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소변서 나온 환경호르몬…용의자는 냉장고 속 플라스틱 용기"

Author
KReporter
Date
2024-02-13 07:51
Views
244

순천향 구미병원 연구팀 "음식에 프탈레이트 흘러든 듯…장기보관 땐 유리그릇 등 바람직"

 

생활 용품 속 프탈레이트

생활 용품 속 프탈레이트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꼽히는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의 유연성을 높이는데 많이 쓰이는 가소제(화학첨가제) 중 하나다.

플라스틱이 원료인 장난감, 바닥재, 포장재, 그릇, 세제, 화장품 등에 흔하게 사용된다. 오랜 시간 노출되면 내분비계 교란과 신경독성을 일으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프탈레이트가 냉장고 속 음식을 담아두는 플라스틱 용기를 통해서도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순천향대 구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조성용 교수 연구팀은 국민환경보건조사(KoNEHS)에 참여한 성인 3천333명(남 1천526명, 여 1천807명)의 소변 시료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냉장고 내 식품 보관용 플라스틱 사용이 프탈레이트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8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직업환경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냉장실과 냉동실의 식품 보관에 플라스틱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체 연구 참여자의 소변 시료를 통해 26종의 환경유해물질 농도를 분석했다. 냉장고 플라스틱 용기로는 그릇은 물론 지퍼백, 비닐봉지가 모두 포함됐다.

이 결과 냉장고 식품 보관에 플라스틱을 사용한 남성은 다른 재질의 제품을 사용한 남성에 견줘 소변 속 프탈레이트류(DEHP) 대사물질의 농도가 평균 3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용 플라스틱 포장재

식품용 플라스틱 포장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같은 비교 조건에서 세부 대사물질별 농도는 MEHHP(모노 2-에틸-5-하이드록시헥실 프탈레이트), MEOHP(모노 2-에틸-5-옥소헥실 프탈레이트), MECPP(모노-2-에틸-5-카르복시펜틸프탈레이트), MnBP(모노-n-부틸 프탈레이트)가 각각 35%, 48%, 32%, 44% 높았다.

DEHP의 소변 대사산물인 MEHHP, MEOHP, MECPP 등은 체내에 장기간 체류하면서 건강에 다양한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MEOHP는 어린이의 지능 지수와 주의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 임산부가 MEOHP에 노출되면 임신성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MECPP와 MEOHP는 각각 유방암 위험과 자궁 내 태아의 성장 지연 위험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중국에서는 플라스틱 용기나 비닐봉지에 담았던 뜨거운 수프나 국물을 먹으면 플라스틱에 있던 프탈레이트 성분을 섭취하게 돼 소변에서 프탈레이트 대사 산물의 농도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연구팀은 냉장고 내 식품이 오랫동안 플라스틱에 노출되면서 프탈레이트가 식품으로 쉽게 이동하고, 이 식품을 통해 인체에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냉장고 플라스틱 용기와 프탈레이트 노출의 연관성이 여성에게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남성이 여성보다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을 섭취하는 경향에 기인하는 것으로 봤다.

프탈레이트의 특성상 친지질성을 가지고 있는데, 플라스틱 내 프탈레이트가 지방함량이 높은 음식으로 이동이 잘 되기 때문에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을 더 많이 섭취하는 남성의 특성이 이런 성별 차이를 유발했다는 것이다.

조성용 교수는 "프탈레이트에 대한 인체 노출은 경구 섭취, 피부 흡수, 흡입 등으로 다양하게 이뤄지지만, 경구 섭취가 주요 노출 경로"라며 "이번 연구로 미뤄볼 때 냉장고에 음식을 장시간 보관할 때는 플라스틱 용기보다 유리나 사기그릇을 사용하는 게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73

가발없이, 흑채없이, 두피문신없이, 약 복용없이, 심는 시술없이! 나의 모발 회생프로그램

Soonri | 2025.04.01 | Votes 0 | Views 449
Soonri 2025.04.01 0 449
472

"아동 비만 부르는 '음식 중독'…감정·행동 문제와도 관련"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569
KReporter 2025.03.04 0 569
471

심장도 망가뜨리는 암…"암 환자 심장마비 위험 3.2배↑"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523
KReporter 2025.03.04 0 523
470

"만성 B형 간염 조기 치료해야 간암·사망 확률 낮춘다"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529
KReporter 2025.03.04 0 529
469

만사가 귀찮은 건 나이 탓?…"노인 우울증 의심해 조기치료해야"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535
KReporter 2025.02.27 0 535
468

"성격장애 있으면 자살 위험 7.7배…우울증보다 높아"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482
KReporter 2025.02.27 0 482
467

WHO, 엠폭스에 '최고 수준' 보건 경계태세 유지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400
KReporter 2025.02.27 0 400
466

"직장인 우울증 원인 1위는 남녀노소 불문 '직장 스트레스'"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348
KReporter 2025.02.27 0 348
465

여성 100명 중 1∼2명꼴 '조기폐경'…"당뇨병 위험↑"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311
KReporter 2025.02.21 0 311
464

"건강·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활방식·환경이 유전자보다 커"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273
KReporter 2025.02.21 0 273
463

비만약 된 당뇨병약 '위고비'…오남용과 부작용의 그림자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307
KReporter 2025.02.21 0 307
462

"암 생존자가 '이 음식' 끊었더니 사망률 낮아졌다"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291
KReporter 2025.02.14 0 291
461

암 발생률 2위 대장암…"40세前 비만 안되게 체중 증가 막아야"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217
KReporter 2025.02.14 0 217
460

겨울철 단골손님 '요추염좌'…"따뜻하게 입으세요"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197
KReporter 2025.02.14 0 197
459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가역치료 실험으로 증명

KReporter | 2025.02.05 | Votes 0 | Views 232
KReporter 2025.02.05 0 232
458

"흉통으로 본 질환 감별…심장 이상 체크가 첫 단추"

KReporter | 2024.10.08 | Votes 0 | Views 567
KReporter 2024.10.08 0 567
457

"노인 4명중 1명 퇴행성관절염…어떤 치료가 내게 맞을까"

KReporter | 2024.10.08 | Votes 0 | Views 539
KReporter 2024.10.08 0 539
456

"40대 여성 위협하는 '폐동맥고혈압'…방치 땐 돌연사 위험 커"

KReporter | 2024.08.06 | Votes 0 | Views 760
KReporter 2024.08.06 0 760
455

조기 발견 중요한 전립선암…주목받는 AI 진단·방사성 치료제

KReporter | 2024.08.06 | Votes 0 | Views 763
KReporter 2024.08.06 0 763
454

15년 이상 금연하면 암 발생 위험 절반으로 줄어든다

KReporter | 2024.03.12 | Votes 0 | Views 491
KReporter 2024.03.12 0 491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