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취임첫날 트럼프 "늘 美 최우선"…'바이든지우기' 폭풍 행정명령

Author
KReporter
Date
2025-01-21 06:06
Views
187

4년만에 백악관 복귀…취임사에서 '美 우선주의 2.0' 추진 선포

대외군사개입 자제 시사하며 기후협약·세계보건기구 재탈퇴 선언

바이든 행정부 시절 행정명령·조치 78건 무더기 철회…"40개 이상 새 행정명령 서명"




취임식에서 취임사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 2.0' 시대를 선언하며 4년 만에 백악관에 복귀했다.

취임식이 끝나기가 무섭게,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대거 뒤집고, 미국의 국제사회 리더 역할을 축소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잇달아 서명하며 미국은 물론 세계에 충격파를 던졌다.

2017년부터 4년간 제45대 대통령으로 재임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사당 로툰다(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선서하고 47대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고 선언한 뒤 "나는 트럼프 행정부 임기 중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우 단순히, 미국을 최우선시할 것"이라며 집권 1기 취임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국정 모토로 내세웠다.

아울러 "우리는 세계에서 본 적 없는 가장 강력한 군대를 건설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우리의 성공을 우리가 승리한 전투뿐 아니라 우리가 끝낸 전쟁, 아마도 가장 중요하게는 우리가 시작하지 않은 전쟁에 의해 평가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대외 군사개입을 자제하는 '트럼프판 신고립주의'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다른 나라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동맹국의 안보 부담 확대 기조를 재확인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서부 개척 등을 비롯한 미국의 영토 확장 역사를 설명하면서 "프런티어 정신"을 거론하고,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되찾아 오겠다고 밝혀 미국 주변에서의 '신확장주의' 논란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무역 시스템 재점검 및 외국에 대한 관세 부과(확대) 방침을 밝히고, 전기차 우대정책을 포함한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산업정책인 '그린 뉴딜'의 종료를 선언했다.

남부 국경에 대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수많은 범죄자 외국인을 그들의 출신지로 돌려보내는 절차를 시작할 것"이라며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추방 정책을 시행할 것임을 예고했다.

또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한편, 석유 등에 대한 시추 확대를 의미하는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을 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 정부의 공식 정책은 남녀 2개의 성별만 있게 될 것"이라며 "공공 및 사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인종과 성별 대신 능력에 기반한 사회를 만들 것"이라고 밝히는 등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강화된 '마이너리티(소수·취약계층) 권리 증진' 기조 폐기를 공언했다.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춤추는 트럼프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춤추는 트럼프 대통령

[AP=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2만명 수용 규모의 실내 체육관인 캐피털원 아레나에서 지지자들이 지켜보는 자리와, 기자들이 진을 친 백악관 집무실에서 취임사에서 밝힌 국정 기조를 이행하는 행정명령에 잇달아 서명했다.

CNBC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40개가 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이에 더해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내린 행정명령 및 조치 78건을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예고했던 대로 'ABB(Anything But Biden·바이든 정책 전면 부정) 바람'이 시작된 셈이다.

트럼프가 철회한 전(前) 정부 행정조치는 인종간 평등 증진, 성차별 방지, 기후변화 대응,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연방 정부 차원의 대응, 정무직 공무원을 위한 추가적인 윤리 의무 부과, 처방약 관련 가격 인하,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는 이스라엘 정착민 제재 등과 관련된 것들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와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각각 재탈퇴하는 내용이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행정명령에 포함됐다.

WHO와 파리기후변화협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 발을 뺐다가 바이든 전 대통령이 복귀시켜 놓은 것인데, 권좌에 돌아온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재차 탈퇴하는 수순을 밟기로 했다.

이에 따라 환경과 보건 등 국가간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슈에서 미국이 국제적 리더십을 방기하려 한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 쿠바를 미국 지정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빼기로 한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결정도 백악관의 새 주인인 트럼프 대통령이 취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한 자신의 지지자들에 의한 2021년 1월 6일 의회 난입 사태(1·6 사태) 관계자 1천500여 명을 사면하고 14명을 감형했다.

당시 폭력을 동반하며 7시간 동안 이뤄진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사당 점거로 경찰관 140명 이상이 부상하고 트럼프 지지자 4명과 경찰관 5명이 직간접적 영향으로 목숨을 잃은 1·6 사태의 엄중함에 비춰 논란이 예상된다.

이날 행정명령들은 작년 11월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하기 전후에 예고했던 것들이 대부분 현실로 되고 있음을 의미했다.

앞으로 전 세계는 미국이 과거 정부 때 했던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와 자유 민주진영 리더 역할을 축소하는 가운데, '안보 무임승차 불가', '관세 확대에 입각한 보호 무역주의' 등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대응을 놓고 부심하게 됐다.

미국 국내적으로는 지난 4년간 민주당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여러 정책이 부정되는 상황에서 정치적 양극화와 분열상이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단임으로 4년 임기를 마친 바이든 전 대통령은 취임식 참석을 끝으로 반세기 넘는 영욕의 정치 인생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이날 퇴임 직전 자신의 동생 부부 등 가족 5명과, 마크 밀리 전 합참의장, 앤서니 파우치 전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 등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보복 수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인물들에 대해 형사처벌을 미리 면제하는 '선제적 사면'을 단행했다.



취임 선서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선서하는 트럼프 대통령

[EPA=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jhcho@yna.co.kr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1978

트럼프 "이스라엘 공격 훌륭했다…이란, 늦기 전에 합의" 압박

KReporter | 2025.06.13 | Votes 0 | Views 217
KReporter 2025.06.13 0 217
41977

트럼프 "금리인하 거부하는 연준의장은 멍청이…해임은 안할 것"

KReporter | 2025.06.13 | Votes 0 | Views 145
KReporter 2025.06.13 0 145
41976

인도 여객기 사고 기적 생존자 "어떻게 살았는지 모르겠다"

KReporter | 2025.06.13 | Votes 0 | Views 191
KReporter 2025.06.13 0 191
41975

美법원 "LA에 주방위군 배치 불법"…트럼프 행정부, 집행정지 신청

KReporter | 2025.06.13 | Votes 0 | Views 131
KReporter 2025.06.13 0 131
41974

워싱턴주, 대공황 이후 최대 규모 해고…예산 적자 여파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732
KReporter 2025.06.12 0 732
41973

스포켄서도 반이민 단속 항의 시위 ‘아수라장’…최소 30명 체포, 통금 발령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460
KReporter 2025.06.12 0 460
41972

시애틀 이민단속국 반대 시위 격화…경찰에 폭죽·돌 투척, 8명 체포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336
KReporter 2025.06.12 0 336
41971

하렐 시장 “시애틀은 ICE 협조 안 해…트럼프 정책에 반대”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378
KReporter 2025.06.12 0 378
41970

월드컵 개막 1년 앞두고 시애틀 카운트다운 돌입…“역대 최대 이벤트 될 것”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433
KReporter 2025.06.12 0 433
41969

마운트레이크 테라스, 논란의 ‘번호판 인식 카메라’ 설치 승인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318
KReporter 2025.06.12 0 318
41968

이민자 권리 쟁취해낸 '저항의 도시' LA, 반트럼프 전선 선봉에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274
KReporter 2025.06.12 0 274
41967

트럼프 진영 자극한 월마트家 '왕은 없다' 광고…불매운동 조짐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362
KReporter 2025.06.12 0 362
41966

세계 경제 '급소' 확인한 중국…머스크 로봇도 희토류 영향권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131
KReporter 2025.06.12 0 131
41965

에어인디아 여객기 印서부서 이륙 직후 추락…"최소 110명 사망"

KReporter | 2025.06.12 | Votes 0 | Views 153
KReporter 2025.06.12 0 153
41964

미국 도시별 은퇴소득 격차 뚜렷…WA 벨뷰 ‘8만5천달러’로 전국 2위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935
KReporter 2025.06.11 0 935
41963

시애틀 도심 반ICE 시위 계속…시위대, 성조기 불태우고 2명 체포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506
KReporter 2025.06.11 0 506
41962

“무료 배송” 표시에 배송비 포함? 코스트코, 소비자 기만 혐의 집단소송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459
KReporter 2025.06.11 0 459
41961

워싱턴주 교육 순위 '또' 하락…전국 평균 이하로 밀려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285
KReporter 2025.06.11 0 285
41960

한밤중 붉게 물든 하늘…올해 가장 낮게 뜬 '스트로베리 문' 장관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299
KReporter 2025.06.11 0 299
41959

WA 고교 졸업식서 외국어 사용 논란…학생 “여기는 미국” 외치며 소동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545
KReporter 2025.06.11 0 545
41958

올림픽 국립공원서 10대 추락사…솔덕 폭포 인근 출입 통제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282
KReporter 2025.06.11 0 282
41957

'LA시위' 5일째 소요 다소 누그러져…뉴욕 등 美 곳곳 시위 확산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142
KReporter 2025.06.11 0 142
41956

다음주 미국 금리동결은 '기정사실'…5월 CPI에 쏠린 눈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112
KReporter 2025.06.11 0 112
41955

美복지부 예산안, 조직 통폐합·CDC예산 칼질…"공중보건 우려"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69
KReporter 2025.06.11 0 69
41954

트럼프에 꼬리 내린 머스크…"내가 너무 나갔다"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152
KReporter 2025.06.11 0 152
41953

2025년 여름, 미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인턴십 직종은?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671
KReporter 2025.06.10 0 671
41952

남성 인구 급증한 시애틀, 미 도시 중 ‘최고의 남초 도시’로 떠올라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00
KReporter 2025.06.10 0 300
41951

시애틀 등 미국 전역서 ‘NO KINGS’ 반트럼프 시위 예고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03
KReporter 2025.06.10 0 303
41950

미국 주택 소유 ‘숨겨진 비용’은 얼마?…워싱턴주 연평균 상위권 기록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42
KReporter 2025.06.10 0 342
41949

시애틀 도심서 ICE 급습 항의 행진…노조 지도자 석방 촉구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41
KReporter 2025.06.10 0 341
41948

사우스 시애틀서 싸움 중 '산탄총' 피격 남성 발견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190
KReporter 2025.06.10 0 190
41947

LA시위 강경대응에 머스크 다시 '트럼프 칭송 모드'…화해 신호?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223
KReporter 2025.06.10 0 223
41946

트럼프 장남 'LA폭동 한인자경단' 소환…한인회 "트라우마 이용말라"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215
KReporter 2025.06.10 0 215
41945

도요타, 자사 판매망서 미국차 판매 美관세협상 카드로 제안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119
KReporter 2025.06.10 0 119
41944

대서양 금 수송…JP모건 등 월가 '골드 특수'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80
KReporter 2025.06.10 0 80
41943

워싱턴주서 판매된 달걀 리콜…살모넬라 집단감염 우려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609
KReporter 2025.06.09 0 609
41942

“여름철 I-5 극심한 정체 우려”…시애틀 브리지 전면 통제 예고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321
KReporter 2025.06.09 0 321
41941

폭염 속 강·호수 물놀이 '매우 위험'…냉방된 실내 이용 권장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187
KReporter 2025.06.09 0 187
41940

서부 워싱턴 곳곳서 기온 신기록…시택 공항 90도 기록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228
KReporter 2025.06.09 0 228
41939

LA경찰, 다운타운 전역 집회금지…"당장 떠나라"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188
KReporter 2025.06.09 0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