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트럼프, 취임 첫날 최대규모 불법이민자 추방…"행정명령 작성중"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4-11-11 06:59
조회
370

인수위 "행정명령 수십개 작성"…'멕시코 잔류' 정책도 복원

'국경차르' 호먼, 구금센터 수용·미군 역할 거론하며 집행 자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첫날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불법 이민자 추방을 개시할 것이라고 정권 인수팀 측이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캐롤라인 래빗 정권 인수팀 대변인은 이날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 1월 20일 취임 뒤 서명할 수십 개의 행정명령을 현재 정책 고문들이 작성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래빗 대변인은 또 트럼프 당선인이 이른바 '멕시코 잔류'(Remain in Mexico) 정책도 복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정책은 이민 희망자가 관련 절차를 밟을 동안 미국-멕시코 국경의 멕시코 쪽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도입됐으나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의 폐기 노력과 법정 공방, 멕시코의 반대 등으로 그동안 집행이 지지부진했다.

래빗 대변인은 아울러 "프래킹(셰일가스 추출을 위한 수압 파쇄법)과 시추를 촉진하는" 행정 명령도 준비하고 있다며 트럼프 당선인은 "이미 밤낮 없이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당선인은 선거운동 기간 불법 이민 문제를 주요 이슈로 부각하며 유권자 표심을 자극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남부 국경 통제에 실패하면서 대거 불법 이민자가 유입됐으며 이들이 강력 범죄 상승, 집값 상승, 미국인의 일자리 약탈 등 사실상 모든 사회문제의 원인이 됐다는 주장이었다.

나아가 트럼프 당선인은 유세에서 군 병역을 동원해 이주 노동자를 추방한 1950년대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정책을 모델로 제시하며 불법 이민자 최대 2천만 명을 겨냥한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을 실시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래픽] 트럼프 취임 당일 행정명령 시행 전망

[그래픽] 트럼프 취임 당일 행정명령 시행 전망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럼프 2기 행정부 '국경 차르' 내정된 톰 호먼

트럼프 2기 행정부 '국경 차르' 내정된 톰 호먼

[게티 이미지=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당선인의 이런 구상에 대해 일각에서는 대규모 구금에 따른 인권 침해 우려를 제기해왔다.

미국 싱크탱크인 미국이민협의회는 이전의 그 어떤 추방 프로그램도 1년에 50만 명 이상을 관리한 적이 없다며 "대량 구금 없이 이 임무를 완수할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연방·주·카운티 등 미 전역 구치소와 교도소의 전체 수감자는 190만 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트럼프 당선인 측은 이번 대규모 추방이 철저한 계획하에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이민세관단속국(ICE) 국장 직무대행을 맡았던 톰 호먼은 영국 일간 더타임스 일요판 '더선데이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새롭게 건설되는 구금 센터들이 추방될 사람들을 수용할 것이며 미군이 그들을 수송하는 데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호먼은 "우리는 최악 중 최악의 상황에 집중할 것"이라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황에 충분히 대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그는 "진보 언론이 예측하는 것과 매우 다를 것"이라며 대규모 추방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인도주의 재난 등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호먼은 11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국경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국경 차르'로 내정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차르'가 여러 부처에 걸친 권한을 지닌 백악관 내 직책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0735

돌아온 '관세맨' 트럼프…아시아 통화가치 2년여만에 최저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155
KReporter 2024.12.17 0 155
40734

미상원 "아마존, 직원안전 무시해 부상↑…부상=비용으로 여겨"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103
KReporter 2024.12.17 0 103
40733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 검토에 전기차·배터리 업계 촉각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66
KReporter 2024.12.17 0 66
40732

미국 15세 소녀가 교실서 권총 탕탕…성탄연휴 앞두고 또 총기비극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198
KReporter 2024.12.17 0 198
40731

미국 주택 소유자vs임차인 간 순자산 격차, 40배 이상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451
KReporter 2024.12.16 0 451
40730

WA 푸드뱅크, 물가 상승 속 1,000만 방문 예상하며 긴급 대응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88
KReporter 2024.12.16 0 288
40729

시어스, 워싱턴주 마지막 매장 폐점… ‘소매업 황금기’의 종말 상징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99
KReporter 2024.12.16 0 299
40728

린우드 비영리 중고품 매장, 3주 만에 두 차례 도둑 맞아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333
KReporter 2024.12.16 0 333
40727

우딘빌 스모크샵, 기아차 ‘스매시 앤 그랩’ 범죄 발생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56
KReporter 2024.12.16 0 256
40726

트럼프 리스크에…경제학자들 "연준, 금리 많이 못 내릴 듯"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148
KReporter 2024.12.16 0 148
40725

관세폭탄 공포…사재기 나선 미국 소비자들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37
KReporter 2024.12.16 0 237
40724

"트럼프팀, 전기차 지원 대폭 축소…배터리 소재에 관세 계획"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117
KReporter 2024.12.16 0 117
40723

오인 해명에도 미국 '드론불안' 지속…앤디김 "책임있게 대응해야"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86
KReporter 2024.12.16 0 86
40722

시애틀 시의회, 심야 클럽·바 규제 강화 법안 검토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362
KReporter 2024.12.13 0 362
40721

중국 밀수업자, 벨뷰 핫팟 식당 직원 납치·폭행…유죄 인정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997
KReporter 2024.12.13 0 997
40720

바이든, 비폭력 범죄자 사면에 워싱턴주 주민 3명 포함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76
KReporter 2024.12.13 0 276
40719

보온병 열풍 이끈 스탠리, 뚜껑 분리 위험으로 260만 개 리콜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575
KReporter 2024.12.13 0 575
40718

노스 스포캔 차량 화재서 3살배기 딸 구한 어머니의 용기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86
KReporter 2024.12.13 0 286
40717

미국, 전기차 지원폐기 진통 클듯…"25개 공장 중 19개 공화 지역"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316
KReporter 2024.12.13 0 316
40716

"머스크 적대는 실수?"…미국 민주, 더 세진 억만장자에 화해 손짓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71
KReporter 2024.12.13 0 271
40715

앤디김, 뉴저지 정체불명 드론 출몰에 "당국에 브리핑 요청"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12
KReporter 2024.12.13 0 212
40714

트럼프 "자동화 대신 노동자 고용해야"…美항만노조 입장 지지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92
KReporter 2024.12.13 0 92
40713

시애틀, 고소득과 저소득 동네 간 큰 격차 나타나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591
KReporter 2024.12.12 0 591
40712

피어스 카운티 소방당국, 일산화탄소 경보장치 무료 배포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183
KReporter 2024.12.12 0 183
40711

렌턴 아동 성매매 단속 작전에 전 시애틀 교감 포함 7명 체포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320
KReporter 2024.12.12 0 320
40710

타코마 포인트 디파이언스 공원서 성폭행 사건 발생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325
KReporter 2024.12.12 0 325
40709

에버렛 아파트 단지에서 총격 발생, 1명 사망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214
KReporter 2024.12.12 0 214
40708

미국 11월 도매물가 전월대비 0.4%↑…예상 밖 상승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81
KReporter 2024.12.12 0 81
40707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시진핑 초청"…중국 "발표할 소식 없다"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179
KReporter 2024.12.12 0 179
40706

아들 사면 뒤 뭇매맞은 바이든, 역대 최대 1천500명 사면·감형 (1)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192
KReporter 2024.12.12 0 192
40705

"더러운 중국산 마늘 막아야" 미의원 발언에 중국 '부글부글'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214
KReporter 2024.12.12 0 214
40704

WA, 새해부터 과실 운전자 처벌 강화, ‘취약 도로 이용자’ 보호법 발효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399
KReporter 2024.12.11 0 399
40703

에드먼즈 교육구, '이민자 권리 알림' 행사 온라인 반발로 취소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261
KReporter 2024.12.11 0 261
40702

시애틀, 2026 월드컵 경기 개최로 최소 9억 달러 경제 효과 기대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337
KReporter 2024.12.11 0 337
40701

사랑니 제거 중 17세 소년 숨져…유가족, 병원 상대로 소송 제기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517
KReporter 2024.12.11 0 517
40700

퓨얄럽 병원서 3세 여아 납치 시도…45세 여성 기소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228
KReporter 2024.12.11 0 228
40699

트럼프 대놓고 족벌주의…벌써 두 사돈·아들 약혼녀에 고위공직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212
KReporter 2024.12.11 0 212
40698

11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7%↑…둔화 멈추고 반등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95
KReporter 2024.12.11 0 95
40697

바이든, 북·중·러·이란 관계심화 대응담은 국가안보각서 승인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63
KReporter 2024.12.11 0 63
40696

머스크의 스페이스X 기업가치 501조원…삼성전자의 1.56배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97
KReporter 2024.12.11 0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