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챗GPT' 올트먼 롤러코스터 끝에 복귀…최종 승자는 MS

산업
Author
KReporter
Date
2023-11-22 09:13
Views
533

해임 후 5일간 대혼란 마무리…"축출보다 더 충격적"

MS 입김 커지고 AI개발·상업화 속도 낼 듯

 

샘 올트먼샘 올트먼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테크 업계에 파문을 일으킨 오픈AI 공동창업자 샘 올트먼 해임 사태가 닷새간 반전을 거듭한 끝에 올트먼의 최고경영자(CEO)직 복귀로 귀결됐다.

오픈AI의 대주주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올트먼을 영입하겠다며 힘을 실어주고, 다른 투자자와 직원들도 그의 복귀를 요구하며 압박하자 이사회가 백기를 든 모양새다. 이에 앞으로 오픈AI에서 MS의 영향력이 더 커지고 AI 개발과 사업화 속도도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오픈AI는 22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올트먼의 CEO 복귀와 그를 내쫓았던 이사회 일부 재구성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사회에는 브렛 테일러 전 세일즈포스 공동 CEO가 새 의장으로 합류하고 래리 서머스 미국 전 재무부 장관도 가세했다. 소셜 지식공유 플랫폼 쿼라의 CEO인 애덤 디엔젤로는 유임됐다.

올트먼도 오픈AI 발표 후 자신의 엑스 계정에 사티아 나델라 MS CEO의 지원으로 오픈AI로 다시 돌아오게 됐다면서 "MS와 공고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나델라 CEO도 엑스에서 "우리는 오픈AI 이사회의 변화에 고무됐다"고 환영했다. 그는 또 "올트먼, 그레그(브록먼 오픈AI 공동창업자)와 대화한 끝에 그들이 오픈AI에서 수행해야 할 중요한 역할이 있다는 데에 동의했다"며 앞으로 강력한 협력관계를 통해 차세대 AI의 가치를 전달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에 따라 오픈AI 이사회가 올트먼을 전격 해고하면서 빚어진 닷새간의 대혼란이 수습 국면에 들어섰다.

오픈AI는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올트먼이 회사를 계속 이끌 수 있는지 능력에 대해 확신하지 못한다"며 올트먼의 해임을 전격 발표했다.

이사회의 갑작스러운 해임 결정은 AI의 안전성과 개발 속도를 둘러싼 갈등 때문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인간의 명령이나 도움 없이 스스로 사고하고 학습하는 범용AI(AGI)가 인류를 위협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일부 이사진들이 올트먼의 해임을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올트먼은 AI를 안전하게 개발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보다 강력한 AI 모델 개발과 상용화에도 중점을 둬왔다.

창업자가 경영노선 차이로 자신의 회사에서 쫓겨나는 업계의 또 다른 사례로 남는 듯했던 올트먼 축출 사태는 MS가 나서면서 반전을 맞았다.

오픈AI에 총 130억 달러(약 17조원)를 투자한 MS는 20일 올트먼과 브록먼을 비롯한 오픈AI 핵심 인력들을 영입해 새로운 AI 연구팀을 꾸리겠다고 발표했다.

 

올트먼(왼쪽)과 사티아 나델라 MS CEO올트먼(왼쪽)과 사티아 나델라 MS CEO

'챗GPT' 개발사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직에서 전격 해임된 샘 올트먼이 마이크로소프트(MS)에 합류한다고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사진은 지난 6일 열린 오픈AI의 첫 개발자 회의에서 함께 무대에 오른 올트먼(왼쪽)과 나델라. [자료사진]

 

여기에 오픈AI의 직원 770명 가운데 700여명이 퇴사를 불사하겠다며 이사회 전원 사임과 올트먼의 복귀를 요구하는 연판장에 서명했다. 일부 투자자들도 이사회를 상대로 소송을 검토하겠다며 압박했다.

챗GPT로 전 세계에 AI 열풍을 일으키며 업계를 주도하던 오픈AI는 인력이 대거 빠져나가며 공중분해 될 위기에 몰렸고 이사회는 결국 해임 5일째인 이날 결정을 번복했다.

미 정보통신(IT) 전문 매체 더버지는 "올트먼의 복귀는 갑작스러운 해임보다 더 충격적"이라고 전했다.

닷새간 반전 드라마의 클라이맥스를 장식한 올트먼의 복귀는 오픈AI의 향후 행보에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올트먼은 AI 툴 개발 속도를 높이고 이를 상용화하고자 했는데 개편된 이사회의 지지를 업고 자신의 비전을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게 됐다.

미국 CNN방송은 올트먼의 복귀 발표가 "누가 오픈AI를 이끌고 운영할지, 보다 광범위하게는 AI 기술 개발 경쟁이 얼마나 빨리 진행돼야 하는지를 둘러싼 AI 업계의 혼란에 마침표를 찍었다"고 짚었다.

이번 사태 흐름을 좌지우지하며 궁극적 승자가 된 MS는 오픈AI에 대한 지배구조 개선 등에 나서며 영향력을 더 강화할 전망이다.

상업적 목표를 추구하지 않는 비영리 단체로 출발한 오픈AI는 투자 유치를 위해 2018년 영리 기업으로 전환했지만 여전히 비영리 이사회가 주요 의사결정을 내려왔다.

이 때문에 MS는 오픈AI 지분 49%를 가진 최대 주주임에도 이사회에서 의결권이 없었다. 올트먼의 해임도 이런 독특한 지배구조 때문에 가능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MS가 오픈AI 이사회에서 의석을 확보하려 하며, 이사회 구성원을 늘리고 이사들의 경험 수준을 높이는 방안 등을 통해 지배구조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2119

미 외식업계, 이민 단속 완화 촉구…“장기 근로자에 제한적 구제 필요”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685
KReporter 2025.07.03 0 685
42118

“엘리엇만 경치보며 한 입” 시애틀 워터프론트 인근 맛집 어디?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356
KReporter 2025.07.03 0 356
42117

연휴 시애틀 공항에 90만 인파 몰린다…미 전역 여행객 7천만 명 돌파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183
KReporter 2025.07.03 0 183
42116

WA 셸런 인근서 산불 급속 확산…2천 에이커 전소, 주민 대피령 발령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203
KReporter 2025.07.03 0 203
42115

워싱턴주 뷰리엔 인근 골프장서 총격…1명 사망·1명 부상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222
KReporter 2025.07.03 0 222
42114

미국인 58%만 "나라에 강한 자부심"…역대 최저치로 뚝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183
KReporter 2025.07.03 0 183
42113

요즘 젊은이들 술 안 마신다?…Z세대 음주 늘었다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173
KReporter 2025.07.03 0 173
42112

美 견조한 노동시장 지속에 국채금리 오르고 달러화 강세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119
KReporter 2025.07.03 0 119
42111

트럼프, 행정명령에서 북한을 '사이버 안보 위협국가'로 명시

KReporter | 2025.07.03 | Votes 0 | Views 56
KReporter 2025.07.03 0 56
42110

마이크로소프트, 9천명 정리해고 단행…전체 직원 4% 해당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1029
KReporter 2025.07.02 0 1029
42109

‘내 집 마련’ 점점 더 멀어진다…미국 청년들, 부모 집으로 돌아가는 이유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679
KReporter 2025.07.02 0 679
42108

WA 기름값, 버거보다 비싼 가격에 “가장 싼 주유소는 어디?”…일부 3달러대 확인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424
KReporter 2025.07.02 0 424
42107

7월부터 기름값·톨비·면허까지 줄줄이 인상…워싱턴주 지갑 압박 시작된다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402
KReporter 2025.07.02 0 402
42106

오리건주 대표 맛집 ‘부두 도넛’, 벨뷰 상륙…워싱턴주 3번째 매장 개점 임박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333
KReporter 2025.07.02 0 333
42105

트럼프 "흉악범죄자는 미국 국적자라도 쫓아내야…다음 과업"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270
KReporter 2025.07.02 0 270
42104

우크라, 美 무기지원 중단에 당혹…美대사관 차석 초치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143
KReporter 2025.07.02 0 143
42103

트럼프 행정부, 방과후학교 지원금 등 9조원 돌연 지급 보류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181
KReporter 2025.07.02 0 181
42102

트럼프 잇단 강경 발언에 속타는 日…당혹감 속 "상황 더 엄중"

KReporter | 2025.07.02 | Votes 0 | Views 70
KReporter 2025.07.02 0 70
42101

“잘했어!” 그 한마디가 아이를 바꾼다…자존감 키우는 9가지 칭찬법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291
KReporter 2025.07.01 0 291
42100

“아이와 함께 시애틀 나들이” 가족 맞춤형 30가지 체험 명소

KReporter | 2025.07.01 | Votes 1 | Views 283
KReporter 2025.07.01 1 283
42099

“신용카드 빚, 벗어날 수 있다” 재무 전문가가 전하는 현실적인 탈출법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376
KReporter 2025.07.01 0 376
42098

“현지 여성은 내치고 외국인만 채용” WA 대형 농장, 불법 차별 혐의 피소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366
KReporter 2025.07.01 0 366
42097

산불 위험 ‘최고 수준’…노스캐스케이드 국립공원 등 일대 소각 행위 전면 금지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117
KReporter 2025.07.01 0 117
42096

“가정집에 폭발물 투척”… 퓨얄럽 45세 남성 체포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181
KReporter 2025.07.01 0 181
42095

"곧 로봇이 사람보다 많아진다"…아마존, '자동화·AI' 물류혁신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238
KReporter 2025.07.01 0 238
42094

트럼프 취임 후 美관세수입 1천억달러 돌파…작년보다 65% 늘어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128
KReporter 2025.07.01 0 128
42093

트럼프-머스크, 감세 놓고 또 충돌…"돈줄 끊어야" "신당 필요"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125
KReporter 2025.07.01 0 125
42092

기후변화에 뉴노멀된 폭염…"유럽서 나흘새 4천500명 죽을 수도"

KReporter | 2025.07.01 | Votes 0 | Views 118
KReporter 2025.07.01 0 118
42091

시애틀 곳곳 대규모 불꽃놀이…7월 4일 주요 행사 총정리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287
KReporter 2025.06.30 0 287
42090

“기름값 5달러 코앞” WA, 독립기념일 앞두고 유류세·탄소세 ‘이중 폭탄’ (1)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241
KReporter 2025.06.30 0 241
42089

“수갑·족쇄 채워 헬기 이송” 타코마 ICE, 이민자 41명 알래스카 강제 이전 논란 (1)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357
KReporter 2025.06.30 0 357
42088

“사회보장 연금 반토막”…미국 정부, 7월부터 과지급액 본격 회수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452
KReporter 2025.06.30 0 452
42087

워싱턴주 낚시·사냥 면허 최저가, 오늘이 마지막! 7월부터 최대 38% 인상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213
KReporter 2025.06.30 0 213
42086

'예산삭감' 트럼프에 한국계 정치인 반기…"국세 전달 보류추진"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152
KReporter 2025.06.30 0 152
42085

美서 산불 지르고 출동한 소방관 향해 매복 총격…2명 사망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181
KReporter 2025.06.30 0 181
42084

폭염에 '차 안 아동 열사병' 경보…미국서 벌써 9명 사망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92
KReporter 2025.06.30 0 92
42083

베이조스 호화판 베니스 결혼식 비용 최대 760억원 추정

KReporter | 2025.06.30 | Votes 0 | Views 115
KReporter 2025.06.30 0 115
42082

‘천정부지 집값’ 드디어 꺾였다…시애틀 주택시장 2년 만에 하락 전환

KReporter | 2025.06.27 | Votes 0 | Views 1229
KReporter 2025.06.27 0 1229
42081

워싱턴주 7월 4일 불꽃놀이 금지 지역 및 안전수칙 총정리

KReporter | 2025.06.27 | Votes 0 | Views 591
KReporter 2025.06.27 0 591
42080

전 세계 1% 부자, 10년간 ‘4경6천조원’ 불렸다…10명 중 9명은 미국인

KReporter | 2025.06.27 | Votes 0 | Views 404
KReporter 2025.06.27 0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