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약물 내성 극복할 수 있는 항암 치료 기술 개발"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3-08-09 12:00
조회
137
미국화학회지 표지 이미지

미국화학회지 표지 이미지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항암 치료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9일 UNIST는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과 고려대 화학생명공학과 곽상규 교수팀이 암세포 리소좀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고,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항암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리소좀은 사용이 불가한 세포소기관을 용해해 재활용하는 소기관이다.

리소좀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는 기존 약물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으나 그동안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일정한 규칙으로 배치되는 자기조립을 통해 '마이셀(Micelle) 구조'를 이루는 물질을 개발했다.

마이셀 구조는 안쪽에 기름과 친한 부분을 품고, 바깥쪽엔 물과 친한 부분으로 둘러싸인 공 모양을 말한다.

생체 내 환경에서 안정성을 보여 다른 세포를 해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마이셀은 암세포 막에 과발현된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RGD 펩타이드'로 이뤄진다.

암세포의 리소좀은 불필요한 단백질을 분해하는 '카텝신B' 효소가 과발현되는데, 이를 표적으로 마이셀이 리소좀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리소좀에 도달한 마이셀은 카텝신B와 반응하는데, 마이셀을 이루는 펩타이드의 일부분이 카텝신B에 의해 절단된다.

절단된 분자는 다시 자기조립을 통해 긴 섬유 구조를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리소좀 막이 훼손된다.

이 때문에 리소좀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결국 암세포는 사멸하게 된다.

연구팀은 개발한 물질이 기존 화학 항암제의 단점인 약물 내성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기존 화학요법은 지속적인 약물 투여로 내성이 생기는데, 암세포 리소좀을 선택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UNIST 유자형 교수

UNIST 유자형 교수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유자형 교수는 "이번 암세포 리소좀 표적 물질 개발로 약물 내성이 없는 효과적인 항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졌다"며 "향후 화학 항암 치료제의 새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지'(JACS·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7월 17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합뉴스 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86

"근육량 많을수록 당뇨병 위험 줄어…발병률 최대 21% 감소"

KReporter | 2023.11.29 | 추천 0 | 조회 50
KReporter 2023.11.29 0 50
385

"커피,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에 도움"

KReporter | 2023.11.29 | 추천 0 | 조회 53
KReporter 2023.11.29 0 53
384

"내장지방 많으면 치매 위험 높아진다"

KReporter | 2023.11.22 | 추천 0 | 조회 92
KReporter 2023.11.22 0 92
383

"항생제 내성 예방하려면 돼지고기 완전히 익혀 드세요"

KReporter | 2023.11.22 | 추천 0 | 조회 70
KReporter 2023.11.22 0 70
382

"비만 치료 실험 신약 레타트루티드, 지방간 치료 효과도"

KReporter | 2023.11.20 | 추천 0 | 조회 81
KReporter 2023.11.20 0 81
381

"외로움, 줄담배만큼 건강에 나빠"…WHO, '세계 보건 위협' 지정

KReporter | 2023.11.17 | 추천 0 | 조회 104
KReporter 2023.11.17 0 104
380

노인 2명 중 1명은 대사증후군…허리둘레 90㎝ 넘으면 주의

KReporter | 2023.11.14 | 추천 0 | 조회 142
KReporter 2023.11.14 0 142
379

"술 한두 잔에 얼굴 빨개지는 남성, 심근경색 위험 높다"

KReporter | 2023.11.14 | 추천 0 | 조회 119
KReporter 2023.11.14 0 119
378

"남성 ADHD, 원추각막과 관계있다"

KReporter | 2023.11.14 | 추천 0 | 조회 93
KReporter 2023.11.14 0 93
377

"심방세동 있는 당뇨 환자, 당뇨발로 인한 절단 위험 4.1배"

KReporter | 2023.11.07 | 추천 0 | 조회 91
KReporter 2023.11.07 0 91
376

한국인 1만명당 1명 '경계성 인격장애' 앓아

KReporter | 2023.11.02 | 추천 0 | 조회 115
KReporter 2023.11.02 0 115
375

"환절기 호흡기 건강, 생강·둥굴레·맥문동으로 챙기세요"

KReporter | 2023.11.01 | 추천 0 | 조회 104
KReporter 2023.11.01 0 104
374

"잦은 지각도 '성인 ADHD' 주요 증상…20대 유병률 7.7% 최고"

KReporter | 2023.10.31 | 추천 0 | 조회 118
KReporter 2023.10.31 0 118
373

"중성지방 높은 노인, 치매 위험↓"

KReporter | 2023.10.30 | 추천 0 | 조회 105
KReporter 2023.10.30 0 105
372

"오래 앉아있어 커지는 사망 위험, 하루 20분 운동이 줄여준다"

KReporter | 2023.10.25 | 추천 0 | 조회 163
KReporter 2023.10.25 0 163
371

"녹내장 환자, 술 끊으면 실명 위험 37% 감소"

KReporter | 2023.10.23 | 추천 0 | 조회 158
KReporter 2023.10.23 0 158
370

"영아기 자폐증, 5세 넘으면 사라질 수도"

KReporter | 2023.10.23 | 추천 0 | 조회 135
KReporter 2023.10.23 0 135
369

"한국인 위암, 가장 흔한 위험 요인은 '신체활동 부족'"

KReporter | 2023.10.19 | 추천 0 | 조회 189
KReporter 2023.10.19 0 189
368

"진통제·항우울제, 노인 운전에 영향"

KReporter | 2023.10.16 | 추천 0 | 조회 134
KReporter 2023.10.16 0 134
367

"손목 밴드로 조울증 기분변화 제때 진단 가능"

KReporter | 2023.10.12 | 추천 0 | 조회 146
KReporter 2023.10.12 0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