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취임첫날 트럼프 "늘 美 최우선"…'바이든지우기' 폭풍 행정명령

Author
KReporter
Date
2025-01-21 06:06
Views
180

4년만에 백악관 복귀…취임사에서 '美 우선주의 2.0' 추진 선포

대외군사개입 자제 시사하며 기후협약·세계보건기구 재탈퇴 선언

바이든 행정부 시절 행정명령·조치 78건 무더기 철회…"40개 이상 새 행정명령 서명"




취임식에서 취임사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 2.0' 시대를 선언하며 4년 만에 백악관에 복귀했다.

취임식이 끝나기가 무섭게,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대거 뒤집고, 미국의 국제사회 리더 역할을 축소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잇달아 서명하며 미국은 물론 세계에 충격파를 던졌다.

2017년부터 4년간 제45대 대통령으로 재임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사당 로툰다(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선서하고 47대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고 선언한 뒤 "나는 트럼프 행정부 임기 중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우 단순히, 미국을 최우선시할 것"이라며 집권 1기 취임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국정 모토로 내세웠다.

아울러 "우리는 세계에서 본 적 없는 가장 강력한 군대를 건설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우리의 성공을 우리가 승리한 전투뿐 아니라 우리가 끝낸 전쟁, 아마도 가장 중요하게는 우리가 시작하지 않은 전쟁에 의해 평가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대외 군사개입을 자제하는 '트럼프판 신고립주의'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다른 나라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동맹국의 안보 부담 확대 기조를 재확인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서부 개척 등을 비롯한 미국의 영토 확장 역사를 설명하면서 "프런티어 정신"을 거론하고,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되찾아 오겠다고 밝혀 미국 주변에서의 '신확장주의' 논란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무역 시스템 재점검 및 외국에 대한 관세 부과(확대) 방침을 밝히고, 전기차 우대정책을 포함한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산업정책인 '그린 뉴딜'의 종료를 선언했다.

남부 국경에 대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수많은 범죄자 외국인을 그들의 출신지로 돌려보내는 절차를 시작할 것"이라며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추방 정책을 시행할 것임을 예고했다.

또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한편, 석유 등에 대한 시추 확대를 의미하는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을 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 정부의 공식 정책은 남녀 2개의 성별만 있게 될 것"이라며 "공공 및 사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인종과 성별 대신 능력에 기반한 사회를 만들 것"이라고 밝히는 등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강화된 '마이너리티(소수·취약계층) 권리 증진' 기조 폐기를 공언했다.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춤추는 트럼프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춤추는 트럼프 대통령

[AP=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2만명 수용 규모의 실내 체육관인 캐피털원 아레나에서 지지자들이 지켜보는 자리와, 기자들이 진을 친 백악관 집무실에서 취임사에서 밝힌 국정 기조를 이행하는 행정명령에 잇달아 서명했다.

CNBC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40개가 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이에 더해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내린 행정명령 및 조치 78건을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예고했던 대로 'ABB(Anything But Biden·바이든 정책 전면 부정) 바람'이 시작된 셈이다.

트럼프가 철회한 전(前) 정부 행정조치는 인종간 평등 증진, 성차별 방지, 기후변화 대응,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연방 정부 차원의 대응, 정무직 공무원을 위한 추가적인 윤리 의무 부과, 처방약 관련 가격 인하,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는 이스라엘 정착민 제재 등과 관련된 것들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와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각각 재탈퇴하는 내용이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행정명령에 포함됐다.

WHO와 파리기후변화협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 발을 뺐다가 바이든 전 대통령이 복귀시켜 놓은 것인데, 권좌에 돌아온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재차 탈퇴하는 수순을 밟기로 했다.

이에 따라 환경과 보건 등 국가간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슈에서 미국이 국제적 리더십을 방기하려 한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 쿠바를 미국 지정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빼기로 한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결정도 백악관의 새 주인인 트럼프 대통령이 취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한 자신의 지지자들에 의한 2021년 1월 6일 의회 난입 사태(1·6 사태) 관계자 1천500여 명을 사면하고 14명을 감형했다.

당시 폭력을 동반하며 7시간 동안 이뤄진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사당 점거로 경찰관 140명 이상이 부상하고 트럼프 지지자 4명과 경찰관 5명이 직간접적 영향으로 목숨을 잃은 1·6 사태의 엄중함에 비춰 논란이 예상된다.

이날 행정명령들은 작년 11월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하기 전후에 예고했던 것들이 대부분 현실로 되고 있음을 의미했다.

앞으로 전 세계는 미국이 과거 정부 때 했던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와 자유 민주진영 리더 역할을 축소하는 가운데, '안보 무임승차 불가', '관세 확대에 입각한 보호 무역주의' 등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대응을 놓고 부심하게 됐다.

미국 국내적으로는 지난 4년간 민주당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여러 정책이 부정되는 상황에서 정치적 양극화와 분열상이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단임으로 4년 임기를 마친 바이든 전 대통령은 취임식 참석을 끝으로 반세기 넘는 영욕의 정치 인생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이날 퇴임 직전 자신의 동생 부부 등 가족 5명과, 마크 밀리 전 합참의장, 앤서니 파우치 전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 등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보복 수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인물들에 대해 형사처벌을 미리 면제하는 '선제적 사면'을 단행했다.



취임 선서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선서하는 트럼프 대통령

[EPA=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jhcho@yna.co.kr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1919

트럼프 관세 인상만큼 재빨리 가격 올린 미국 기업들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203
KReporter 2025.06.05 0 203
41918

"출생 반대" 美난임클리닉 테러 공모 '한국계 추정 30대' 체포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180
KReporter 2025.06.05 0 180
41917

IMF "무역전쟁이 코로나보다 신흥국에 더 큰 도전"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61
KReporter 2025.06.05 0 61
41916

큰손 투자자들 탈미국 움직임에…유럽 반사이익 보나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70
KReporter 2025.06.05 0 70
41915

“미국 떠나 캐나다로” 트럼프 재집권에 미국 의사들 탈출 러시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401
KReporter 2025.06.04 0 401
41914

미 주택시장, 역대급 '바이어 마켓’…집값 하락 신호탄 되나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552
KReporter 2025.06.04 0 552
41913

"생애 첫 내 집 마련, 어디가 좋을까"…첫주택 구매자에 최적 도시는?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268
KReporter 2025.06.04 0 268
41912

FBI, '불임클리닉 차량 폭발' 연루 WA 남성 체포…반출산주의 배후 드러나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178
KReporter 2025.06.04 0 178
41911

트럼프 관세 여파…알래스카항공, 여름 항공편 줄이고 승객 재배정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219
KReporter 2025.06.04 0 219
41910

"11살 소년 중태"…에버렛 아파트서 갱단 관련 총격 추정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201
KReporter 2025.06.04 0 201
41909

美, 李대통령에 "한미동맹 철통"…"전세계에 中영향력" 우려도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108
KReporter 2025.06.04 0 108
41908

'연내 인하 없다'부터 '연속 빅컷'까지…미국 금리 전망 안갯속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116
KReporter 2025.06.04 0 116
41907

미국 경제 심장마비, 늑대가 문 앞에…월가 거물들 잇단 경고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177
KReporter 2025.06.04 0 177
41906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25%→50% 인상 발효…韓업계 부담 가중

KReporter | 2025.06.04 | Votes 0 | Views 53
KReporter 2025.06.04 0 53
41905

“조건 안 맞아도 도전하라” 미 취업난 속 생존 전략 5가지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441
KReporter 2025.06.03 0 441
41904

마이크로소프트, 레드먼드 직원 8월 추가 해고…또 한 번 감원 칼바람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698
KReporter 2025.06.03 0 698
41903

“검색에서 삭제”…구글 비즈니스 정지에 WA 소상공인 집단 반발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347
KReporter 2025.06.03 0 347
41902

공항 충전기·와이파이 함부로 쓰지 마세요…TSA, 보안 주의 당부

KReporter | 2025.06.03 | Votes 1 | Views 1182
KReporter 2025.06.03 1 1182
41901

알래스카항공, 시애틀-로마 직항 신설…서울 이어 유럽 첫 노선 개통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307
KReporter 2025.06.03 0 307
41900

오리건주 노숙인 보호소 집단 흉기난동…12명 입원, 용의자 체포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136
KReporter 2025.06.03 0 136
41899

"美, 무역협상 상대국에 '4일까지 최상의 제안 내라' 요구 계획"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96
KReporter 2025.06.03 0 96
41898

트럼프 "타국은 美에 관세 쓰는데 우리는 못하면 생존 불가"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85
KReporter 2025.06.03 0 85
41897

"수백조 들인 트럼프 골든돔, '대세' 드론 공격엔 쓸모 없어"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112
KReporter 2025.06.03 0 112
41896

"美, 베트남에 中의존도 축소 등 방대하고 까다로운 요구"

KReporter | 2025.06.03 | Votes 0 | Views 68
KReporter 2025.06.03 0 68
41895

시애틀, 더 이상 '젊음의 도시' 아니다… 2030세대 줄며 인구 고령화 가속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372
KReporter 2025.06.02 0 372
41894

“저녁 9시, 아직도 해가 반짝?”…시애틀, 밤 9시 일몰 시작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163
KReporter 2025.06.02 0 163
41893

“시애틀 제2공항 뜬다” 페인필드, 프런티어 항공 유치하며 대규모 확장 시동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407
KReporter 2025.06.02 0 407
41892

"아스피린, 암 예방 효과 있다" 하버드대 연구팀 30년 추적조사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246
KReporter 2025.06.02 0 246
41891

“워싱턴 밤하늘 물들였다”…오로라, 시애틀 등 서부 전역서 포착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384
KReporter 2025.06.02 0 384
41890

“켄트 거주 이민자, 마약 대규모 밀반입”…징역 10년 선고 후 추방될 듯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268
KReporter 2025.06.02 0 268
41889

따로 움직이는 미국 달러와 국채 금리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173
KReporter 2025.06.02 0 173
41888

트럼프 "법원이 관세 막으면 美, 외국 인질되고 경제파멸"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131
KReporter 2025.06.02 0 131
41887

'사람 죽이는 정책' 항의받은 美정치인 "어차피 모두 죽잖아요"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139
KReporter 2025.06.02 0 139
41886

"미국은 이제 위험해"…中부유층 자녀 유학 선호국가 달라져

KReporter | 2025.06.02 | Votes 0 | Views 173
KReporter 2025.06.02 0 173
41885

"WA 국경서 유색인종 학생만 골라 억류" 사마미시 가톨릭학교, 공식 항의

KReporter | 2025.05.30 | Votes 1 | Views 1239
KReporter 2025.05.30 1 1239
41884

美, 중국 유학생 비자 취소 선언…UW 학생들 “우리도 쫓겨나는 건가요?”

KReporter | 2025.05.30 | Votes 0 | Views 1024
KReporter 2025.05.30 0 1024
41883

시택 공항서 체포된 미 영주권자, 4개월 만에 석방…이민 판사 '구금 부당'

KReporter | 2025.05.30 | Votes 0 | Views 848
KReporter 2025.05.30 0 848
41882

“과거·현재·미래를 한눈에!” 린우드 이벤트센터, 20주년 기념 히스토리 월 공개

KReporter | 2025.05.30 | Votes 0 | Views 328
KReporter 2025.05.30 0 328
41881

“시속 120마일 광란 질주”…벨뷰 10대 오토바이 운전자들 잇따라 체포

KReporter | 2025.05.30 | Votes 0 | Views 343
KReporter 2025.05.30 0 343
41880

“스키마스크 쓴 10대들, 버스정류장서 강도”…어번 경찰, 무더기 체포

KReporter | 2025.05.30 | Votes 0 | Views 445
KReporter 2025.05.30 0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