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

응급실 군의관 235명 추가 투입…오늘 150명 우선 배치

사회
Author
KReporter
Date
2024-09-09 08:31
Views
144

파견 군의관 '응급실 근무 거부' 등 현장 혼선 이어져

정부 "본인 의사와 병원 수요 확인해 이번주 전원 배치"




병원 도착한 군의관

병원 도착한 군의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부가 9일부터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의료기관에 군의관 235명을 순차적으로 추가 투입한다.

앞서 투입된 군의관들이 임상경험 부족 등을 이유로 복귀를 요청하면서 응급실에서 근무하지 않는 등 현장에서 혼선을 빚고 있지만, 정부는 이날 235명 중 일부를 시작으로 예정됐던 인력을 계획대로 배치하기로 했다.

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4일 군의관 15명에 이어 이날부터 235명이 순차적으로 의료기관에 파견·배치된다.

복지부는 의료기관의 필요도에 따라 우선 군의관 150여명을 파견하고, 나머지 인원은 금주 내 순차적으로 배치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인력 부족으로 권역·지역센터를 포함한 일부 의료기관의 응급실 운영이 차질을 빚자 군의관 250명 등 대체인력을 파견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

지난 4일 이대목동병원 3명, 아주대병원 3명, 세종충남대병원 2명, 충북대병원 2명, 강원대병원 5명 등 의료기관 5곳에 군의관 15명을 파견했고, 이날까지 235명을 추가 파견·배치할 계획이었으나 일부 속도를 조절 중이다.

앞서 파견된 군의관 중 일부는 현장경험과 진료역량 부족 등을 이유로 복귀를 요청하며 응급실 진료를 거부했고,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를 투입하는 대책에 실효성이 있느냐는 지적마저 불거졌다.

더구나 응급실 근무를 거부한 군의관을 두고 징계를 거론했다가 번복하는 등 복지부 역시 부적절하게 대응하면서 현장의 혼란을 키우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주에 벌어진 상황 등을 고려해 주말에 군의관들의 의견과 의료기관의 필요 등을 재차 확인하는 작업을 거쳤다고 강조했다.

배경택 복지부 건강정책국장은 "그동안에도 배치되는 군의관의 의견과 의료기관에서의 수요 등을 감안했었는데, 지난주에 일부 문제가 발생해 다시 한번 본인의 의사와 병원의 수요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며 "확인되신 분들을 먼저 파견하고 나머지는 내일과 모레 순차적으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 국장은 "본인들의 의사와 병원의 수요를 다시 한번 주말에 확인하다 보니까 일부 지연됐으나, 이번 주 안에 235명 모두 배치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65개 이상의 병원에 250명이 근무를 하게 된다"고 말했다.



'응급실로'

'응급실로'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전국 곳곳에서 응급실 운영이 파행하는 가운데 정부가 4일 군의관 등 보강 인력을 긴급 배치했다.
이날 서울 양천구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에서 한 환자가 응급의료센터로 이동하고 있다. 2024.9.4 ksm7976@yna.co.kr




복지부에 따르면 조기 배치된 군의관 15명 중 7명은 파견된 병원에서 배후 진료를 담당하고 있고, 8명은 다른 병원으로 이동 배치하는 방안을 복지부와 국방부가 협의 중이다.

전체 파견되는 군의관 250명 중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8명이지만, 이들의 업무는 현장 수요와 본인 의사 등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다.

복지부는 이날 파견되는 군의관 중에서도 응급실 근무를 거부하는 등의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파견 전 충분히 의견을 확인했다고 거듭 설명했다.

배 국장은 "최근 며칠 사이에 본인들의 의견과 의료기관의 수요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우려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복지부는 국방부와 군의관 배치에 대해 협의하는 한편, 의료기관에 파견된 군의관이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 소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앞으로는 파견된 군의관의 업무범위 등을 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의료기관과 원활하게 업무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1241

野 "계엄때 대검·방첩사·국정원 통화"…검·국정원 "사적연락"

KReporter | 2025.03.05 | Votes 0 | Views 90
KReporter 2025.03.05 0 90
1240

"교문 앞까지 시위대가…" 헌재 인근 학교들, 선고 때 휴업 검토

KReporter | 2025.03.05 | Votes 0 | Views 93
KReporter 2025.03.05 0 93
1239

마은혁 합류해도 헌재 8인체제 결론 전망…5대 3 이견 땐 변수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114
KReporter 2025.03.04 0 114
1238

'40년전 전교생 5천명' 광주 중앙초 신입생 1인 입학식

KReporter | 2025.03.04 | Votes 0 | Views 102
KReporter 2025.03.04 0 102
1237

'이재명 모교' 중앙대도 탄핵찬반 두동강…구호·고성 뒤섞여

KReporter | 2025.03.03 | Votes 0 | Views 102
KReporter 2025.03.03 0 102
1236

"머리로는 샤넬, 현실은 다이소를 산다"

KReporter | 2025.03.03 | Votes 0 | Views 118
KReporter 2025.03.03 0 118
1235

'계엄가담' 707단장 등 군·경 지휘부 기소…검찰 "계속 수사"

KReporter | 2025.02.28 | Votes 0 | Views 91
KReporter 2025.02.28 0 91
1234

3·1절 탄핵 찬반 대규모 집회 전초전…"파면" vs "복귀"

KReporter | 2025.02.28 | Votes 0 | Views 98
KReporter 2025.02.28 0 98
1233

헌재 "최상목, 마은혁 임명할 의무 있어"…직접임명 청구는 각하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99
KReporter 2025.02.27 0 99
1232

에어부산 출발 지연 결정 10분뒤 발화…1분만에 비상탈출 지시

KReporter | 2025.02.27 | Votes 0 | Views 99
KReporter 2025.02.27 0 99
1231

헌재, 尹탄핵심판 본격 평의절차 돌입…도청방지 등 철통보안

KReporter | 2025.02.26 | Votes 0 | Views 89
KReporter 2025.02.26 0 89
1230

이재명 '선거법 위반' 2심 3월 26일 선고…검찰, 징역 2년 구형

KReporter | 2025.02.26 | Votes 0 | Views 96
KReporter 2025.02.26 0 96
1229

尹탄핵심판, 8시간 최종변론 끝에 종결…3월 중순 선고 전망

KReporter | 2025.02.25 | Votes 0 | Views 91
KReporter 2025.02.25 0 91
1228

전두환 흉내 내며 광주 조롱한 中틱토커…서경덕 "기가 찰 노릇"

KReporter | 2025.02.25 | Votes 0 | Views 105
KReporter 2025.02.25 0 105
1227

尹탄핵심판 마지막 변론 방청 신청 1천868명…경쟁률 93대1

KReporter | 2025.02.24 | Votes 0 | Views 94
KReporter 2025.02.24 0 94
1226

다자녀 직원 정년 후 재고용에 초등 입학시 5일 휴가까지

KReporter | 2025.02.24 | Votes 0 | Views 97
KReporter 2025.02.24 0 97
1225

尹측 "공수처, 중앙지법 尹영장 기각되자 서부로…영장쇼핑"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101
KReporter 2025.02.21 0 101
1224

고려대에 탄핵찬반 유튜버·외부단체 몰려 아수라장…2명 부상

KReporter | 2025.02.21 | Votes 0 | Views 108
KReporter 2025.02.21 0 108
1223

尹 "빨리 직무 복귀해 세대통합 힘으로 한국 이끌겠다"

KReporter | 2025.02.20 | Votes 0 | Views 104
KReporter 2025.02.20 0 104
1222

아내 살해한 뒤 2개월여간 차 트렁크에 시신 보관한 남편 체포

KReporter | 2025.02.20 | Votes 0 | Views 103
KReporter 2025.02.20 0 103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