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

출산율 첫 '0.6명대' 추락…역대·세계 최저 '셀프 경신'

사회
Author
KReporter
Date
2024-02-28 07:28
Views
265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 0.65명…연간 출산율도 0.78명→0.72명 '뚝'

올해 연간 출산율도 0.6%대로 떨어질듯…작년 출생아 23만명 '또 최저'




신생아

신생아

[연합뉴스TV 제공]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기록적인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사상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졌고 올해는 연간 기준으로도 0.7명선이 무너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혼인 건수가 늘어난 점을 향후 출산율 개선 요인으로 꼽고 있지만, 최근 심화하는 출산 기피 현상 등에 비춰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회의에서 김영미 부위원장과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2023,3.28 jeong@yna.co.kr




◇ 바닥 모르는 저출산…출생아 수, 7년 만에 40만→23만명 급감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3년 출생·사망 통계'와 '2023년 12월 인구동향'을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전년(24만9천200명)보다 1만9천200명(7.7%) 줄었다. 지난해에 이어 또 역대 최저 기록이다.

2016년(40만6천200명)까지 40만명을 웃돌던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35만7천800명) 40만명을 하회한 데 이어 2020년(27만2천300명)과 2022년(24만9천200명) 각각 30만명, 25만명 선이 무너졌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은 전년보다 0.4명 감소한 4.5명으로 집계됐다.



저출산 (PG)

저출산 (PG)

[백수진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작년 0.72명이었다. 전년(0.78명)보다 0.06명 줄며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합계출산율은 2015년(1.24명)을 정점으로 8년째 하락세다. 2021·2022년 각각 0.03명이었던 하락 폭도 지난해 두배 수준으로 커지는 등 하락 속도도 빨라지는 모습이다.

실제로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1년 전보다 0.05명 감소하며 0.70명선마저 붕괴됐다. 사상 첫 0.6명대 분기 출산율이다.

4분기 출생아 수는 5만2천618명으로 1년 전보다 3천905명(6.9%) 줄었다. 작년 12월 출생아는 1만6천253명으로 1년 전보다 643명(3.8%) 감소했다.



저출산대책ㆍ출산ㆍ육아(PG)

저출산대책ㆍ출산ㆍ육아(PG)

[제작 이태호, 최자윤] 사진합성, 일러스트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최근 3년 중 지난해 합계출산율 감소 폭이 컸다"라며 "코로나19 당시 혼인 건수가 많이 줄어든 영향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한국의 저출산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사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심각한 수준이다.

2021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중 합계출산율이 1.00명에 못 미치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여성의 첫째아 출산연령(32.6명)도 회원국 중 가장 많다.



신혼부부 첫출산 때 10쌍 중 1쌍 꼴로 맞벌이 포기(CG)

신혼부부 첫출산 때 10쌍 중 1쌍 꼴로 맞벌이 포기(CG)

[연합뉴스TV 제공]




◇ 35세 이상 산모 비중 36% 넘어…40대 초반 출산율 감소 전환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은 45세 미만 모든 연령층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5세 이상 출산율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출산율 감소세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에서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30∼34세 출산율(66.7명)은 전년보다 6.8명 줄어 전 연령대 중 감소 폭이 가장 컸고 25∼29세 출산율(21.4명)은 2.6명 줄어 뒤를 이었다. 증가세를 보이던 40∼44세 출산율(7.9명)은 0.1명 줄면서 다시 7명대로 내려앉았다.

산모 출산 연령도 상승하는 추세다.

여성의 평균 출산연령은 33.6세로 전년보다 0.1세 올랐다. 35세 이상 산모 비중은 전년보다 0.6%포인트(p) 상승한 36.3%를 기록했다.

첫째아 출산 연령은 33.0세로 전년보다 0.1세 늘었다. 둘째아와 셋째아 출산 연령도 전년보다 각각 0.2·0.1세 늘어난 34.4세, 35.6세로 집계됐다.

첫째아는 13만8천300명으로 전년보다 6천700명(4.6%) 줄었다. 둘째아와 셋째아는 각각 9천500명(11.4%), 2천900명(14.5%) 감소한 7만4천400명, 1만7천300명이었다.

둘째·셋째아가 더 큰 폭으로 줄면서 첫째아 비중은 전년보다 1.9%p 상승한 60.1%를 기록했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성비는 105.1명으로 전년보다 0.4명 증가했다. 출생성비는 매년 등락은 있지만 105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결혼 뒤 2년 내 낳는 출생아 수는 지난해 7만4천600명으로 전년보다 1천100명(1.5%) 감소했다. 다만 결혼 후 2년 내 낳는 출생아 비중은 전년보다 2.4%p 상승한 33.9%를 기록했다.



새해 저출산 해결책은

새해 저출산 해결책은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올해 마지막 국무회의에서 저출산 대책에 대한 근본적 전환을 시사한 가운데 26일 서울의 한 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 일부 요람이 비어 있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작년 0.78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가장 낮고, 전 세계에서 홍콩(0.77 명)에 근소한 차이로 뒤지는 '꼴찌에서 2번째'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50년가량 지난 2072년에는 작년말 말 기준 5천144만명이던 인구가 3천622만명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이때가 되면 중위 연령(전체 인구 중 중간 연령)은 63.4세로,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환갑을 넘는 '노인 국가'가 된다. 2023.12.26 ondol@yna.co.kr




◇ 정부 "혼인건수 늘어 출산율 반등 여지…출산 기피 경향이 변수"

정부는 올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도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이 추계한 올해 합계 출산율은 0.68명이다.

임영일 과장은 "올해 출생아 수는 작년 23만명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합계출산율도 작년 추계치에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엔데믹 이후 혼인 건수가 증가한 점을 향후 출산율이 개선될 수 있는 긍정적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최근 딩크족 증가 등 출산 기피 현상으로 이마저도 무조건 낙관할 수만은 없다는 것이 정부의 분석이다.

임영일 과장은 "혼인 건수 증가가 출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이 있어서 합계출산율이 반등할 수 있는 여지는 있다"라면서도 "혼인을 한 뒤 출산을 안 하는 경향이 늘고 있어서 혼인 건수가 출산으로 이어질 개연성은 과거보다 낮다"고 말했다.



[그래픽] 출생아 수·합계출산율 추이(종합)

[그래픽] 출생아 수·합계출산율 추이(종합)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ew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1411

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추가 신청…사건 이첩 두고 공방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15
KReporter 2025.07.03 0 15
1410

'마약류 상습투약' 유아인, 대법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확정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17
KReporter 2025.07.03 0 17
1409

李대통령 "지난 한 달은 국민 열망 새겼던 시간…쉼 없이 달려" (1)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24
KReporter 2025.07.02 0 24
1408

45명 당했다…훔친 전화기로 현금 2억7천만원 빼돌린 전과 27범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29
KReporter 2025.07.02 0 29
1407

'국회 존중' 들고나온 李대통령…'尹정부 방통위' 겨냥 해석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29
KReporter 2025.07.01 0 29
1406

1만1천260원 vs 1만110원…내년 최저임금 노사 격차 여전히 커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35
KReporter 2025.07.01 0 35
1405

내란특검, 尹조사일 변경 불허…"안 나오면 출석불응, 재통보"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28
KReporter 2025.06.30 0 28
1404

국정위 "동물복지 실질적으로 향상할 국정과제 만들 것"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21
KReporter 2025.06.30 0 21
1403

김건희 여사, 휠체어 타고 퇴원…특검 출석 앞둔 尹 동행

KReporter | 2025.06.27 | Votes 0 | Views 28
KReporter 2025.06.27 0 28
1402

대통령실, '초강수 대출 규제' 첫 부동산 대책 신중 주시 (1)

KReporter | 2025.06.27 | Votes 0 | Views 25
KReporter 2025.06.27 0 25
1401

특검 "尹 지하로 출석요구 수용불가"…尹측 "노출만 막아달라"

KReporter | 2025.06.26 | Votes 0 | Views 26
KReporter 2025.06.26 0 26
1400

최저임금 심의 법정 기한 또 넘겨…노사 수정안 격차 1천390원

KReporter | 2025.06.26 | Votes 0 | Views 33
KReporter 2025.06.26 0 33
1399

尹측, 내란특검 28일 출석요구에 "당당히 응할 예정"

KReporter | 2025.06.25 | Votes 0 | Views 23
KReporter 2025.06.25 0 23
1398

130분 토론 꽉채운 李대통령…송곳 질문에 분위기 전환 농담도

KReporter | 2025.06.25 | Votes 0 | Views 25
KReporter 2025.06.25 0 25
1397

특검 체포영장에 尹"소환 응하려 했다"…특수통 수싸움

KReporter | 2025.06.24 | Votes 0 | Views 31
KReporter 2025.06.24 0 31
1396

'나는솔로' 출연 30대 남성 구속…20대 여성 성폭행 혐의

KReporter | 2025.06.24 | Votes 0 | Views 36
KReporter 2025.06.24 0 36
1395

계엄사 기조실장 "예방적 계엄 없다"…尹, 직접 증언 반박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24
KReporter 2025.06.23 0 24
1394

백종원 '더본코리아', 원산지 거짓 표시 혐의로 검찰 송치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47
KReporter 2025.06.23 0 47
1393

내란특검보 임명·파견검사 업무착수…특검 완전체 가동 속도전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36
KReporter 2025.06.20 0 36
1392

통일교, '샤넬백 전달' 전 간부 출교 조치…'폭로전' 치닫나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33
KReporter 2025.06.20 0 33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