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

에어부산 화재원인은 보조배터리?…지난달에도 비슷한 사고 있어

산업
Author
KReporter
Date
2025-01-29 06:14
Views
115

기내 선반서 발화했다는 증언…배터리 원인 항공기 화재 이어져

소량 한해서만 리튬배터리 반입 허용…기내반입물품 규정 강화 요구


28일 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가 기내 선반에서 시작됐다는 목격자의 증언이 이어지면서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에도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한 바 있어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해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현장

김해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현장

(부산=연합뉴스) 29일 오전 김해공항에서 박형준 부산시장 등이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고 항공기 동체 윗부분이 화재로 전소돼 처참한 모습이다. 2025.1.29 [부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cho@yna.co.kr




2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전날 밤 부산 김해에서 홍콩으로 출발하려던 에어부산 BX391편에서 발생한 화재는 기내 뒤쪽 선반 짐에서 시작됐다는 탑승객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항공기에 탑승했던 한 승객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기내 수하물을 두는 선반 짐에서 '타닥타닥' 소리가 난 후 조금 있다가 연기가 났고, 선반에서 불똥이 떨어졌다"며 "'타닥타닥' 소리는 보조배터리나 전자기기 그런 게 아닐까 싶다"라고 전했다.

이러한 증언에 기반해 기내로 반입돼 오버헤드빈(기내 수하물 보관함)에 보관됐던 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 현직 기장은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쓴 글에서 "선반 안에 있던 보조 배터리나 전자담배 훈증기 같은 수하물에서 불이 났거나 화장실 내 흡연, 기내 상부 전기 합선 등으로 화재 원인이 좁혀진다"고 추정했다.

에어부산 항공기에서는 지난해 12월 12일에도 보조배터리에서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났다.

당시 부산 김해공항 활주로서 이륙을 위해 이동 중이던 에어부산 BX142편 여객기 내부에서 갑자기 연기가 발생했다. 연기는 승객이 들고 있던 휴대전화기 보조배터리에서 비롯됐다.

객실 승무원이 기내 소화기로 곧바로 연기를 진압했지만 보조배터리를 들고 있던 승객 1명은 손에 화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진다.

연기가 난 항공기는 활주로에서 방향을 돌려 다시 탑승 게이트로 돌아왔고, 에어부산은 전 승객을 하차시키고 대체편을 투입했다.

이외에도 보조배터리에 따른 항공기 화재 사고는 국내외에서 이어지고 있다.



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부산=연합뉴스) 28일 오후 10시 30분께 김해공항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꼬리 부분에서 불이 나 소방대가 진화하고 있다. 승객 등 170여 명이 모두 비상 탈출해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5.1.28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wink@yna.co.kr




지난해 4월 김포공항을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아시아나항공 OZ8913편에서 오버헤드빈에 있던 보조 배터리에서 연기가 나는 화재가 발생했다.

승무원들이 연기를 바로 꺼 화재는 일어나지 않았고, 승객 273명을 태운 항공기는 예정대로 제주공항에 도착했다.

해외에서는 지난해 1월 대만 타오위안 국제공항에서 이륙 준비 중이었던 싱가포르행 스쿠트항공 여객기에서 승객의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가 터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배터리가 터지면서 발생한 불은 좌석에 옮겨붙었고, 비행기 이륙은 지연됐다.

이은 2월에는 필리핀 보라카이에서 중국 상하이로 가는 로얄 에어 필리핀 RW602 항공편에서 승객 보조배터리에서 불이 나 해당 항공기가 홍콩으로 긴급 회항하기도 했다.

국내외 항공기에서 배터리 화재 사고 이어지면서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규정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그래픽] 리튬배터리 취급 관련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

[그래픽] 리튬배터리 취급 관련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28일 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가 기내 선반에서 시작됐다는 목격자의 증언이 이어지면서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 항공기에서 이러한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잇따르면서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규정 강화도 요구되고 있다.
yoon2@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에 따르면 리튬 메탈 배터리와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위험물로 분류돼 기내 휴대나 위탁수하물 반입이 기본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탑승객의 사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소량에 한해서는 운송이 허용된다.

먼저 리튬배터리가 장착된 전자장비(카메라·휴대전화·노트북 등)인 경우 리튬메탈배터리의 리튬 함량이 2g 이하이거나 리튬이온배터리가 100Wh 이하면 위탁수하물로 부치거나 기내 휴대가 가능하다.

리튬메탈배터리와 달리 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배터리는 100Wh 초과∼160Wh 이하일 경우 항공사의 승인에 따라 항공기 반입이 가능하다.

다만 보조배터리와 관련해선 리튬메탈배터리는 리튬 함량이 2g 이하, 리튬이온배터리는 100Wh 이하인 경우에만 기내 휴대만 가능하다. 보조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는 부칠 수 없다.



보조배터리 수하물위탁 안돼…공항도착은 4시간 전에(CG)

보조배터리 수하물위탁 안돼…공항도착은 4시간 전에(CG)

[연합뉴스TV 제공]




리튬이온배터리는 전자기기 장착이나 보조배터리 여부에 관계없이 스스로 부풀거나 폭발하는 일이 자주 발생해 기내 휴대일 경우에도 탑승객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선반 등 손이 닿지 않은 곳에 보관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뜻이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만약 수화물 문제라면 보조배터리 취급에 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사실 기내 휴대의 의미는 그 물건을 손으로 들고 관리하는 상태에서 타라는 뜻이다. 오버 헤드빈에 넣는 것은 기내휴대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에어부산과 공항공사 차원에서 제대로 홍보가 안 된 것인지, 승객이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던 것인지 다시 한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기내 선반서 발화했다는 증언…배터리 원인 항공기 화재 이어져

소량 한해서만 리튬배터리 반입 허용…기내반입물품 규정 강화 요구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홍규빈 기자 = 28일 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가 기내 선반에서 시작됐다는 목격자의 증언이 이어지면서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에도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한 바 있어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해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현장

김해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현장

(부산=연합뉴스) 29일 오전 김해공항에서 박형준 부산시장 등이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사고 항공기 동체 윗부분이 화재로 전소돼 처참한 모습이다. 2025.1.29 [부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cho@yna.co.kr




2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전날 밤 부산 김해에서 홍콩으로 출발하려던 에어부산 BX391편에서 발생한 화재는 기내 뒤쪽 선반 짐에서 시작됐다는 탑승객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


 


해당 항공기에 탑승했던 한 승객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기내 수하물을 두는 선반 짐에서 '타닥타닥' 소리가 난 후 조금 있다가 연기가 났고, 선반에서 불똥이 떨어졌다"며 "'타닥타닥' 소리는 보조배터리나 전자기기 그런 게 아닐까 싶다"라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김해공항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부산=연합뉴스) 28일 오후 10시 30분께 김해공항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 꼬리 부분에서 불이 나 소방대가 진화하고 있다. 승객 등 170여 명이 모두 비상 탈출해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5.1.28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wink@yna.co.kr




지난해 4월 김포공항을 출발해 제주로 향하던 아시아나항공 OZ8913편에서 오버헤드빈에 있던 보조 배터리에서 연기가 나는 화재가 발생했다.

승무원들이 연기를 바로 꺼 화재는 일어나지 않았고, 승객 273명을 태운 항공기는 예정대로 제주공항에 도착했다.

해외에서는 지난해 1월 대만 타오위안 국제공항에서 이륙 준비 중이었던 싱가포르행 스쿠트항공 여객기에서 승객의 휴대전화 보조 배터리가 터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배터리가 터지면서 발생한 불은 좌석에 옮겨붙었고, 비행기 이륙은 지연됐다.

이은 2월에는 필리핀 보라카이에서 중국 상하이로 가는 로얄 에어 필리핀 RW602 항공편에서 승객 보조배터리에서 불이 나 해당 항공기가 홍콩으로 긴급 회항하기도 했다.

국내외 항공기에서 배터리 화재 사고 이어지면서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규정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그래픽] 리튬배터리 취급 관련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

[그래픽] 리튬배터리 취급 관련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28일 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가 기내 선반에서 시작됐다는 목격자의 증언이 이어지면서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 항공기에서 이러한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잇따르면서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규정 강화도 요구되고 있다.
yoon2@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항공 위험물 운송기준에 따르면 리튬 메탈 배터리와 리튬 이온 배터리는 위험물로 분류돼 기내 휴대나 위탁수하물 반입이 기본적으로 금지된다.

다만 탑승객의 사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소량에 한해서는 운송이 허용된다.

먼저 리튬배터리가 장착된 전자장비(카메라·휴대전화·노트북 등)인 경우 리튬메탈배터리의 리튬 함량이 2g 이하이거나 리튬이온배터리가 100Wh 이하면 위탁수하물로 부치거나 기내 휴대가 가능하다.

리튬메탈배터리와 달리 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배터리는 100Wh 초과∼160Wh 이하일 경우 항공사의 승인에 따라 항공기 반입이 가능하다.

다만 보조배터리와 관련해선 리튬메탈배터리는 리튬 함량이 2g 이하, 리튬이온배터리는 100Wh 이하인 경우에만 기내 휴대만 가능하다. 보조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는 부칠 수 없다.



보조배터리 수하물위탁 안돼…공항도착은 4시간 전에(CG)

보조배터리 수하물위탁 안돼…공항도착은 4시간 전에(CG)

[연합뉴스TV 제공]




리튬이온배터리는 전자기기 장착이나 보조배터리 여부에 관계없이 스스로 부풀거나 폭발하는 일이 자주 발생해 기내 휴대일 경우에도 탑승객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선반 등 손이 닿지 않은 곳에 보관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뜻이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만약 수화물 문제라면 보조배터리 취급에 대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사실 기내 휴대의 의미는 그 물건을 손으로 들고 관리하는 상태에서 타라는 뜻이다. 오버 헤드빈에 넣는 것은 기내휴대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에어부산과 공항공사 차원에서 제대로 홍보가 안 된 것인지, 승객이 제대로 인지하지 못했던 것인지 다시 한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1361

첫날 마감 직전까지 "투표 가능한가요" 장사진

KReporter | 2025.05.29 | Votes 0 | Views 45
KReporter 2025.05.29 0 45
1360

검찰, '대통령실 보안 USB' 확보…김여사 비서 "사용 안했다"

KReporter | 2025.05.29 | Votes 0 | Views 44
KReporter 2025.05.29 0 44
1359

李 "국가책임 공교육" vs 金 "AI교과서 전면 도입"

KReporter | 2025.05.28 | Votes 0 | Views 37
KReporter 2025.05.28 0 37
1358

"AI 선점이 패권의 핵심"…연합인포맥스 창사 25주년 컨퍼런스

KReporter | 2025.05.28 | Votes 0 | Views 61
KReporter 2025.05.28 0 61
1357

이재명 "내란 진압" 김문수 "방탄독재 저지" 이준석 "정치교체"

KReporter | 2025.05.27 | Votes 0 | Views 50
KReporter 2025.05.27 0 50
1356

경찰, 한덕수·최상목 출국금지…韓측 "기억 한도 내 진술"

KReporter | 2025.05.27 | Votes 0 | Views 53
KReporter 2025.05.27 0 53
1355

사회 통합 방안은…이재명 "내란 사태 심판", 김문수 "사기꾼 없어져야"

KReporter | 2025.05.23 | Votes 0 | Views 41
KReporter 2025.05.23 0 41
1354

황당한 허경영 행각…"나는 창조주…1억 내면 대천사 칭호 줄게"

KReporter | 2025.05.23 | Votes 0 | Views 64
KReporter 2025.05.23 0 64
1353

대선 레이스 반환점, 지지율 격차 줄어…단일화가 막판 변수될까

KReporter | 2025.05.22 | Votes 0 | Views 52
KReporter 2025.05.22 0 52
1352

김문수, 이재명 향해 "감옥에선 방탄조끼·방탄유리 필요 없어"

KReporter | 2025.05.22 | Votes 0 | Views 44
KReporter 2025.05.22 0 44
1351

尹, '부정선거' 주장 영화관람…대선 앞 음모론 논란 부추기나

KReporter | 2025.05.21 | Votes 0 | Views 39
KReporter 2025.05.21 0 39
1350

대법서 패한 '일산대교 통행 무료' 성사될까…이재명 공약 불씨

KReporter | 2025.05.21 | Votes 0 | Views 45
KReporter 2025.05.21 0 45
1349

전국 법관 모여 '재판독립 침해 우려·공정성' 논의…안건채택

KReporter | 2025.05.20 | Votes 0 | Views 38
KReporter 2025.05.20 0 38
1348

이재명, 경기북부 돌며 "평화가 곧 경제"…수도권서 굳히기 주력

KReporter | 2025.05.20 | Votes 0 | Views 61
KReporter 2025.05.20 0 61
1347

이재명 "좌파·우파 왜 가르나, 그냥 '양파'로"…연일 통합 강조

KReporter | 2025.05.19 | Votes 0 | Views 45
KReporter 2025.05.19 0 45
1346

탈당한 尹, 두번째 포토라인도 묵묵부답…법정서도 조용히

KReporter | 2025.05.19 | Votes 0 | Views 61
KReporter 2025.05.19 0 61
1345

이재명 "골프와 선거는 고개 쳐들면 진다"…대선 낙관론 경계령

KReporter | 2025.05.16 | Votes 0 | Views 33
KReporter 2025.05.16 0 33
1344

경찰, 대선후보 협박글 9건 접수…이재명 8건·이준석 1건

KReporter | 2025.05.16 | Votes 0 | Views 43
KReporter 2025.05.16 0 43
1343

중앙지법 "지귀연 부장판사 의혹제기 추상적…밝힐 입장 없다"

KReporter | 2025.05.15 | Votes 0 | Views 42
KReporter 2025.05.15 0 42
1342

유보통합·사교육비 부담 완화·교권 강화 '한목소리'

KReporter | 2025.05.15 | Votes 0 | Views 56
KReporter 2025.05.15 0 56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