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그의 말이 옳다"…'트럼프 폭풍'에 각국 일단 '맞장구·구애'

Author
KReporter
Date
2025-01-23 06:09
Views
307

유럽 "이젠 투자할때", 방위비 증액 약속…사우디, 투자 앞세워 구애

중국 "제품·서비스 수입하고 싶다" 유화 제스처…이란 "핵협상 합의원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PG)

[윤해리 제작] 일러스트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거침없는 출발에 세계 각국이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고심하고 있다.

집권 1기 때부터 '안보 무임승차론' 압박을 경험해온 유럽 각국은 미국발 청구서가 들이닥치기 전에 일단 선제적으로 방위비 인상을 약속하며 코드 맞추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대규모 투자를 앞세워 구애에 나서는가 하면, 중국도 관세 부과 공격에 곧바로 맞대응하기보다는 미국산 제품을 더 구매하겠다며 유화적 제스처를 보내고 있다.

우선 방위비 분담 시험대에 오른 유럽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 옳다"는 식의 자성론이 나오고 있다.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22일(현지시간) 유럽방위청(EDA) 연례 포럼 연설에서 "(방위비를) 충분히 지출하고 있지 않다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말이 옳다"며 "이제는 투자할 때"라고 말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방위비 지출 목표를 현행 국내총생산(GDP) 대비 2%에서 5%로 올려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그간 주장과 관련, 정확히 방위비를 어느 선까지 올릴지는 불투명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기조에는 분명히 동조하는 발언이다.

그는 "미국을 향한 EU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우리 스스로 방위를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하고, 유럽 안보를 위한 공평한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미국은 우리의 가장 강력한 동맹으로 계속 남아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도 유럽의회 본회의에서 "유럽의 반대파였다면 그런 말(방위비 확대 주장)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증액 요구를 옹호했다.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은 22일 마코 루비오 신임 미국 국무부 장관과 첫 통화를 한 뒤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유럽이 방위비 지출을 늘리고 대서양의 방위산업 생산을 증강하는 것은 우리 모두를 더 강하게 만든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서 13일 유럽의회 외교위원회에서 "(미·유럽의 방위 관계 단절)을 바란다면 방위비 지출을 4배 이상으로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유럽의 이런 반응에는 나토의 안보 우산이 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돼있다.

유럽연합 27개국 중 23개국이 나토에 속해있으며, 현재로서는 미국이 주축인 나토에 유럽의 방위를 의존하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방위비를 문제 삼아 나토를 탈퇴하겠다고 나선다면 지금과 같은 비용으로는 안보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나토 회원국 중 방위비 증액에 대한 지지를 가장 먼저 표명했던 폴란드는 아예 미국과 연결고리 역할까지 자처하고 나섰다.

브와디스와프 코시니아크카미시 폴란드 국방장관은 12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증액 요구 실현을 위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겠다고도 밝히기도 했다.

중동의 사우디아라비아는 노골적으로 구애의 손짓을 보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일 취임식 후에 사우디가 미국 상품 5천억달러(720조 원)어치를 사주면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사우디를 가장 먼저 방문하겠다고 밝히자 6천억달러(860조 원) 투자로 화답하고 나선 것이다.

사우디는 트럼프 1기 때도 우호적 관계를 유지했었다.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10% 관세 부과 위협에도 일단 맞대응을 자제하며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무역과 관세 전쟁에는 승자가 없다"며 미국과 소통 의지를 거듭 발신했고, 딩쉐샹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균형 잡힌 무역을 촉진하기 위해 더 경쟁력 있고 품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수입하고 싶다"며 사실상 미국산 제품을 더 수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여기에 중동 내 대표적 반미 국가였던 이란마저도 일단 유화적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20일 미국 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암살 계획을 세운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대화에 열려있다는 신호를 보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전략 담당 부통령도 22일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이란은 핵무기를 가지려 한 적이 없고,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새로운 핵 협상에 합의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반면 캐나다는 일단 보복 관세 검토를 예고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하라는 조롱마저 당했던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캐나다도 대가를 지불해야 할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미국에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1기 때 이미 미국 우선주의의 후폭풍을 경험했던 세계 각국은 당장은 대화를 앞세워 타협을 시도하는 모양새다.

그러나 관세 등을 무기로 삼은 강력한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드라이브 앞에 기존 국제질서의 대변화는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2039

미 부동산 대형업체 컴패스, 시애틀 본사 둔 질로우에 반독점 소송 제기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275
KReporter 2025.06.23 0 275
42038

“광고보다 작다” 버거킹, 와퍼 ‘허위 광고’ 혐의로 집단소송 직면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233
KReporter 2025.06.23 0 233
42037

핵시설 폭격때 트럼프는…MAGA모자에 굳은표정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169
KReporter 2025.06.23 0 169
42036

"이민자 단속처럼 마약 단속 왜 못하나"…中관영매체, 美 비판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253
KReporter 2025.06.23 0 253
42035

美진보진영 '대부' "이란 폭격 구실, 2003년 이라크전과 흡사"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95
KReporter 2025.06.23 0 95
42034

테슬라, 로보택시 서비스 첫발…머스크 "10년 노력 결실"

KReporter | 2025.06.23 | Votes 0 | Views 116
KReporter 2025.06.23 0 116
42033

부부라면 꼭 알아야 할 사회보장 연금 청구 전략 3가지

KReporter | 2025.06.20 | Votes 1 | Views 1401
KReporter 2025.06.20 1 1401
42032

“사람이 없다” WA 체리 농가, 이민단속 우려에 수확 포기 속출 (3)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1240
KReporter 2025.06.20 0 1240
42031

“학생 비자 신청자, SNS 공개하라” 미 국무부 사생활 침해 논란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229
KReporter 2025.06.20 0 229
42030

“월드컵 특수 잡아라” 시애틀, 1조 원대 경제효과 기대 속 준비 박차

KReporter | 2025.06.20 | Votes 1 | Views 405
KReporter 2025.06.20 1 405
42029

2034년에 돈 바닥…메디케어·사회보장기금 고갈 시점 앞당겨져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580
KReporter 2025.06.20 0 580
42028

밤 9시 넘어도 환한 시애틀…낮 길이 16시간 ‘육박’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283
KReporter 2025.06.20 0 283
42027

미국 경제, 관세 부메랑에 '전쟁 쇼크'까지 덮치나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177
KReporter 2025.06.20 0 177
42026

트럼프, 첫 임기땐 기념했던 노예해방기념일 이번엔 외면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229
KReporter 2025.06.20 0 229
42025

美항소법원 "주방위군 LA 배치 정당"…트럼프 "큰 승리" 환영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90
KReporter 2025.06.20 0 90
42024

러 "이란 정권교체 상상 불가…중동, 전쟁의 심연으로"

KReporter | 2025.06.20 | Votes 0 | Views 70
KReporter 2025.06.20 0 70
42023

"HOA 관리비, 세금 공제될까?"…대부분 불가능하지만 일부 예외 존재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528
KReporter 2025.06.19 0 528
42022

미-캐나다 긴장 속 캐나다 여행 ‘대박 찬스!' 무료·할인 혜택 쏟아진다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664
KReporter 2025.06.19 0 664
42021

체이스 프리미엄 카드 연회비 44% 인상 충격…795달러로 UP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949
KReporter 2025.06.19 0 949
42020

여름 시작과 함께 ‘장맛비’…서부 워싱턴, 하지 무렵 비바람 몰아쳐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434
KReporter 2025.06.19 0 434
42019

‘칼로 베인 듯한 통증’ 유발…새 코로나 변이 ‘님버스’ 확산 주의보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423
KReporter 2025.06.19 0 423
42018

시애틀 유명 중식당 ‘딘타이펑’, 노동법 위반 60만 달러 지급 합의 (1)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555
KReporter 2025.06.19 0 555
42017

AI의 '일자리 대체' 현실되나…MS, 또 수천 명 구조조정 계획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246
KReporter 2025.06.19 0 246
42016

"美 고위 당국자들, 며칠내 이란 공격할 상황에 대비 중"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108
KReporter 2025.06.19 0 108
42015

캐나다관광청 "오로라 여행 꿈꾼다면 올가을이 최적"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134
KReporter 2025.06.19 0 134
42014

美, 유학·연수 비자 절차 재개…'SNS 검열'에 불확실성은 여전

KReporter | 2025.06.19 | Votes 0 | Views 77
KReporter 2025.06.19 0 77
42013

시애틀 I-5 주말 대혼잡 예고…북행 전면 차단·경전철도 멈춘다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1331
KReporter 2025.06.18 0 1331
42012

경찰, 워싱턴주 고속도로 단속 강화 예고…7월 말까지 집중 시행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516
KReporter 2025.06.18 0 516
42011

WA 탄도 미사일 벙커, 145만 달러에 매물 등장… ‘지하 요새’ 소유 기회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369
KReporter 2025.06.18 0 369
42010

“눈을 뽑아버릴 거야” 정신 이상자, 퀸앤 가게 주인 무차별 폭행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577
KReporter 2025.06.18 0 577
42009

라이트 에이드, WA 매장 ‘무더기’ 폐쇄…40곳 이상 문 닫는다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307
KReporter 2025.06.18 0 307
42008

에드먼즈 페리 선착장서 차량 추락…2명 사망·3명 구조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394
KReporter 2025.06.18 0 394
42007

이스라엘, '무조건 항복' 트럼프 압박 직후 테헤란 대규모 폭격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241
KReporter 2025.06.18 0 241
42006

아마존 CEO "AI로 향후 수년간 회사 사무직 줄어들 것"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231
KReporter 2025.06.18 0 231
42005

무역업체들도 달러 외면하나…"유로·위안 등 선택"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108
KReporter 2025.06.18 0 108
42004

트럼프, 틱톡 매각 시한 또 연장…취임 후 3번째

KReporter | 2025.06.18 | Votes 0 | Views 68
KReporter 2025.06.18 0 68
42003

WA 이민자 의료정보, 연방 이민당국에 무단 제공…당국 “분노와 배신감”

KReporter | 2025.06.17 | Votes 0 | Views 827
KReporter 2025.06.17 0 827
42002

“편안한 삶” 위한 연소득, 워싱턴주 1인 기준 11만 달러 육박

KReporter | 2025.06.17 | Votes 0 | Views 337
KReporter 2025.06.17 0 337
42001

시애틀 SR99 터널 통행료 7월부터 3% 인상…출퇴근 시간대 최대 4.80달러

KReporter | 2025.06.17 | Votes 0 | Views 144
KReporter 2025.06.17 0 144
42000

전기톱 들고 부모 위협한 WA 30대, 연못 도주 끝에 ‘올가미’로 체포

KReporter | 2025.06.17 | Votes 0 | Views 387
KReporter 2025.06.17 0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