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취임첫날 트럼프 "늘 美 최우선"…'바이든지우기' 폭풍 행정명령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5-01-21 06:06
조회
116

4년만에 백악관 복귀…취임사에서 '美 우선주의 2.0' 추진 선포

대외군사개입 자제 시사하며 기후협약·세계보건기구 재탈퇴 선언

바이든 행정부 시절 행정명령·조치 78건 무더기 철회…"40개 이상 새 행정명령 서명"




취임식에서 취임사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 발표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 2.0' 시대를 선언하며 4년 만에 백악관에 복귀했다.

취임식이 끝나기가 무섭게,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대거 뒤집고, 미국의 국제사회 리더 역할을 축소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잇달아 서명하며 미국은 물론 세계에 충격파를 던졌다.

2017년부터 4년간 제45대 대통령으로 재임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사당 로툰다(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선서하고 47대 대통령으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시대는 이제 시작된다"고 선언한 뒤 "나는 트럼프 행정부 임기 중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우 단순히, 미국을 최우선시할 것"이라며 집권 1기 취임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국정 모토로 내세웠다.

아울러 "우리는 세계에서 본 적 없는 가장 강력한 군대를 건설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우리의 성공을 우리가 승리한 전투뿐 아니라 우리가 끝낸 전쟁, 아마도 가장 중요하게는 우리가 시작하지 않은 전쟁에 의해 평가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대외 군사개입을 자제하는 '트럼프판 신고립주의'를 선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가 (다른 나라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동맹국의 안보 부담 확대 기조를 재확인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서부 개척 등을 비롯한 미국의 영토 확장 역사를 설명하면서 "프런티어 정신"을 거론하고, 파나마운하 운영권을 되찾아 오겠다고 밝혀 미국 주변에서의 '신확장주의' 논란을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무역 시스템 재점검 및 외국에 대한 관세 부과(확대) 방침을 밝히고, 전기차 우대정책을 포함한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산업정책인 '그린 뉴딜'의 종료를 선언했다.

남부 국경에 대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수많은 범죄자 외국인을 그들의 출신지로 돌려보내는 절차를 시작할 것"이라며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추방 정책을 시행할 것임을 예고했다.

또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한편, 석유 등에 대한 시추 확대를 의미하는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을 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 정부의 공식 정책은 남녀 2개의 성별만 있게 될 것"이라며 "공공 및 사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인종과 성별 대신 능력에 기반한 사회를 만들 것"이라고 밝히는 등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강화된 '마이너리티(소수·취약계층) 권리 증진' 기조 폐기를 공언했다.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춤추는 트럼프 대통령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춤추는 트럼프 대통령

[AP=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2만명 수용 규모의 실내 체육관인 캐피털원 아레나에서 지지자들이 지켜보는 자리와, 기자들이 진을 친 백악관 집무실에서 취임사에서 밝힌 국정 기조를 이행하는 행정명령에 잇달아 서명했다.

CNBC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40개가 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이에 더해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내린 행정명령 및 조치 78건을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예고했던 대로 'ABB(Anything But Biden·바이든 정책 전면 부정) 바람'이 시작된 셈이다.

트럼프가 철회한 전(前) 정부 행정조치는 인종간 평등 증진, 성차별 방지, 기후변화 대응,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연방 정부 차원의 대응, 정무직 공무원을 위한 추가적인 윤리 의무 부과, 처방약 관련 가격 인하, 요르단강 서안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는 이스라엘 정착민 제재 등과 관련된 것들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와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각각 재탈퇴하는 내용이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행정명령에 포함됐다.

WHO와 파리기후변화협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 발을 뺐다가 바이든 전 대통령이 복귀시켜 놓은 것인데, 권좌에 돌아온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재차 탈퇴하는 수순을 밟기로 했다.

이에 따라 환경과 보건 등 국가간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슈에서 미국이 국제적 리더십을 방기하려 한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 쿠바를 미국 지정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빼기로 한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결정도 백악관의 새 주인인 트럼프 대통령이 취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2020년 대선 결과에 불복한 자신의 지지자들에 의한 2021년 1월 6일 의회 난입 사태(1·6 사태) 관계자 1천500여 명을 사면하고 14명을 감형했다.

당시 폭력을 동반하며 7시간 동안 이뤄진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사당 점거로 경찰관 140명 이상이 부상하고 트럼프 지지자 4명과 경찰관 5명이 직간접적 영향으로 목숨을 잃은 1·6 사태의 엄중함에 비춰 논란이 예상된다.

이날 행정명령들은 작년 11월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하기 전후에 예고했던 것들이 대부분 현실로 되고 있음을 의미했다.

앞으로 전 세계는 미국이 과거 정부 때 했던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와 자유 민주진영 리더 역할을 축소하는 가운데, '안보 무임승차 불가', '관세 확대에 입각한 보호 무역주의' 등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에 대한 대응을 놓고 부심하게 됐다.

미국 국내적으로는 지난 4년간 민주당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여러 정책이 부정되는 상황에서 정치적 양극화와 분열상이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단임으로 4년 임기를 마친 바이든 전 대통령은 취임식 참석을 끝으로 반세기 넘는 영욕의 정치 인생에 사실상 마침표를 찍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이날 퇴임 직전 자신의 동생 부부 등 가족 5명과, 마크 밀리 전 합참의장, 앤서니 파우치 전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 등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보복 수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인물들에 대해 형사처벌을 미리 면제하는 '선제적 사면'을 단행했다.



취임 선서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선서하는 트럼프 대통령

[EPA=연합뉴스.재판매 및 DB금지]




jhcho@yna.co.kr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1178

워싱턴주 상원, 임대료 인상 7% 상한선 법안 통과…세입자 보호 기대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312
KReporter 2025.02.20 0 312
41177

WA 인기 관광지들 폐쇄…트럼프 행정부, 대규모 공무원 해고 여파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491
KReporter 2025.02.20 0 491
41176

WA 10대, 불꽃놀이 사고로 사망…“조기 폭발로 치명적 부상”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230
KReporter 2025.02.20 0 230
41175

워싱턴주 인접 캐나다 국경 도시, 25% 관세에 경제 타격 긴장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344
KReporter 2025.02.20 0 344
41174

벨뷰 I-90서 역주행 차량-순찰차 정면 충돌…운전자 체포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269
KReporter 2025.02.20 0 269
41173

트럼프, 'DOGE분배금' 검토…예산절감 성공하면 가구당 720만 원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250
KReporter 2025.02.20 0 250
41172

트럼프 "엄청난 관세수입 거둘것…목재 관세율은 아마 25%"

KReporter | 2025.02.20 | 추천 1 | 조회 143
KReporter 2025.02.20 1 143
41171

유럽, 트럼프 맹공받은 젤렌스키 엄호…러는 반색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123
KReporter 2025.02.20 0 123
41170

구글 이어 MS, 첫 양자컴퓨팅 칩 공개…"양자컴 시대 수년 안에"

KReporter | 2025.02.20 | 추천 0 | 조회 101
KReporter 2025.02.20 0 101
41169

“시애틀, 7시 일몰 얼마 안 남아” 일광절약시간제 내달 시작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839
KReporter 2025.02.19 0 839
41168

계란 가격 급등에 식당 가격 ‘또’ 인상…고객에 부담 전가 (2)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542
KReporter 2025.02.19 0 542
41167

시애틀 시장, “트럼프 압박에 법적 대응 불사·파이크 플레이스 차량 제한 추진" (1)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507
KReporter 2025.02.19 0 507
41166

“애보다 개가 더 많은 시애틀” 인기 반려견 이름 1위는?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434
KReporter 2025.02.19 0 434
41165

시애틀 I-5 총격 피해자, 용의자 추격 끝에 경찰에 인계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344
KReporter 2025.02.19 0 344
41164

트럼프 "자동차 관세는 25% 정도…반도체·의약품은 25% 이상"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98
KReporter 2025.02.19 0 98
41163

'트럼프 질주'에 다급한 유럽, 우크라 긴급 군사지원 논의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37
KReporter 2025.02.19 0 137
41162

베센트 美재무 "DOGE 활동으로 지금까지 72조원 절감"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161
KReporter 2025.02.19 0 161
41161

美 만난 러, '경제 훈풍' 기대…"美기업 2분기에 돌아올 것"

KReporter | 2025.02.19 | 추천 0 | 조회 90
KReporter 2025.02.19 0 90
41160

“벌금 주의하세요” 워싱턴주 고속도로 작업 구역에 ‘단속 카메라’ 설치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818
KReporter 2025.02.18 0 818
41159

시애틀 맛집, 전국적 인정받다…‘미국 TOP 100 맛집’에 두 곳 선정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547
KReporter 2025.02.18 0 547
41158

시애틀 길거리 불법 음식판매 증가에 보건부 규제 강화 나선다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438
KReporter 2025.02.18 0 438
41157

“마약상이 장악한 거리” 시애틀 벨타운 주민들, 치안 붕괴에 분노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470
KReporter 2025.02.18 0 470
41156

킹 카운티 버스 안에서 총격 사건 발생, 2명 부상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248
KReporter 2025.02.18 0 248
41155

타코마 총기 사격장 화재…1명 사망, 1명 부상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152
KReporter 2025.02.18 0 152
41154

"왕은 안돼" "머스크 물러나라"…美 '대통령의날' 반트럼프 시위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218
KReporter 2025.02.18 0 218
41153

"지원 대가로 720조원 요구한 트럼프, 우크라 영원히 식민지화"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259
KReporter 2025.02.18 0 259
41152

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공개…"지구에서 가장 똑똑"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116
KReporter 2025.02.18 0 116
41151

백악관 "'DOGE 수장' 머스크, 결정권 없어…대통령 고문일 뿐"

KReporter | 2025.02.18 | 추천 0 | 조회 86
KReporter 2025.02.18 0 86
41150

뱅크오브호프, 4.25% APY 고수익 12개월 CD 프로모션 출시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424
KReporter 2025.02.17 0 424
41149

‘미국 대통령의 날’? ‘워싱턴 탄생일’? 주마다 다른 기념 방식과 명칭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171
KReporter 2025.02.17 0 171
41148

“일론 머스크에 맞서라” 시애틀 테슬라 딜러십 앞 대규모 시위 (1)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339
KReporter 2025.02.17 0 339
41147

“플라스틱 컵도 이제 안녕” 스타벅스, WA 포함 빨대에 이어 퇴출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418
KReporter 2025.02.17 0 418
41146

워싱턴주, 무인계산대 사용 제한 추진…‘편리함 vs 일자리’ 논쟁 격화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338
KReporter 2025.02.17 0 338
41145

워싱턴주 주민 55%, 식비 부담 시달려…푸드스탬프·푸드뱅크 이용 증가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270
KReporter 2025.02.17 0 270
41144

금달걀, 트럼프 발목 잡나…한달 새 15% 급등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229
KReporter 2025.02.17 0 229
41143

트럼프 상호관세 '고무줄'…"한국 등 대다수 아시아국 위험"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92
KReporter 2025.02.17 0 92
41142

트럼프 "나라 구하면 뭘해도 합법"…나폴레옹 황제 발언 논란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97
KReporter 2025.02.17 0 97
41141

美 '대만독립 지지 않는다' 문구 삭제에…대만학자들 "中압박용"

KReporter | 2025.02.17 | 추천 0 | 조회 98
KReporter 2025.02.17 0 98
41140

집권후 트럼프家 '돈방석-트럼프家에 제공한 금액 소송합의금 포함 1천억대

KReporter2 | 2025.02.15 | 추천 0 | 조회 317
KReporter2 2025.02.15 0 317
41139

30분안에 나가세요-트럼프 칼바람에 짐싼 美공무원 1만명 육박

KReporter2 | 2025.02.15 | 추천 0 | 조회 419
KReporter2 2025.02.15 0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