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회계 칼럼

Stock(주식) 기부와 세금이슈

Author
박재순 CPA
Date
2011-06-27 14:18
Views
4032

한인사회에 있어서 주식기부는 흔치 않은 경우이지만,  주류사회에서는 Stock(주식)을 재단(Private Foundation)이나, 학교, 또한 그밖에 비영리 기관에 기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기부자가 Cash(현금) 기부하던, Stock or Bond(주식이나 채권)으로 기부하던, 기부를 받게되는 비영리 단체에 입장에선 별차이가 없다. 하지만 기부를 하게되는 Donor(기부자) 입장에선세금 이슈가 따라 다니게 된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주식을 기부하게 되는 경우,  IRS에서는 일반적으로 Purchase cost(구입가)대신에 Fair Market Value(현시가) 적용할 있도록 허용한다. 따라서 가격이 현재 올라가는 주식(Appreciated stock) 기부할 경우에는 구입가가 아닌 시가를 적용받게 된다.  경우에  기부자는 세금보고시 기부공제 해택 뿐만 아니라 구입가와 시가의 차액에 대한 양도차액에 대해서도 세금을 피할 있게 된다.

예를 들어서 만약에 납세자(기부자)$10,000  Cash 비영리 기관에 증여한 경우, $10,000 항목별 공제난에서 공제 받게 된다.  하지만 주식의 경우, 구입가가 $5,000밖에 안되지만 시가가 $10,000 경우는 기부당시의 시가액을 공제액으로 인정받게 된다. 뿐만 아니라 양도차액 $5,000 ($10,000-$5,000) 대해서도 세금을 피할 있게된다.

하지만 충족조건이 있다.  우선, 주식 보유기간이 1년을 초과해야 한다.  만약에 1년미만의 주식을 기부한 경우는  공제액이 주식 구입가로 제한된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현재 주식의 시가가 구입가에 비해서 많이 떨어졌다면,  주식을 기부하는것은 바람직한 생각이 아니다.  이런경우는 주식을 매각한후 매각손실(Capital Loss) 적용받고, 매각금을 비영리 단체에 기부한다면,  두가지 세금 혜택을 모두 적용받을 있기 때문이다

Jaesoon Park, CPA, PLLC
30919 Pacific Hwy  Suite #G
Federal Way, WA 98003
Phone: 206)592-2034
E-mail: jsparkcpa@yahoo.com
* * * * * * * * * *
IRS CIRCULAR 230 DISCLOSURE: To ensure compliance with Treasury Department and IRS regulations, we inform you that, unless expressly indicated otherwise, any federal tax advice contained in this communication (including any attachments) is not intended or written by Jaesoon Park, CPA, PLLC to be used, and cannot be used by the taxpayer, for the purpose of (i) avoiding penalties that may be imposed on the taxpayer under the Internal Revenue Code or (ii) promoting, marketing or recommending to another party any transaction or matter addressed herein (or any attachments). Taxpayers should seek professional advice based on their particular circumstances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81

비거주자의 양도차액(Capital Gain)에 대한 세법적용

박재순 CPA | 2015.07.29 | Votes 0 | Views 2143
박재순 CPA 2015.07.29 0 2143
80

자녀가 대신 홈 모기지 이자를 공제할 수 있을까?

박재순 CPA | 2015.07.09 | Votes 0 | Views 1562
박재순 CPA 2015.07.09 0 1562
79

미국의 국적포기세(출국세) 과세제도 관련사례

박재순 CPA | 2014.11.18 | Votes 0 | Views 1975
박재순 CPA 2014.11.18 0 1975
78

한국의 집을 미국의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박재순 CPA | 2014.11.06 | Votes 0 | Views 2408
박재순 CPA 2014.11.06 0 2408
77

1031 exchange 임대주택을 거주주택으로 전환? Tax?

박재순 CPA | 2014.10.28 | Votes 0 | Views 1289
박재순 CPA 2014.10.28 0 1289
76

육아도우미/가사 도우미는 Employee(고용인) 에 해당될까?

박재순 CPA | 2014.10.09 | Votes 0 | Views 1403
박재순 CPA 2014.10.09 0 1403
75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포기할 경우 발생하는 세금이슈: Expatriation(Exit) Tax (출국세)

박재순 CPA | 2014.08.01 | Votes 0 | Views 3348
박재순 CPA 2014.08.01 0 3348
74

2013년 세금보고, 무엇이 달라졌나?

박재순 CPA | 2013.12.31 | Votes 0 | Views 2833
박재순 CPA 2013.12.31 0 2833
73

한국이나 해외소재 부동산을 소유한 경우라면?

박재순 CPA | 2013.12.25 | Votes 0 | Views 2981
박재순 CPA 2013.12.25 0 2981
72

고소득자에게 영향을 주는 2013년 새로운 개정 세법

박재순 CPA | 2013.12.16 | Votes 0 | Views 1857
박재순 CPA 2013.12.16 0 1857
71

한국 부모님으로 부터 증여를 받는다면?

박재순 CPA | 2012.12.17 | Votes 0 | Views 14463
박재순 CPA 2012.12.17 0 14463
70

2013년 부터 자동차 마일당 표준공제액 1센트 증가

박재순 CPA | 2012.11.21 | Votes 0 | Views 2029
박재순 CPA 2012.11.21 0 2029
69

S-Corporation 임원의 Reasonable Salary(적정 급여)

박재순 CPA | 2012.10.30 | Votes 0 | Views 2722
박재순 CPA 2012.10.30 0 2722
68

단기 주택임대에 대한 세법규정

박재순 CPA | 2012.10.09 | Votes 0 | Views 2628
박재순 CPA 2012.10.09 0 2628
67

Gambling 소득 보고에 대한 5가지 중요한 사항

박재순 CPA | 2012.08.29 | Votes 0 | Views 5143
박재순 CPA 2012.08.29 0 5143
66

Related party Transaction(특수 이해관계자거래)란?

박재순 CPA | 2012.08.21 | Votes 0 | Views 5539
박재순 CPA 2012.08.21 0 5539
65

2011년 세금보고시 필요한 준비서류

박재순 CPA | 2011.12.26 | Votes 0 | Views 4282
박재순 CPA 2011.12.26 0 4282
64

Trust Fund Recovery Penalty란?

박재순 CPA | 2011.10.21 | Votes 0 | Views 6142
박재순 CPA 2011.10.21 0 6142
63

숏세일- 임대주택 VS 투자주택 ?

박재순 CPA | 2011.09.12 | Votes 0 | Views 4091
박재순 CPA 2011.09.12 0 4091
62

한미 조세 협약 제20조 (원어민 강사의 한국소득세 면세조항)

박재순 CPA | 2011.09.01 | Votes 0 | Views 6288
박재순 CPA 2011.09.01 0 6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