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보

근육 없는 'ET형 몸매', 당뇨병 위험 57% 높다

Author
KReporter3
Date
2023-01-04 15:13
Views
475

삼성서울병원, 건강검진 수검자 3만6천명 7년 추적 결과 연구팀 "평소 '근테크' 힘써야 당뇨병·심근경색 예방"

 

각종 합병증을 일으켜 중장년과 노년기 건강수명을 줄이는 당뇨병이 근육량에 따라 발병 위험에 큰 차이가 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흔히 '근테크', '근육연금' 등으로 불리는 근육이 당뇨병 없는 100세 건강 시대의 문을 여는 열쇠라는 의미다.

 


마른비만 진단기준
[삼성서울병원 제공]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 교수, 강동경희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전지은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6∼2013년 건강검진을 받은 3만6천304명(평균 나이 48.9세)을 대상으로 평균 7년을 추적 관찰한 결과, 근육량이 줄어 '근감소증 전 단계'에 이른 사람은 당뇨병 발병 위험이 적정 근육량을 가진 사람보다 30% 높았다고 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임상내분비대사학저널'(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최신호에 발표됐다.

근감소증은 근육량이 줄어들고 근육 기능이 떨어지는 질환을 말한다. 체성분 분석 검사로 근육량을 확인한 후 악력이나 보행속도를 측정하면 진단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에서 7년 동안 당뇨병 발병률은 9.1%(3천299명)였다. 연구팀은 당뇨병 환자를 포함한 전체 분석 대상자를 골격근지수(SMI)에 따라 상·중·하 3개 그룹으로 나눠 당뇨병 발병에 미친 영향을 측정했다.

이 결과 근육량이 적을수록 당뇨병 발병 위험이 커졌다. 연구팀은 골격근량 중위 그룹과 하위 그룹의 당뇨병 발병 위험이 상위 그룹보다 각각 18%, 31% 더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또 근육량이 근감소증 전 단계에 해당하는 그룹만 보면, 당뇨병이 발병할 위험이 정상 그룹보다 30% 높았다.

특히 근육량과 당뇨병 발병의 연관성은 배가 불룩하고 팔다리는 가는 'ET형 몸매'를 가진 사람에게서 더욱 뚜렷했다. 연구팀은 ET형 몸매를 가진 사람의 당뇨병 발병 위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57% 높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근육이 줄어 팔다리는 가늘어졌는데 배가 나와 복부비만인 경우가 당뇨병에 최악임을 확인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복부 비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지만, 근육량 감소에 따른 건강 위험은 당뇨병에 그치지 않는다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김재현 교수는 "근감소증 전 단계인 사람이 복부 비만을 동반한 경우에는 급성 심근경색을 일으킬 수 있는 관상동맥석회화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적정 체중을 유지하면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근육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게 당뇨병과 심뇌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73

가발없이, 흑채없이, 두피문신없이, 약 복용없이, 심는 시술없이! 나의 모발 회생프로그램

Soonri | 2025.04.01 | Votes 0 | Views 416
Soonri 2025.04.01 0 416
472

"아동 비만 부르는 '음식 중독'…감정·행동 문제와도 관련"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534
KReporter 2025.03.04 0 534
471

심장도 망가뜨리는 암…"암 환자 심장마비 위험 3.2배↑"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483
KReporter 2025.03.04 0 483
470

"만성 B형 간염 조기 치료해야 간암·사망 확률 낮춘다"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499
KReporter 2025.03.04 0 499
469

만사가 귀찮은 건 나이 탓?…"노인 우울증 의심해 조기치료해야"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507
KReporter 2025.02.27 0 507
468

"성격장애 있으면 자살 위험 7.7배…우울증보다 높아"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458
KReporter 2025.02.27 0 458
467

WHO, 엠폭스에 '최고 수준' 보건 경계태세 유지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398
KReporter 2025.02.27 0 398
466

"직장인 우울증 원인 1위는 남녀노소 불문 '직장 스트레스'"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344
KReporter 2025.02.27 0 344
465

여성 100명 중 1∼2명꼴 '조기폐경'…"당뇨병 위험↑"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303
KReporter 2025.02.21 0 303
464

"건강·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활방식·환경이 유전자보다 커"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269
KReporter 2025.02.21 0 269
463

비만약 된 당뇨병약 '위고비'…오남용과 부작용의 그림자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303
KReporter 2025.02.21 0 303
462

"암 생존자가 '이 음식' 끊었더니 사망률 낮아졌다"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287
KReporter 2025.02.14 0 287
461

암 발생률 2위 대장암…"40세前 비만 안되게 체중 증가 막아야"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215
KReporter 2025.02.14 0 215
460

겨울철 단골손님 '요추염좌'…"따뜻하게 입으세요"

KReporter | 2025.02.14 | Votes 0 | Views 197
KReporter 2025.02.14 0 197
459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가역치료 실험으로 증명

KReporter | 2025.02.05 | Votes 0 | Views 231
KReporter 2025.02.05 0 231
458

"흉통으로 본 질환 감별…심장 이상 체크가 첫 단추"

KReporter | 2024.10.08 | Votes 0 | Views 563
KReporter 2024.10.08 0 563
457

"노인 4명중 1명 퇴행성관절염…어떤 치료가 내게 맞을까"

KReporter | 2024.10.08 | Votes 0 | Views 539
KReporter 2024.10.08 0 539
456

"40대 여성 위협하는 '폐동맥고혈압'…방치 땐 돌연사 위험 커"

KReporter | 2024.08.06 | Votes 0 | Views 757
KReporter 2024.08.06 0 757
455

조기 발견 중요한 전립선암…주목받는 AI 진단·방사성 치료제

KReporter | 2024.08.06 | Votes 0 | Views 762
KReporter 2024.08.06 0 762
454

15년 이상 금연하면 암 발생 위험 절반으로 줄어든다

KReporter | 2024.03.12 | Votes 0 | Views 489
KReporter 2024.03.12 0 489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