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외로움, 담배 하루 15개비만큼 해롭다"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3-05-03 13:09
조회
195

미국인 절반이 경험…공중보건 위협으로 공식 간주

"심장병·뇌졸중·감염에 영향…조기사망 위험 29% 높여"

 




고립된 삶·외로움 (PG)

고립된 삶·외로움 (PG)

[최자윤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외로움을 비만이나 약물중독 같은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다뤄야 한다는 지적이 미국에서 나왔다.

비베크 머시 미국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 겸 의무총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 '외로움과 고립감이라는 유행병'에서 "최근 몇 년 사이 미국인 절반가량이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머시 의무총감이 소개한 여러 연구에 따르면 외로움은 조기 사망 가능성을 26∼29% 높인다. 매일 담배 15개비씩을 피우는 것만큼 건강에 해롭다는 의미다. 심장병 위험도 29%, 뇌졸중 위험도 32% 커진다.


고립됐다는 느낌이 불안감, 우울증, 치매와 연관되고, 바이러스 감염이나 호흡기 질환에 더 취약한 상태를 만든다는 연구도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 질병이지만 일상에서 학업성취도와 업무 효율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외로움은 경제적인 문제로도 이어진다.

노인들의 고립감으로 인한 의료 서비스가 미국의 메디케어(노인 의료보험)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연간 67억달러(약 8조9천800만원)로 나타났다.

 



비베크 머시 미국 의무총감

비베크 머시 미국 의무총감

[AP=연합뉴스 자료사진]

 




머시 의무총감은 2일(현지시간) 영국 BBC방송에 출연해 "사회적 연결이 흡연과 같은 수준으로 조기 사망 위험을 높인다는 것을 알면 사람들은 놀랄지도 모르겠다"며 "외로움은 이제 진지하게 다뤄야 할 공중보건의 중대 도전"이라고 말했다.

외로움 문제는 사람들 사이의 왕래가 줄어든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기를 거치며 더 심각해졌다.

머시 의무총감은 코로나19가 한창 확산하던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 사이에 사회적 네트워크의 크기가 평균 16% 줄었다는 연구결과를 인용하기도 했다.

머시 의무총감은 구멍 뚫린 사회 구조를 '꿰매는'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원봉사 조직이나 스포츠·종교 모임 같은 프로그램과 대중교통·주거·교육정책, 도서관·공원·운동장 등 물리적 요소를 아우르는 지역 공동체 인프라 확충이 대표적이다.

그는 사회적 고립의 영향에 관한 데이터 간의 격차를 해소하는 연구 의제를 수립하기 위해 '연결친화적' 공공정책이 나와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또 테크 기업들의 투명한 정보 공개와 디지털 환경 개선도 필요하다고 머시 의무총감은 덧붙였다.

일상생활에서 개인이 할 수 있는 일도 있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적어도 하루 15분씩은 보내기,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 주의를 흩트리는 기기를 멀리하기 등을 제시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정신건강의 달'을 맞아 발표된 이번 보고서가 바이든 정부의 국가적 정신건강 개선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59

"노인 하부 요로 증상 치료시 사망 위험↓"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42
KReporter 2023.09.19 0 42
358

日연구진 "코로나 후유증 경험 비율 성인이 아동보다 2∼4배↑"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34
KReporter 2023.09.19 0 34
357

"고령층 하루 앉아있는 시간 10시간 넘으면 치매 위험 급증"

KReporter | 2023.09.13 | 추천 0 | 조회 82
KReporter 2023.09.13 0 82
356

"저녁형 인간, 아침형 인간보다 당뇨병 위험↑"

KReporter | 2023.09.13 | 추천 0 | 조회 75
KReporter 2023.09.13 0 75
355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직계 가족, 간질환 위험 높다"

KReporter | 2023.09.12 | 추천 0 | 조회 63
KReporter 2023.09.12 0 63
354

치명률 20∼30% 이르는 패혈증…"빠른 진단과 치료 중요"

KReporter | 2023.09.12 | 추천 0 | 조회 52
KReporter 2023.09.12 0 52
353

"심근경색, 문제 있는 관상동맥 전체 치료가 최선"

KReporter | 2023.09.07 | 추천 0 | 조회 86
KReporter 2023.09.07 0 86
352

"급성 심정지, 하루 전 예고 징후 있다"

KReporter | 2023.09.01 | 추천 0 | 조회 204
KReporter 2023.09.01 0 204
351

"산후 우울증 항우울제로 치료하면 아이 정신건강에 도움"

KReporter | 2023.09.01 | 추천 0 | 조회 94
KReporter 2023.09.01 0 94
350

"대기오염, 음주·흡연·교통사고보다 인간 기대수명 더 단축"

KReporter | 2023.08.30 | 추천 0 | 조회 85
KReporter 2023.08.30 0 85
349

"수면시간 지나치게 길거나 짧으면 당뇨병 위험 커져"

KReporter | 2023.08.30 | 추천 0 | 조회 120
KReporter 2023.08.30 0 120
348

FDA, 임신부에 RSV 백신 사용 첫 승인 "임신 32∼36주 대상"

KReporter | 2023.08.22 | 추천 0 | 조회 81
KReporter 2023.08.22 0 81
347

"조울증에 항우울제 오래 사용해도 괜찮다"

KReporter | 2023.08.17 | 추천 0 | 조회 132
KReporter 2023.08.17 0 132
346

"알코올 중독 원숭이, 유전자 치료 후 음주량 90% 감소"

KReporter | 2023.08.15 | 추천 0 | 조회 96
KReporter 2023.08.15 0 96
345

유튜브 "코로나19·암·유해물질 등 의료관련 거짓정보 삭제"

KReporter | 2023.08.15 | 추천 0 | 조회 67
KReporter 2023.08.15 0 67
344

지난해 아토피 환자 97만여명…9세 이하 아동이 28%

KReporter | 2023.08.15 | 추천 0 | 조회 98
KReporter 2023.08.15 0 98
343

"약물 내성 극복할 수 있는 항암 치료 기술 개발"

KReporter | 2023.08.09 | 추천 0 | 조회 91
KReporter 2023.08.09 0 91
342

"고혈압 동반 암 환자 3명 중 2명, 혈압약 복용 소홀히 해"

KReporter | 2023.08.09 | 추천 0 | 조회 110
KReporter 2023.08.09 0 110
341

일본 연구팀 "배변 횟수 적을수록 치매 위험 높아"

KReporter | 2023.08.08 | 추천 0 | 조회 114
KReporter 2023.08.08 0 114
340

폭염 속 잼버리…"햇빛 노출 줄이고 커피·탄산음료 피해야"

KReporter | 2023.08.04 | 추천 0 | 조회 116
KReporter 2023.08.04 0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