431

기독교와 불교는 하나의 종교다, (1)

새사람 | 2014.07.15 | 추천 0 | 조회 390
새사람 2014.07.15 0 390
430

삼신불과 삼위일체 하나님

새사람 | 2014.07.15 | 추천 0 | 조회 366
새사람 2014.07.15 0 366
429

기독교와 불교의 근본사상((根本思想) (1)

새사람 | 2014.06.16 | 추천 0 | 조회 609
새사람 2014.06.16 0 609
428

불교의“육바라밀(六波羅蜜)과 기독교 육일 천지창조 (1)

새사람 | 2014.06.12 | 추천 0 | 조회 579
새사람 2014.06.12 0 579
427

법화경(法華經) 序品(서품) 1

진사모 | 2014.06.11 | 추천 0 | 조회 557
진사모 2014.06.11 0 557
426

법화경(法華經) 序品(서품)

진사모 | 2014.06.11 | 추천 0 | 조회 595
진사모 2014.06.11 0 595
425

얼라는 디비 잔다

마하 | 2014.06.10 | 추천 0 | 조회 694
마하 2014.06.10 0 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