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미국 연준을 바라보는 '세계의 눈'…금주 G20 절반 금리 결정

경제
작성자
KReporter
작성일
2023-09-18 08:55
조회
168

유가 등 물가 불안 지속…연준, 이번엔 동결·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

일본은 동결 전망…영국·스웨덴은 올리고 브라질은 인하할 듯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오는 19∼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 전 세계 중앙은행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 여부가 결정될 예정인 가운데 일본 등 다른 주요 경제권도 이번 주에 기준금리를 결정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앞서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 14일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연 4.5%로 0.25%포인트 올린 상태다.


 


다수 전문가는 미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동결하겠지만 연말 이전에 한 번 더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다는데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연준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과의 전쟁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강조할 경우 각국의 연쇄 금리 인상 등 긴축 유지 기조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

 

영국 런던 시내 환전판.

영국 런던 시내 환전판.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유가 강세 등 여전한 물가 우려

미국의 기준 금리는 지난 1년 넘게 꾸준히 오른 끝에 현재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연 5.25∼5.50%로 인상된 상태다.

이에 금융시장은 연준의 이달 금리 동결 가능성을 거의 확신해왔고 골드만삭스는 연준의 긴축통화정책이 종료된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이런 전망에 다소 변화가 생겼다.

국제유가가 연내 배럴당 100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유가가 들썩이는 등 여전히 물가가 출렁이면서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미국의 8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전달보다 0.3%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 4.3% 올랐으며 연준 목표치인 2%를 여전히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런 가운데 ECB는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연 4.5%로, 수신금리와 한계대출금리는 각각 연 4.0%와 연 4.75%로 0.25%포인트씩 올렸다. ECB는 작년 7월부터 10회 연속으로 금리를 인상했다.

ECB는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올해 5.6%, 내년 3.2%로 지난번 전망치보다 각각 0.2%포인트씩 올렸다. 여기에는 에너지 가격 상승이 반영됐다.

파월 美 연준 의장

파월 美 연준 의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고민에 빠진 연준

이에 연준이 연내에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소비지출 위축과 고용시장 냉각 등 인플레이션 둔화 촉진 요인이 여럿 있기 때문에 이번 통화정책 회의에서는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여전히 우세한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최근 "예상보다 뜨거운 물가 상승은 연준이 이달 금리 동결 이후 11월이나 12월에 다시 금리를 올릴 옵션을 열어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CNN방송도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11월에도 연준이 금리를 올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17일 골드만삭스의 보고서를 인용, 연준이 10월 31일∼11월 1일 회의에서도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작다고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11월에는 과열됐던 노동시장이 다시 균형을 잡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더 좋은 소식이 있을 수 있어 FOMC가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인상을 포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연준이 금리 정책과 관련해 딜레마에 빠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나친 금리 인상은 수요뿐만 아니라 공급에도 타격을 줘 오히려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루즈벨트연구소의 마이크 콘크잘 거시경제 분석팀장은 이날 블룸버그통신에 "과도한 긴축 통화정책은 주택 같은 특정 경제 분야에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몇 년 동안 인플레이션 목표를 2%로 지속 가능하게 되돌리기 위해서는 급격하게 성장을 억제하는 것보다는 절제된 성장 허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 연준에는 정책적 역설인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유럽중앙은행(ECB)

유럽중앙은행(ECB)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일본·중국 금리는 동결 전망

이런 상황 속에 이번 주는 전 세계 통화 정책 결정에서 매우 중요한 기간이 될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미 연준을 시작으로 22일 일본은행까지 주요 20개국(G20)의 절반에 달하는 국가가 기준금리 결정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고금리를 유지하려는 미국의 압박에 각국이 적응하는 가운데, 이번 통화정책 결정은 올해 남은 기간의 금리 동향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기조 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일본은 현재 주요국 가운데 유일하게 단기금리를 -0.1%로 운영하며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행은 지난 7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도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는 10년물 국채 금리의 상한 기준을 종전 0.5%에서 사실상 1.0% 수준으로 올렸지만 단기금리는 동결했다.

하지만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최근 임금 상승을 동반한 지속적인 물가 상승을 확신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마이너스 금리 해제도 여러 선택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이코노미스트들은 블룸버그 설문조사에서 일본은행의 이번 회의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일본은행의 정책입안자들은 연준의 금리 결정이 엔화를 포함한 지역 자산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면밀하게 살펴볼 것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은 보도했다.

경기 침체 우려가 짙어지고 있는 중국도 이번 주에는 대출 금리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 당국은 앞서 지난 15일 자로 6개월 만에 지급준비율을 0.25%포인트 인하했다. 앞서 중국인민은행은 작년 4월과 12월, 올해 3월 지준율을 0.25%포인트씩 낮춘 바 있다.

지난달 15일에는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 등의 금융 리스크 증대 우려 속에 정책금리인 1년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와 7일물 역레포 금리를 각각 0.15%p(2.65→2.5%)와 0.1%p(1.9→1.8%)로 전격 인하한 상태다.

일본 도쿄의 한 시장.

일본 도쿄의 한 시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영국 스웨덴 등 유럽 각국 줄줄이 인상 가능성

유럽 지역에서는 금리 인상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 대부분은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이 21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한다.

BOE는 지금까지 14차례 연속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해 왔으며 이번이 마지막 인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앤드루 베일리 BOE 총재는 이달 초 "금리가 아마도 주기의 정점에 가까워진 것 같다"고 말했다.

같은 날 스위스국립은행(SNB)도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추가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망했다.

이번에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역시 이번 긴축 사이클의 마지막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노르웨이와 스웨덴도 통화 정책을 긴축 상태로 더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블룸버그통신 설문조사에 따르면 튀르키예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약 5% 더 인상해 약 30%로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됐다.

아울러 인플레이션 압박에 시달리는 이집트도 금리 인상 대열에 가세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브라질은 지난달에 이어 2회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0.5%포인트 인하, 12.75%로 낮출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브라질의 월 물가상승률은 지난 6월 3.16% 이후 7월(3.99%), 8월(4.61%) 다소 나빠졌지만 작년 초 12%보다는 크게 낮아진 상태다.

 

연합뉴스 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전체 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7574

New 시애틀 시의회, 마약 소지를 범죄로 규정하는 법안 통과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184
KReporter 2023.09.20 0 184
37573

New 워싱턴 보건부, 새로운 ‘호흡기 질환 데이터 대시보드’ 공개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141
KReporter 2023.09.20 0 141
37572

New 한 달 만에 ‘7번째 강도’ 웨스트시애틀 스모크샵 주인 좌절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371
KReporter 2023.09.20 0 371
37571

New 이번주 토요일 워싱턴 국립 및 주립 공원 무료 입장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114
KReporter 2023.09.20 0 114
37570

New 시애틀 경찰, 차이나타운 불법 노점상 근절 위해 교통국과 협력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98
KReporter 2023.09.20 0 98
37569

New 미 연준, 기준금리 5.25∼5.50%로 동결…한미 금리차 최대 2%p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122
KReporter 2023.09.20 0 122
37568

New 미 불법이민 증가…멕시코 화물열차 지붕에 불법탑승해 국경行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138
KReporter 2023.09.20 0 138
37567

New 쇼핑시즌 대비한 미국 구인 2008년 이후 최저…아마존은 늘려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138
KReporter 2023.09.20 0 138
37566

New 쏟아지는 이민자에 분노한 뉴요커…시위 중 10명 체포 (1)

KReporter | 2023.09.20 | 추천 0 | 조회 204
KReporter 2023.09.20 0 204
37565

펜타닐 노출 사고로 피어스 카운티 아동 사망, 다른 한 명은 입원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754
KReporter 2023.09.19 0 754
37564

올림픽 국립공원 곳곳서 번개로 인한 산불 확산…주의보 발령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180
KReporter 2023.09.19 0 180
37563

킹 카운티 주유소 여직원, 강도 일당에 '무자비 폭행' 당해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665
KReporter 2023.09.19 0 665
37562

페더럴웨이 사립학교 전 학생, 교사 찾아와 흉기로 찔러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416
KReporter 2023.09.19 0 416
37561

터퀼라 I-5 드라이브 바이 총격, 최소 1명 부상·운전자 실종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335
KReporter 2023.09.19 0 335
37560

뉴욕 '어린이집 마약 사망사건' 파문…낮잠매트 주변서 펜타닐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325
KReporter 2023.09.19 0 325
37559

미국 국가부채 33조달러 사상 첫 돌파…셧다운 경고음 고조 (2)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326
KReporter 2023.09.19 0 326
37558

디즈니 "10년간 놀이공원·크루즈 사업에 80조원 투자 계획"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166
KReporter 2023.09.19 0 166
37557

미국 당국자 "중국압박 증가…미국, 전례없는 속도로 대만 방어력 강화"

KReporter | 2023.09.19 | 추천 0 | 조회 131
KReporter 2023.09.19 0 131
37556

레드몬드에서 ‘또’ 도난 차량으로 스매시앤그랩…주민들 우려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871
KReporter 2023.09.18 0 871
37555

USPS 직원으로 위장한 펜타닐 밀매업자 위험인물 체포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515
KReporter 2023.09.18 0 515
37554

시애틀 소도 지역서 다수의 총상 입은 70세 노인 발견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350
KReporter 2023.09.18 0 350
37553

킹 카운티 I-405 반대 차선 질주 차량 충돌...3명 사상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426
KReporter 2023.09.18 0 426
37552

사마미시 호수서 수상 비행기 추락 사고로 1명 사망, 1명 중상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237
KReporter 2023.09.18 0 237
37551

"미국 팬데믹 거치며 '창업도전' 증가 추세…폐업 비율도↑"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184
KReporter 2023.09.18 0 184
37550

트럼프 지지자 폭동 이후 불안한 미국 정치인들, 경호 비용 늘려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165
KReporter 2023.09.18 0 165
37549

중국 묶어두려는 미국, 북중러 결속 계속…정세급변에 중국 행보 촉각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105
KReporter 2023.09.18 0 105
37548

미국 연준을 바라보는 '세계의 눈'…금주 G20 절반 금리 결정

KReporter | 2023.09.18 | 추천 0 | 조회 168
KReporter 2023.09.18 0 168
37547

'31kg' 한인 여성 시신 발견…체포된 한인 6명의 공통점은?

KReporter2 | 2023.09.17 | 추천 0 | 조회 879
KReporter2 2023.09.17 0 879
37546

리비아 대홍수 사망자 1만1천300명으로 늘어

KReporter2 | 2023.09.17 | 추천 0 | 조회 148
KReporter2 2023.09.17 0 148
37545

"학폭 사망 사건에 책임"…美 교육당국, 360억원 배상 합의

KReporter2 | 2023.09.16 | 추천 0 | 조회 343
KReporter2 2023.09.16 0 343
37544

유가, 연중 최고치 경신…월가, 연내 100달러 돌파 전망 늘어

KReporter2 | 2023.09.16 | 추천 0 | 조회 154
KReporter2 2023.09.16 0 154
37543

네이버웹툰 '참교육', 인종차별 논란에 북미서 서비스 중단

KReporter2 | 2023.09.16 | 추천 1 | 조회 289
KReporter2 2023.09.16 1 289
37542

美 자동차 파업 승자는 머스크…'빅3' 비용증대 불가피

KReporter2 | 2023.09.16 | 추천 0 | 조회 202
KReporter2 2023.09.16 0 202
37541

구글 창업자 브린, '머스크와 불륜 의혹' 아내와 이혼 마무리

KReporter2 | 2023.09.16 | 추천 0 | 조회 355
KReporter2 2023.09.16 0 355
37540

워싱턴 주민 20만명 건강보험료 내년 급등…대형 보험사는 최대 10% 이상

KReporter | 2023.09.15 | 추천 0 | 조회 1087
KReporter 2023.09.15 0 1087
37539

"월링포드 부어스트 대축제" 15-16일 무료 40주년 행사로 귀환

KReporter | 2023.09.15 | 추천 0 | 조회 391
KReporter 2023.09.15 0 391
37538

레이크 워싱턴 호숫가에서 거대한 흰 철갑상어 발견

KReporter | 2023.09.15 | 추천 0 | 조회 680
KReporter 2023.09.15 0 680
37537

레드몬드 타운센터 근처에서 부상당한 곰 목격

KReporter | 2023.09.15 | 추천 0 | 조회 407
KReporter 2023.09.15 0 407
37536

링컨 파크 유명 트롤조각 작품 ‘브루니둔’에 바지 입혀논 낙서

KReporter | 2023.09.15 | 추천 0 | 조회 262
KReporter 2023.09.15 0 262
37535

시애틀 스모크샵 이번에는 ‘현대차’로 스매시앤그랩

KReporter | 2023.09.15 | 추천 0 | 조회 391
KReporter 2023.09.15 0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