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법 위에 트럼프…'행정권 독주 선넘었다' 헌정위기 논란

Author
KReporter
Date
2025-03-18 06:12
Views
159

정부, 강경정책 펴며 법원 명령 무시·답변요구도 거부

"트럼프, 무제한 권력 과시욕에 견제와 균형 시험대"

권위주의 선망…왕 자칭하며 '구국엔 위법없다' 발언 논란도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왕'으로 칭한 날 백악관이 배포한 이미지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왕'으로 칭한 날 백악관이 배포한 이미지 [엑스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 행정부가 사법부 명령을 무시하는 사례가 부쩍 늘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미국 헌법에 명시된 권력 분립,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훼손돼 국가 기능이 차질을 빚는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경고가 현지 유력언론들에서 나오고 있다.

일간 뉴욕타임스는 17일(현지시간) "백악관과 법원들 사이의 갈등이 헌정 위기가 될 위험이 있다"며 "최근 트럼프의 행정조치 다수를 중단시키려고 시도한 연방법원들과 법원 명령의 공개적 거부에 가까운 일을 거듭해 온 행정부 사이의 발화점"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한이 없고 견제받지 않는 권력을 휘두르는 대통령"의 모습을 세상에 과시하려 한다며 "트럼프가 법원들과 충돌하는 경로로 이미 가고 있으며 가속페달을 밟았다"고 표현했다.

지난 주말부터 큰 이슈가 된 것은 '추방 항공편' 문제다.

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의 제임스 보스버그 판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1798년 제정된 '적성국 국민법'(AEA) 등을 근거로 베네수엘라 국적자 수백명을 범죄조직원으로 일방적으로 지목해 재판 등 절차 없이 추방하려고 한 조치를 일단 중단토록 하면서, 설령 추방 항공편이 이미 이륙했더라도 미국으로 돌아오도록 조치하라고 정부에 토요일인 15일 명령했다.



미국 대법원 청사

미국 대법원 청사

(워싱턴DC 게티이미지 AFP=연합뉴스) 2025년 3월 17일 촬영된 미국 워싱턴DC 소재 미국 연방대법원 청사의 모습. (Photo by WIN MCNAMEE / GETTY IMAGES NORTH AMERICA / Getty Images via AFP) 2025.3.18.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보스버그 판사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엘살바도르 정부와 미리 협의해둔 계획에 따라 추방 대상자들을 엘살바도르의 감옥에 수감시켰다.

마코 루비오 국무부 장관과 스티븐 청 백악관 공보국장 등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보스버그 판사를 조롱하는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의 게시물을 공유하며 조롱에 가세했다.

이번 사건에 대해 폴리티코는 "트럼프 2기 임기에서 견제와 균형이라는 미국의 시스템에 대한 가장 비중 있는 시험이 찾아왔다. 그리고 결과는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백악관에서 '국경 담당 차르'로 불리는 톰 호먼은 17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우리는 멈추지 않을 것"이라면서 "나는 판사들이 뭐라고 생각하든, 좌파가 뭐라고 생각하든 신경쓰지 않는다"며 강제 추방 드라이브를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보스버그 판사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신의 명령을 위반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17일 법무부 변호사를 심문에 출석시켜 추방 항공편들의 출발지·경유지·목표지와 출발·도착 시간 등 기초적 사실관계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다.

그러나 법무부 변호사는 "국가안보 우려"를 대며 답변을 계속 거부했다.

NYT에 따르면 법무부는 변호사를 출석시키기 전부터 답변을 거부할 것이라며 심문 취소를 요구하는 서한을 판사에게 보냈다.

판사가 심문 취소를 거부하자, 법무부는 상급 법원인 워싱턴DC 연방항소법원에 보스버그 판사를 이 사건 담당에서 아예 제외해 달라며 매우 이례적으로 재판부 교체를 요구하는 서한까지 보냈다.



미국에서 추방된 후 엘살바도르 감옥에 입소하며 삭발당하는 입소자들

미국에서 추방된 후 엘살바도르 감옥에 입소하며 삭발당하는 입소자들

[AFP를 통해 배포된 엘살바도르 대통령실 제공 사진. DB 및 재판매 금지. 크레딧 표시 필수. MANDATORY CREDIT "AFP PHOTO / EL SALVADOR'S PRESIDENCY PRESS OFFICE" - NO MARKETING NO ADVERTISING CAMPAIGNS] 2025.3.17.




보스버그 판사는 18일 정오까지 추방 비행편들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라고 정부에 명령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따를지는 불확실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 대통령 각서, 포고문 등으로 행정권을 남용하고 있다는 논란은 임기 초부터 계속 되풀이됐다.

막무가내식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동맹국에 대한 일방적 관세부과를 밀어붙이면서 미 의회와 사법부를 우회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방적인 행정부 정책이 법원 명령으로 제동이 걸리면 이마저도 번번이 무시해 '견제받지 않는 권력'으로 향해간다는 얘기가 뒤따랐다.

법원은 헌법에 규정된 '출생 시민권'을 120여년 된 기존 대법원 판례와 달리 해석해서 제한적으로 적용하라는 명령, 트랜스젠더 치료를 하는 의료기관들이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유지하는 기관들로부터 연방정부 자금을 박탈하라는 명령, 노동관계위원회(NLRB) 위원 해직 등 다양한 조치 등에 잇따라 제동을 걸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 같은 명령에 수긍하지 않고 이들 정책에 점점 더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보복성 기소'를 막기 위해 선제적 사면을 단행한 2021년 1·6 의회폭동 하원 조사특별위원회 위원들에 대해서도 사면이 무효라고 주장 중이다.

해당 사건은 트럼프 지지자들이 부정선거를 주장하며 의회를 점거한 채 난동을 부린 사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조사한 조사특위 위원들을 "최고 수준의 수사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신설 자문기구인 '정부효율부'(DOGE)를 내세워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밀어붙이는 과정에서도 의회 입법 절차를 거치지 않고 교육부 등 주요 부처 공무원들을 무더기로 쫓아내며 여러 정부 기관을 사실상 폐쇄했다.



백악관 집무실의 트럼프 대통령

백악관 집무실의 트럼프 대통령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달 1일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폭탄을 던졌을 때도 적국 제재에나 쓰이던 법률인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끄집어내 의회의 견제를 철저히 회피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력한 행정부 아래 입법·사법부를 종속시키려는 것이란 비판까지 나오는 배경이다.

NYT는 "이번 행정부의 행동은 행정부 권력을 극한까지 밀어붙이는 미국 정부라는 비정통적 신념을 반영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상·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 만한 사안에서조차 트럼프 행정부는 종종 의회를 우회한 채 일방적으로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성향은 권위주의자에 대한 선망과 무관하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같은 권위주의자들에게 찬사를 보내고 우호적인 대외정책을 펼쳐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조국을 구하는 사람은 그 어떤 법도 위반하지 않는다"(He who saves his Country does not violate any law)라는 글을 올려 초법적 권한 획득을 정당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같은 달 19일에는 뉴욕 맨해튼 중심부에 도입된 혼잡통행료에 대한 승인을 취소한 뒤 "맨해튼과 모든 뉴욕이 구원을 받았다. 왕 만세"라는 글을 올려 '왕'을 자칭하기도 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1594

New 미국 모기지 금리 급등, 1년 만에 최대 상승폭...관세 여파로 시장 불안

KReporter | 10:17 | Votes 0 | Views 262
KReporter 10:17 0 262
41593

New 연방 판사, UW 대학원생 비자 복원 명령…트럼프 행정부 조치에 제동

KReporter | 08:33 | Votes 0 | Views 304
KReporter 08:33 0 304
41592

New “홍역 노출 주의보” 시택 공항·터퀼라 호텔 방문객 대상 보건 당국 경고

KReporter | 08:32 | Votes 0 | Views 75
KReporter 08:32 0 75
41591

New 마운트 레이니어를 배경으로…타코마 여름 야외 콘서트 시리즈 개최

KReporter | 08:29 | Votes 0 | Views 102
KReporter 08:29 0 102
41590

New 워싱턴주, 2025년 ‘공공 자연휴양지 무료 개방일’ 발표

KReporter | 08:27 | Votes 0 | Views 80
KReporter 08:27 0 80
41589

New “부자에게 세금 매기지 마” 시애틀 횡단보도 ‘제프 베이조스’ 음성 해킹

KReporter | 08:26 | Votes 0 | Views 100
KReporter 08:26 0 100
41588

New WA 고등학교 농구 코치, 10대 선수들 성범죄로 징역 40년 선고

KReporter | 08:23 | Votes 0 | Views 109
KReporter 08:23 0 109
41587

New 트럼프 압박하는 월가…"관세 협상 서둘러야"

KReporter | 06:17 | Votes 0 | Views 81
KReporter 06:17 0 81
41586

New 파월 내쫓고 싶은 트럼프…대통령이 연준 의장 해임할 수 있나

KReporter | 06:16 | Votes 0 | Views 60
KReporter 06:16 0 60
41585

New 트럼프의 출생시민권 제한 대법원서 심리한다…5월 15일 변론

KReporter | 06:16 | Votes 0 | Views 63
KReporter 06:16 0 63
41584

New '美관세 타격' 中업체 직원들 비명…강제휴가에 재고판매 떠안아

KReporter | 06:15 | Votes 0 | Views 67
KReporter 06:15 0 67
41583

시애틀과 주변 지역에서 아이들과 함께 즐기는 무료 가족 활동 10선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295
KReporter 2025.04.17 0 295
41582

트럼프 행정부 이민 단속 강화…ICE 과잉 진압 논란 확산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354
KReporter 2025.04.17 0 354
41581

WA 트레일 2곳, 미국 최고 하이킹 코스 TOP 10에 선정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325
KReporter 2025.04.17 0 325
41580

시애틀, 2025년 첫 ‘오후 8시 이후 일몰’…길어진 저녁 햇살에 시민들 환호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157
KReporter 2025.04.17 0 157
41579

린우드 산책로서 아동 납치 시도 발생…경찰 수사 착수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239
KReporter 2025.04.17 0 239
41578

타코마 총격, 10대 사망…경찰 살인사건 수사 착수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150
KReporter 2025.04.17 0 150
41577

관세전쟁에 '저가 직구' 中쇼핑앱 美서 인기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189
KReporter 2025.04.17 0 189
41576

현대차, 전기차 생산 일시중단…美관세·유럽보조금 폐지 충격파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140
KReporter 2025.04.17 0 140
41575

CJ제일제당, 미국서 비비고만두 디자인특허…"가는 줄무늬 반복"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169
KReporter 2025.04.17 0 169
41574

日이시바 "미일 입장차 여전…적절한 시기에 방미 정상회담"

KReporter | 2025.04.17 | Votes 0 | Views 35
KReporter 2025.04.17 0 35
41573

2025년 미국인 은퇴 자금 '매직 넘버' 하락…평균 1.26백만 달러로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576
KReporter 2025.04.16 0 576
41572

중국, 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미중 무역 갈등 '격화'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204
KReporter 2025.04.16 0 204
41571

시애틀, 과속 단속 카메라 대폭 확대…일반 도로까지 설치 추진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474
KReporter 2025.04.16 0 474
41570

브레머튼 여성 커플, 62만 달러 우편 사기 혐의로 기소…피해자만 278명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388
KReporter 2025.04.16 0 388
41569

에드먼즈 한복판서 ‘최루탄 로드 레이지’…경찰, 도주 용의자 공개 수배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276
KReporter 2025.04.16 0 276
41568

실종된 82세 여성, ‘콘크리트 무덤’에서 발견…용의자는 수상한 수리공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408
KReporter 2025.04.16 0 408
41567

트럼프, 불법이민정책도 U턴?… "자진 출국시 항공표·돈 제공"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783
KReporter 2025.04.16 0 783
41566

"명품원가 이정도로 싸다"…관세전쟁속 중국발 틱톡 폭로전 확산 (1)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254
KReporter 2025.04.16 0 254
41565

트럼프 "일본과 관세협상에 직접 참석"…'군사비용' 의제로 적시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43
KReporter 2025.04.16 0 43
41564

2세 생산에 진심인 머스크…"지능 높은 인간 늘어야 문명 지켜"

KReporter | 2025.04.16 | Votes 0 | Views 113
KReporter 2025.04.16 0 113
41563

코스트코 멤버십으로 누릴 수 있는 숨겨진 혜택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1214
KReporter 2025.04.15 0 1214
41562

시택 공항, 봄철 여행객 280만 명 예상…TSA·주차 등 변경 사항 ‘주의’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207
KReporter 2025.04.15 0 207
41561

바텔 남성, 만우절 당일 200만 달러 당첨…가족들 “농담하지 마”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363
KReporter 2025.04.15 0 363
41560

“허가 없인 총 못 산다” WA, 총기 구매 전 실사격 훈련·퍼밋 의무화 추진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217
KReporter 2025.04.15 0 217
41559

100년 넘은 피어스 카운티 다리, 구조물 손상으로 무기한 폐쇄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194
KReporter 2025.04.15 0 194
41558

머서 아일랜드서 차량 호수로 추락, 운전자 병원 이송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178
KReporter 2025.04.15 0 178
41557

예측불가 트럼프 관세에…미 국채 기간 프리미엄 10년만에 최고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113
KReporter 2025.04.15 0 113
41556

미국인들 실업률 증가 우려 팬데믹 이후 최고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157
KReporter 2025.04.15 0 157
41555

1분기 미국 기업 파산 2010년 이후 최대…"중국도 파산 증가세"

KReporter | 2025.04.15 | Votes 0 | Views 97
KReporter 2025.04.15 0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