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애틀총영사관 사칭 보이스피싱 기승” 한인사회 각별한 주의 필요
주시애틀총영사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한인 사회를 대상으로 확산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사기범들은 총영사관 공식 전화번호(206-441-1011~4)를 조작해 발신하는 방식으로 금융사기 및 개인정보 탈취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기범들은 대사관 또는 영사관 직원을 사칭해 피해자에게 전화를 걸어, 한국 검찰청·금융감독원·경찰청·법무부 등으로부터 전달할 사항이 있는 것처럼 속이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피해자가 범죄에 연루되었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개인정보 제공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를 통해 주민등록번호, 사회보장번호(SSN), 금융정보 등을 확보한 뒤, 가짜 웹사이트로 유도해 송금을 강요하는 방식이다.
최근 시애틀총영사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의 특징 중 하나는 사기범이 실제 총영사관의 영사 이름을 대며 신뢰를 형성하려 한다는 점이다. 또한, 검찰청에서 구속영장이 발부되었다는 허위 사실을 내세운 뒤, 보안 조사를 이유로 텔레그램 설치를 강요하고, 제3자에게 알리지 말라고 협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기범들은 가짜 검찰청 웹사이트를 안내한 후, 피해자가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가짜 구속영장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다.
만약 피해자가 의심하는 반응을 보일 경우, 사기범들은 오히려 "시애틀총영사관에 직접 확인해보라"고 유도하며 교묘한 수법을 동원하고 있다. 또한, 범죄 연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외 계좌로 송금을 강요하는 등 점점 더 정교한 방식으로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주시애틀총영사관은 이에 대해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내 공공기관에서도 전화나 온라인을 통해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일은 없다"며, 이러한 요청을 받았을 경우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를 받았거나 피해를 입었을 경우, 즉시 관할 경찰서나 미연방통신위원회(FCC)에 신고해야 한다. 또한, 한인 사회 내에서 유사 사례를 공유해 추가 피해를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시애틀총영사관은 텔레그램을 사용하지 않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공관 관계자는 "공관을 사칭한 사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항상 의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하며, 의심되는 전화나 이메일을 받았을 경우 반드시 공식 채널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KSEATT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