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급성 심정지, 하루 전 예고 징후 있다"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3-09-01 13:34
조회
309
심폐 소생술

심폐 소생술

[연합뉴스 TV 제공]

 

사전 경고 없이 갑자기 심장이 멎는 급성 심정지(sudden cardiac arrest)는 24시간 전에 뚜렷한 예고 신호가 나타나며 이 신호는 남녀가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세다스-시나이 헬스 시스템 슈미트 심장 연구소 심정지 예방센터장 서미트 척 박사 연구팀은 급성 심정지 환자의 50%는 심정지 하루 전에 최소한 한 가지의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며 그 증상은 남성은 흉통, 여성은 호흡곤란으로 남녀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역사회 급사 예측'(PRESTO) 연구와 '돌연사 연구'(SUDS)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갑작스러운 호흡 곤란이 나타난 여성은 급성 심정지 위험이 3배, 돌연한 흉통이 나타난 남성은 급성 심정지 위험이 2배 높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급성 심정지 환자 중 소수는 남녀 모두 가슴 두근거림(심계항진), 유사 경련,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 두 연구가 진행된 지역은 캘리포니아주 벤투라 카운티와 오리건주의 포틀랜드로 서로 달랐지만, 이러한 결과는 같았다.

흉통과 호흡 곤란은 다른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급성 심정지가 임박한 신호라고는 할 수 없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그러나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이러한 증상이 급성 심정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앞으로는 스마트폰 앱이나 스마트 워치를 사용하면 급성 심정지 위험이 높은 사람을 가려내는 범위를 더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급성 심정지는 사전 경고 없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가 거의 전부 의료기관 이외의 장소에서 불과 수 분 만에 사망하기 때문이다.

대개는 부정맥이 원인인 급성 심정지가 발생하면 심박동이 멈추면서 뇌와 온몸으로 가는 혈류가 정지된다.

급성 심정지는 미국의 경우 매년 35만6천 건이 발생하고 환자의 90%가 사망한다.

급성 심정지는 심근경색과는 다르다.

심근경색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중 하나가 막혀 심장의 다른 부위로의 혈류가 끊어지면서 발생하지만 급성 심정지처럼 심박동이 완전히 멈추지는 않는다.

그러나 심근경색은 급성 심정지 위험을 높일 수 있다. 관상동맥 질환, 심근병증, 심장판막 질환 같은 다른 심혈관 질환도 급성 심정지를 유발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지 '랜싯 디지털 건강'('Lancet Digital Health)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86

"근육량 많을수록 당뇨병 위험 줄어…발병률 최대 21% 감소"

KReporter | 2023.11.29 | 추천 0 | 조회 50
KReporter 2023.11.29 0 50
385

"커피,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에 도움"

KReporter | 2023.11.29 | 추천 0 | 조회 53
KReporter 2023.11.29 0 53
384

"내장지방 많으면 치매 위험 높아진다"

KReporter | 2023.11.22 | 추천 0 | 조회 92
KReporter 2023.11.22 0 92
383

"항생제 내성 예방하려면 돼지고기 완전히 익혀 드세요"

KReporter | 2023.11.22 | 추천 0 | 조회 70
KReporter 2023.11.22 0 70
382

"비만 치료 실험 신약 레타트루티드, 지방간 치료 효과도"

KReporter | 2023.11.20 | 추천 0 | 조회 81
KReporter 2023.11.20 0 81
381

"외로움, 줄담배만큼 건강에 나빠"…WHO, '세계 보건 위협' 지정

KReporter | 2023.11.17 | 추천 0 | 조회 104
KReporter 2023.11.17 0 104
380

노인 2명 중 1명은 대사증후군…허리둘레 90㎝ 넘으면 주의

KReporter | 2023.11.14 | 추천 0 | 조회 142
KReporter 2023.11.14 0 142
379

"술 한두 잔에 얼굴 빨개지는 남성, 심근경색 위험 높다"

KReporter | 2023.11.14 | 추천 0 | 조회 119
KReporter 2023.11.14 0 119
378

"남성 ADHD, 원추각막과 관계있다"

KReporter | 2023.11.14 | 추천 0 | 조회 93
KReporter 2023.11.14 0 93
377

"심방세동 있는 당뇨 환자, 당뇨발로 인한 절단 위험 4.1배"

KReporter | 2023.11.07 | 추천 0 | 조회 91
KReporter 2023.11.07 0 91
376

한국인 1만명당 1명 '경계성 인격장애' 앓아

KReporter | 2023.11.02 | 추천 0 | 조회 115
KReporter 2023.11.02 0 115
375

"환절기 호흡기 건강, 생강·둥굴레·맥문동으로 챙기세요"

KReporter | 2023.11.01 | 추천 0 | 조회 104
KReporter 2023.11.01 0 104
374

"잦은 지각도 '성인 ADHD' 주요 증상…20대 유병률 7.7% 최고"

KReporter | 2023.10.31 | 추천 0 | 조회 118
KReporter 2023.10.31 0 118
373

"중성지방 높은 노인, 치매 위험↓"

KReporter | 2023.10.30 | 추천 0 | 조회 105
KReporter 2023.10.30 0 105
372

"오래 앉아있어 커지는 사망 위험, 하루 20분 운동이 줄여준다"

KReporter | 2023.10.25 | 추천 0 | 조회 163
KReporter 2023.10.25 0 163
371

"녹내장 환자, 술 끊으면 실명 위험 37% 감소"

KReporter | 2023.10.23 | 추천 0 | 조회 158
KReporter 2023.10.23 0 158
370

"영아기 자폐증, 5세 넘으면 사라질 수도"

KReporter | 2023.10.23 | 추천 0 | 조회 135
KReporter 2023.10.23 0 135
369

"한국인 위암, 가장 흔한 위험 요인은 '신체활동 부족'"

KReporter | 2023.10.19 | 추천 0 | 조회 189
KReporter 2023.10.19 0 189
368

"진통제·항우울제, 노인 운전에 영향"

KReporter | 2023.10.16 | 추천 0 | 조회 134
KReporter 2023.10.16 0 134
367

"손목 밴드로 조울증 기분변화 제때 진단 가능"

KReporter | 2023.10.12 | 추천 0 | 조회 146
KReporter 2023.10.12 0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