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트럼프 업은 '막강' 머스크, 자율주행·우주사업 탄탄대로?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4-11-06 08:51
조회
189

'정부 효율화' 기구 맡아 재정적자 감축·규제 철폐 추진 전망

전기차 보조금 축소, 미중 무역전쟁 가능성 등은 우려 요인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에 대해 지원 유세하는 일론 머스크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에 대해 지원 유세하는 일론 머스크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이번 대선에서 재계의 가장 큰 우군으로 활약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향후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머스크는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의 당선을 지원하기 위해 슈퍼팩(super PAC·정치자금 모금 단체) '아메리카 팩'을 직접 설립해 운영했으며, 공화당 상·하원의원 후보 지원을 포함해 최소 1억3천200만달러(약 1천840억원)를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단순히 정치자금 기부로 끝난 것이 아니라 선거 막바지 주요 경합 주에서 직접 지원 유세를 조직해 개최했으며, 공화당의 주요 기조에 동의하는 유권자들 가운데 1명을 뽑아 매일 100만달러씩 지급하는 '현금 살포' 캠페인을 벌이는 등 공화당을 위한 선거운동에 총력을 기울였다.

그야말로 트럼프에 '올인'했다고 할 수 있는 만큼, 앞으로 머스크가 거둘 수 있는 보상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머스크의 주요 사업체인 전기차 테슬라와 우주사업 스페이스X가 기존의 각종 규제에서 벗어나 날개를 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달 5일 트럼프 유세장에서 펄쩍펄쩍 뛰는 일론 머스크

지난달 5일 트럼프 유세장에서 펄쩍펄쩍 뛰는 일론 머스크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규제 철폐' 추진…정부 기구 폐지·축소 시도할 듯

트럼프는 지난 9월부터 자신이 이번 대선에서 승리해 재집권하면 연방정부의 재정에 대한 과감한 개혁 권고안을 제시하는 정부효율위원회(government efficiency commission)를 만들고, 이를 머스크에게 맡길 것이라고 밝혀 왔다.

머스크 역시 트럼프 집권 시 정치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며, 지난달 27일 트럼프 지원 유세 중에는 향후 자신이 참여할 '정부효율부'(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DOGE)에서 미 연방정부의 예산을 최소 2조달러 삭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머스크가 정부 예산 삭감 목표치로 제시한 2조달러는 2024년 회계연도 미 연방정부 지출액(6조7천500억달러)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이달 초 머스크의 향후 행보를 예측하는 분석 기사에서 트럼프 당선시 머스크가 200만명이 넘는 연방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대규모 해고의 칼날을 휘두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정부 예산에는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인력과 조직을 운영하는 비용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WP는 트럼프 측근들의 말을 인용해 트럼프와 머스크가 구성할 새로운 조직이 머스크의 우주사업이나 전기차사업을 규제하는 기관에 특히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머스크는 지난 9월 미 연방항공청(FAA)이 스페이스X 로켓 발사 과정의 안전 규정 위반에 대해 벌금을 물리자 크게 반발하며 FAA 수장이 사퇴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 바 있다.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 발사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 발사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그는 또 그동안 로켓을 만드는 것보다 관련 규제 문턱을 넘기가 더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규제 철폐의 필요성을 거듭 촉구해 왔다.

그런 만큼 머스크가 권력을 쥐게 되면 각종 규제 철폐를 위해 해당 규제를 담당하는 기관의 축소나 폐지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주사업을 규제하는 FAA에 더해 자동차 안전 문제를 조사하고 규제하는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도 머스크가 칼을 대는 조직이 될 수 있다.

NHTSA는 지난달 테슬라의 첨단 주행보조 소프트웨어 FSD(Full Self Driving) 작동 중에 발생한 보행자 사망사고 등과 관련해 예비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아울러 머스크는 테슬라의 역점 사업인 자율주행과 관련해서도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조치를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머스크는 지난달 23일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운전자가 감독하지 않는 완전자율주행차가 주(州)별 규제를 벗어나 미국의 어느 도로든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방 정부 차원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촉구하면서 "정부에 효율성 부서가 있다면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머스크의 구상대로 미국의 도로에서 완전자율주행 기술을 펼칠 수 있는 시기가 앞당겨지면 테슬라는 FSD 판매나 로보(무인)택시 사업 등에 힘입어 단순한 전기차 회사가 아니라 첨단 기술회사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전망이 선반영되면서 지난 7월 13일 머스크가 트럼프 지지를 공식 선언한 이후 테슬라 주가는 로보택시 사업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상승장을 맞았다.



중국 상하이의 테슬라 공장

중국 상하이의 테슬라 공장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전기차 세액공제 축소, 중국사업 난항 우려도

트럼프 정부에서 머스크의 목소리가 전보다 커질 것이라는 데는 별 이견이 없지만, 테슬라의 전기차 사업에 일부 부정적인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우선 이전의 조 바이든 정부에서 시행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이 폐지되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는 그동안 IRA를 '그린 뉴 스캠'(Green New Scam·신종 녹색 사기)이라고 부르면서 자신이 당선되면 이를 폐기하고 아직 집행하지 않은 IRA 예산을 전액 환수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IRA에 따라 지급되던 전기차 대당 최대 7천500달러(약 1천만원)의 세액공제가 폐지되면 테슬라의 전기차 구매 가격은 더 높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실용적인 친환경 차로 꼽히는 하이브리드 차종 등이 더 주목받을 수 있다.

게다가 미국에서 전기차 구매 의향이 더 큰 편인 민주당 지지자들이나 진보 성향의 소비자들이 머스크에 대한 반감으로 테슬라를 더 외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아울러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 정책도 테슬라의 중국 사업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가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일 경우 테슬라의 중국 사업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난달 전망했다.

테슬라는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상하이에 직접 공장을 설립하고 현지 생산해 중국시장을 공략해 왔으며, 다른 외국 자동차업체들보다 느슨한 규제를 받아왔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재점화하면 중국과 테슬라의 이런 밀착 관계도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테슬라 강세론자인 웨드부시 증권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지난 4일 "(미국에서) 더 가혹해질 대중국 관세는 중국에서 테슬라에 역풍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0735

돌아온 '관세맨' 트럼프…아시아 통화가치 2년여만에 최저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155
KReporter 2024.12.17 0 155
40734

미상원 "아마존, 직원안전 무시해 부상↑…부상=비용으로 여겨"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103
KReporter 2024.12.17 0 103
40733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 검토에 전기차·배터리 업계 촉각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66
KReporter 2024.12.17 0 66
40732

미국 15세 소녀가 교실서 권총 탕탕…성탄연휴 앞두고 또 총기비극

KReporter | 2024.12.17 | 추천 0 | 조회 198
KReporter 2024.12.17 0 198
40731

미국 주택 소유자vs임차인 간 순자산 격차, 40배 이상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451
KReporter 2024.12.16 0 451
40730

WA 푸드뱅크, 물가 상승 속 1,000만 방문 예상하며 긴급 대응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88
KReporter 2024.12.16 0 288
40729

시어스, 워싱턴주 마지막 매장 폐점… ‘소매업 황금기’의 종말 상징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99
KReporter 2024.12.16 0 299
40728

린우드 비영리 중고품 매장, 3주 만에 두 차례 도둑 맞아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333
KReporter 2024.12.16 0 333
40727

우딘빌 스모크샵, 기아차 ‘스매시 앤 그랩’ 범죄 발생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56
KReporter 2024.12.16 0 256
40726

트럼프 리스크에…경제학자들 "연준, 금리 많이 못 내릴 듯"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148
KReporter 2024.12.16 0 148
40725

관세폭탄 공포…사재기 나선 미국 소비자들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237
KReporter 2024.12.16 0 237
40724

"트럼프팀, 전기차 지원 대폭 축소…배터리 소재에 관세 계획"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117
KReporter 2024.12.16 0 117
40723

오인 해명에도 미국 '드론불안' 지속…앤디김 "책임있게 대응해야"

KReporter | 2024.12.16 | 추천 0 | 조회 86
KReporter 2024.12.16 0 86
40722

시애틀 시의회, 심야 클럽·바 규제 강화 법안 검토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362
KReporter 2024.12.13 0 362
40721

중국 밀수업자, 벨뷰 핫팟 식당 직원 납치·폭행…유죄 인정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997
KReporter 2024.12.13 0 997
40720

바이든, 비폭력 범죄자 사면에 워싱턴주 주민 3명 포함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77
KReporter 2024.12.13 0 277
40719

보온병 열풍 이끈 스탠리, 뚜껑 분리 위험으로 260만 개 리콜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575
KReporter 2024.12.13 0 575
40718

노스 스포캔 차량 화재서 3살배기 딸 구한 어머니의 용기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86
KReporter 2024.12.13 0 286
40717

미국, 전기차 지원폐기 진통 클듯…"25개 공장 중 19개 공화 지역"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316
KReporter 2024.12.13 0 316
40716

"머스크 적대는 실수?"…미국 민주, 더 세진 억만장자에 화해 손짓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71
KReporter 2024.12.13 0 271
40715

앤디김, 뉴저지 정체불명 드론 출몰에 "당국에 브리핑 요청"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212
KReporter 2024.12.13 0 212
40714

트럼프 "자동화 대신 노동자 고용해야"…美항만노조 입장 지지

KReporter | 2024.12.13 | 추천 0 | 조회 92
KReporter 2024.12.13 0 92
40713

시애틀, 고소득과 저소득 동네 간 큰 격차 나타나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592
KReporter 2024.12.12 0 592
40712

피어스 카운티 소방당국, 일산화탄소 경보장치 무료 배포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183
KReporter 2024.12.12 0 183
40711

렌턴 아동 성매매 단속 작전에 전 시애틀 교감 포함 7명 체포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321
KReporter 2024.12.12 0 321
40710

타코마 포인트 디파이언스 공원서 성폭행 사건 발생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325
KReporter 2024.12.12 0 325
40709

에버렛 아파트 단지에서 총격 발생, 1명 사망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214
KReporter 2024.12.12 0 214
40708

미국 11월 도매물가 전월대비 0.4%↑…예상 밖 상승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82
KReporter 2024.12.12 0 82
40707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시진핑 초청"…중국 "발표할 소식 없다"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179
KReporter 2024.12.12 0 179
40706

아들 사면 뒤 뭇매맞은 바이든, 역대 최대 1천500명 사면·감형 (1)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193
KReporter 2024.12.12 0 193
40705

"더러운 중국산 마늘 막아야" 미의원 발언에 중국 '부글부글'

KReporter | 2024.12.12 | 추천 0 | 조회 214
KReporter 2024.12.12 0 214
40704

WA, 새해부터 과실 운전자 처벌 강화, ‘취약 도로 이용자’ 보호법 발효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399
KReporter 2024.12.11 0 399
40703

에드먼즈 교육구, '이민자 권리 알림' 행사 온라인 반발로 취소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261
KReporter 2024.12.11 0 261
40702

시애틀, 2026 월드컵 경기 개최로 최소 9억 달러 경제 효과 기대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337
KReporter 2024.12.11 0 337
40701

사랑니 제거 중 17세 소년 숨져…유가족, 병원 상대로 소송 제기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518
KReporter 2024.12.11 0 518
40700

퓨얄럽 병원서 3세 여아 납치 시도…45세 여성 기소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228
KReporter 2024.12.11 0 228
40699

트럼프 대놓고 족벌주의…벌써 두 사돈·아들 약혼녀에 고위공직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212
KReporter 2024.12.11 0 212
40698

11월 소비자물가 전년대비 2.7%↑…둔화 멈추고 반등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96
KReporter 2024.12.11 0 96
40697

바이든, 북·중·러·이란 관계심화 대응담은 국가안보각서 승인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63
KReporter 2024.12.11 0 63
40696

머스크의 스페이스X 기업가치 501조원…삼성전자의 1.56배

KReporter | 2024.12.11 | 추천 0 | 조회 97
KReporter 2024.12.11 0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