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

길어지는 윤 대통령의 침묵…계엄 배경 직접 밝힐까

정치
Author
KReporter
Date
2024-12-05 06:35
Views
132

대국민 담화 검토하다 보류…참모진·與, 여론악화 우려에 만류

尹 계엄 "합법적·문제 될 것 없다" 인식 주변 통해 전해져

탄핵안 표결·여권 내부 상황 보며 담화 시기 조율할 듯




윤석열 대통령, 계엄 해제 발표

윤석열 대통령, 계엄 해제 발표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새벽 용산 대통령실에서 비상계엄 선포 해제를 발표하고 있다. 2024.12.4 [연합뉴스TV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xyz@yna.co.kr




비상계엄 해제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4일 오전 4시 27분 비상계엄 선포를 해제한다고 발표한 이후 5일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대통령실의 계엄 사태와 관련한 공식 입장 역시 없다.

비상계엄 해제 이후 알려진 윤 대통령의 행적은 전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 등 당정 고위급 인사를 만난 것이 유일하다.

여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전날 오후 11시 또는 이날 오전 중 대국민 담화를 할 것이라는 설이 돌았다. 담화 개최 여부를 두고 혼선이 빚어지자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언론에 "오늘 담화는 없다"고 공지했다.

윤 대통령은 당초 이날 직접 대국민 담화에 나서 국민 불안을 초래한 데 대해 사과하고, 계엄선포의 배경과 정당성을 피력하려 했으나, 오는 7일 국회 탄핵안 표결 전에 자칫 여론의 역풍을 더욱 키울 수 있다는 대통령실 및 여당 내부의 만류로 담화는 보류된 것으로 파악됐다.

윤 대통령이 계엄 해제 이후 직접 입장을 밝히진 않고 있으나, 대통령실과 여권 관계자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계엄에 대한 윤 대통령의 인식이 전해지고 있다.

이들이 전언을 종합하면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야당의 폭주에 맞서기 위한 경고성 조치'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야당의 연이은 정부 관료 탄핵과 입법, 감액 예산안 강행 처리로 국정이 마비될 지경에 이르렀으며, 무도한 야당에 경고하기 위한 장치로서 계엄이 필요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날 본회의에서 처리된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에 대한 탄핵안을 위중하게 봤다는 분석도 있다.

헌법재판관 공백으로 탄핵안 심판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탄핵안이 가결될 경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연루 의혹 사건 수사도 진척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와 해제가 헌법의 틀 안에서 이뤄져 위헌·위법한 부분이 전혀 없다는 점도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이 국내 언론에 침묵하는 가운데 해외홍보비서관실은 전날 외신을 대상으로 "계엄 선포가 헌법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뤄졌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진입 시도하는 계엄군

진입 시도하는 계엄군

(서울=연합뉴스) 최윤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새벽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 무장한 계엄군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2024.12.4
ysc@yna.co.kr




또 국회에 군인을 투입했으나 경고성 조치였을 뿐, 실제로 계엄 해제 요구를 위한 국회의 의사 진행을 막을 의도는 없었음을 주변에 강조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일반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밤 10시가 넘어 긴급 담화로 계엄을 발표했고, 국회에 군 투입은 그로부터 약 1시간 후에 했다"며 "비상계엄 해제 요구 요건을 알고도 국회가 동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군이 국회 진입을 막지 않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가 합법적으로 이뤄졌으며 실제 국회 논의를 막을 의도도 없었던 만큼, 탄핵 심판 절차가 진행되더라도 법리 싸움에서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이 담화를 통해 대국민 설명에 나설 경우 이 같은 내용을 피력하려 한 것으로 보이나, 야당이 발의한 탄핵 소추안 표결을 두고 대국민 담화의 시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대통령실 참모들은 윤 대통령이 오는 7일로 예정된 국회 탄핵안 표결 전 직접 담화에 나서지 않는 게 좋겠다는 건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 측에서도 같은 취지의 건의가 있었다고 한다.

이미 여당이 탄핵 반대 입장을 당론으로 정한 상황에서, 자칫 담화가 계엄 선포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쪽으로 쏠려 표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보인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는 탄핵 표결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언론 접촉을 삼가고 여론과 국회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다.

대통령실은 이날 최재해 감사원장과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 등 탄핵 소추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에 대해서도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았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탄핵 표결 일정이 정해졌으니 우선 그 결과를 차분히 지켜봐야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전날 당정 고위급 인사와의 만남에서 한동훈 대표가 윤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고, 국민의힘 내에서도 대통령의 탈당을 두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 간 이견이 표출되는 등 당내 의견일치가 이뤄지지 않은 점도 대국민 담화 시기를 늦춘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비상계엄 선포를 건의했다가 전날 사의를 표명한 김용현 국방부 장관의 면직안을 재가하고 최병혁 주사우디대사를 후임 국방부 장관 후보로 지명했다.

이는 장관 사퇴에 따른 국방의 공백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김 전 장관의 탄핵 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해임도 후임 임명도 못하기 때문이다.

국회법은 '소추의결서가 송달됐을 때 소추된 사람의 권한 행사는 정지되며, 임명권자는 소추된 사람의 사직원을 접수하거나 소추된 사람을 해임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장관 탄핵안의 가결 요건은 재적의원 과반수 찬성이어서 통과가 확실시됐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1195

'내란혐의' 尹재판도 중앙지법 형사25부…관련사건 한곳에

KReporter | 2025.01.31 | Votes 0 | Views 83
KReporter 2025.01.31 0 83
1194

MBC, 故 오요안나 기상캐스터 사망원인 조사…진상조사위 구성

KReporter | 2025.01.31 | Votes 0 | Views 108
KReporter 2025.01.31 0 108
1193

구속 상태로 탄핵심판에 내란재판 받는 尹…투트랙 대응 고심

KReporter | 2025.01.30 | Votes 0 | Views 86
KReporter 2025.01.30 0 86
1192

'서부지법 난동' 구속 20여명, 법원 변경 신청…적부심 기각

KReporter | 2025.01.30 | Votes 0 | Views 106
KReporter 2025.01.30 0 106
1191

故 오요안나 유족, MBC 동료 직원 상대 손배소 제기

KReporter | 2025.01.29 | Votes 0 | Views 82
KReporter 2025.01.29 0 82
1190

에어부산 화재원인은 보조배터리?…지난달에도 비슷한 사고 있어

KReporter | 2025.01.29 | Votes 0 | Views 88
KReporter 2025.01.29 0 88
1189

尹 "이번 계엄, 어떻게 내란 되나…헌법 테두리 내 이뤄져"

KReporter | 2025.01.28 | Votes 0 | Views 86
KReporter 2025.01.28 0 86
1188

故오요안나 직장내 괴롭힘 의혹에 MBC "유족이 요청하면 진상조사

KReporter | 2025.01.28 | Votes 0 | Views 109
KReporter 2025.01.28 0 109
1187

尹측 "공수처 수사 불법, 검찰 기소도 불법의 연장"

KReporter | 2025.01.27 | Votes 0 | Views 72
KReporter 2025.01.27 0 72
1186

'기자 때리고 카메라 파손' 서부지법 난동자 1명 추가 구속

KReporter | 2025.01.27 | Votes 0 | Views 83
KReporter 2025.01.27 0 83
1185

尹측 "구속연장 불허, 공수처법 따른 옳은 결정…석방하라"

KReporter | 2025.01.24 | Votes 0 | Views 91
KReporter 2025.01.24 0 91
1184

서부지법 폭력난동 때 방화까지 시도…경찰, 10대 구속영장

KReporter | 2025.01.24 | Votes 0 | Views 101
KReporter 2025.01.24 0 101
1183

이재명 선거법 2심 "내달 26일 종결"…李측 위헌제청 신청 검토

KReporter | 2025.01.23 | Votes 0 | Views 83
KReporter 2025.01.23 0 83
1182

尹 "실패한 계엄 아닌 예상보다 빨리 끝난 것…野경고 아냐"

KReporter | 2025.01.23 | Votes 0 | Views 74
KReporter 2025.01.23 0 74
1181

尹구속 후 집단난동 44명 구속…현행범 90명 중 58명 신병확보

KReporter | 2025.01.22 | Votes 0 | Views 81
KReporter 2025.01.22 0 81
1180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 "위헌심판 제청해달라" 신청

KReporter | 2025.01.22 | Votes 0 | Views 74
KReporter 2025.01.22 0 74
1179

윤 대통령, 탄핵심판 마치고 병원 들러…8시간만에 구치소 복귀

KReporter | 2025.01.21 | Votes 0 | Views 99
KReporter 2025.01.21 0 99
1178

'서부지법 난동' 46명 구속심사…"유튜버 선동에 우발행동" 주장

KReporter | 2025.01.21 | Votes 0 | Views 90
KReporter 2025.01.21 0 90
1177

윤 대통령 21일 탄핵심판 직접 출석…역대 대통령 처음

KReporter | 2025.01.20 | Votes 0 | Views 91
KReporter 2025.01.20 0 91
1176

긴박했던 서부지법 난동 새벽…"영장판사실 의도적 훼손·폭력"

KReporter | 2025.01.20 | Votes 0 | Views 103
KReporter 2025.01.20 0 103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