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장내 미생물,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에도 영향 미친다"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3-05-12 12:19
조회
164

사람의 장내 세균 구성과 알츠하이머병 위험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식단 조절 등을 통한 장내 세균 변화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간 뇌 모델

인간 뇌 모델

[JOSH HAWKINS/UNLV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라스베이거스 네바다대(UNLV) 징충 천 교수팀은 12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장내 세균과 뇌의 연관성에 관한 논문 수십편을 메타 분석해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세균 그룹 10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발견이 장내 미생물과 알츠하이머병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며 이를 통해 장내 박테리아 불균형이 어떻게 치매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람의 장에는 500~1천 종의 박테리아가 서식하며, 이런 미생물의 양과 다양성, 구성은 그 사람의 유전과 식습관 등의 영향을 받는다.


장에 있는 특정 박테리아는 장 내벽을 얇게 만드는 산(acid)과 독소를 분비하고 알츠하이머병 위험 요인인 'APOE'(apolipoprotein E) 유전자와 상호작용하고 신경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이는 뇌 건강과 면역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퇴행성 신경질환을 촉진할 수 있다.

천 교수는 "장내 미생물은 대부분 건강에 좋은 박테리아로 간주하지만, 이런 박테리아의 불균형은 면역 체계에 독성이 될 수 있으며 우울증, 심장질환, 알츠하이머병 같은 다양한 질병과도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10가지 특정 유형의 장내 세균이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아들러크루치아, 유박테리움 노다툼 그룹, 아이젠베르기엘라, 유박테리움 피시카테나 그룹, 고르도니박터, 프레보텔라9 등 6종의 박테리아는 알츠하이머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콜린셀라, 박테로이데스, 라크노스피라, 베일로넬라 등 4종은 알츠하이머병 위험 요인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박테리아의 주요 범주는 밝혀졌지만 어떤 특정 박테리아 종이 알츠하이머병의 예방이나 촉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프로바이오틱스와 식단 조정을 통한 장내 미생물 변화가 면역체계, 염증, 뇌 기능 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며 약물이나 생활습관 변화 등 개별 환자의 유전적 구성에 맞는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59

"노인 하부 요로 증상 치료시 사망 위험↓"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42
KReporter 2023.09.19 0 42
358

日연구진 "코로나 후유증 경험 비율 성인이 아동보다 2∼4배↑"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34
KReporter 2023.09.19 0 34
357

"고령층 하루 앉아있는 시간 10시간 넘으면 치매 위험 급증"

KReporter | 2023.09.13 | 추천 0 | 조회 82
KReporter 2023.09.13 0 82
356

"저녁형 인간, 아침형 인간보다 당뇨병 위험↑"

KReporter | 2023.09.13 | 추천 0 | 조회 75
KReporter 2023.09.13 0 75
355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직계 가족, 간질환 위험 높다"

KReporter | 2023.09.12 | 추천 0 | 조회 63
KReporter 2023.09.12 0 63
354

치명률 20∼30% 이르는 패혈증…"빠른 진단과 치료 중요"

KReporter | 2023.09.12 | 추천 0 | 조회 52
KReporter 2023.09.12 0 52
353

"심근경색, 문제 있는 관상동맥 전체 치료가 최선"

KReporter | 2023.09.07 | 추천 0 | 조회 86
KReporter 2023.09.07 0 86
352

"급성 심정지, 하루 전 예고 징후 있다"

KReporter | 2023.09.01 | 추천 0 | 조회 203
KReporter 2023.09.01 0 203
351

"산후 우울증 항우울제로 치료하면 아이 정신건강에 도움"

KReporter | 2023.09.01 | 추천 0 | 조회 94
KReporter 2023.09.01 0 94
350

"대기오염, 음주·흡연·교통사고보다 인간 기대수명 더 단축"

KReporter | 2023.08.30 | 추천 0 | 조회 85
KReporter 2023.08.30 0 85
349

"수면시간 지나치게 길거나 짧으면 당뇨병 위험 커져"

KReporter | 2023.08.30 | 추천 0 | 조회 120
KReporter 2023.08.30 0 120
348

FDA, 임신부에 RSV 백신 사용 첫 승인 "임신 32∼36주 대상"

KReporter | 2023.08.22 | 추천 0 | 조회 81
KReporter 2023.08.22 0 81
347

"조울증에 항우울제 오래 사용해도 괜찮다"

KReporter | 2023.08.17 | 추천 0 | 조회 132
KReporter 2023.08.17 0 132
346

"알코올 중독 원숭이, 유전자 치료 후 음주량 90% 감소"

KReporter | 2023.08.15 | 추천 0 | 조회 96
KReporter 2023.08.15 0 96
345

유튜브 "코로나19·암·유해물질 등 의료관련 거짓정보 삭제"

KReporter | 2023.08.15 | 추천 0 | 조회 67
KReporter 2023.08.15 0 67
344

지난해 아토피 환자 97만여명…9세 이하 아동이 28%

KReporter | 2023.08.15 | 추천 0 | 조회 98
KReporter 2023.08.15 0 98
343

"약물 내성 극복할 수 있는 항암 치료 기술 개발"

KReporter | 2023.08.09 | 추천 0 | 조회 91
KReporter 2023.08.09 0 91
342

"고혈압 동반 암 환자 3명 중 2명, 혈압약 복용 소홀히 해"

KReporter | 2023.08.09 | 추천 0 | 조회 110
KReporter 2023.08.09 0 110
341

일본 연구팀 "배변 횟수 적을수록 치매 위험 높아"

KReporter | 2023.08.08 | 추천 0 | 조회 114
KReporter 2023.08.08 0 114
340

폭염 속 잼버리…"햇빛 노출 줄이고 커피·탄산음료 피해야"

KReporter | 2023.08.04 | 추천 0 | 조회 116
KReporter 2023.08.04 0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