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국가부채 '공포'에 요동치는 미국·일본 국채 시장…한국은?

Author
KReporter
Date
2025-05-22 05:38
Views
189

재정적자 우려…선진국 장기물 국채 금리 불안

영국·독일 국채 금리도 들썩…'채권자경단' 역할 주목

국고채 금리 변동폭은 제한적…하반기 2차 추경 논의 촉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을 비롯해 주요국 국채 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미국의 30년물 국채 금리는 '심리적 저항선'인 5%를 넘어섰고, 일각에서는 글로벌 국채 시장의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도 5%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일본 30년물 국채 금리는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으며 영국·독일 등의 장기물 국채 금리도 상승세다.

한국은 아직 국고채 금리 변동폭이 크지 않지만 대선 이후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논의가 본격화할 경우 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있다.

◇ '셀 아메리카' 공포 재점화할까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3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이날 전장 대비 12.3bp(1bp=0.01%포인트) 급등해 5.092%로 장을 마감했다. 이는 2023년 10월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4.599%로 전장 대비 11.2bp 올랐다. 앞서 블룸버그는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5%에 이를 가능성도 거론된다고 보도했다.

이날 모기지은행협회(MBA)가 발표한 지난주 미국의 30년 만기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는 6.92%로 3개월 사이 가장 높았다. 모기지 금리는 10년물 미 국채 금리를 추종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시간 22일 오후 4시 17분 기준 30년물과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5.088%, 4.579%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 속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밀어붙이고 있는 대규모 감세 법안이 시장 불안을 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 의회 합동조세위원회(KCT)는 감세 법안 통과 시 10년간 재정적자가 2조5천억달러(약 3천440조원) 이상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도 지난 16일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고 등급에서 한 단계 내리면서 재정적자 등을 그 이유로 들었다.

재정적자가 확대되면 국채 발행이 불가피하고, 국채 공급 증가는 국채 가격 하락(국채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날 160억 달러 규모의 20년물 미 국채 경매에서 수요가 부진했던 것도 국채 매도세에 '트리거'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경매에서 20년물 국채의 표면 금리는 2020년 20년물 재도입 후 최고인 5%를 기록했다.

시장 불확실성 속에 투자자들은 장기채 투자에 더 많은 수익률을 요구한 것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재무장관을 지낸 스티븐 므누신은 이날 "무역적자보다 재정적자가 더 우려"라면서 지출 삭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JP모건 등도 장기물 국채 금리 전망치를 올렸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6일 올해 말 10년물 미 국채 금리 전망치를 기존 4.0%에서 4.5%로 상향 조정했다.

이날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장중 99.336으로 약 2주 만의 최저치였다. 주요 10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측정하는 블룸버그 달러현물인덱스도 한달 만에 최저를 찍었다.

도이치방크의 조지 사라베로스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현 가격 수준에서 더는 미국의 쌍둥이 적자(무역적자·재정적자)에 자금을 대려 하지 않는다는 게 문제의 핵심"이라고 봤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일본도 감세 논의에 '적자 국채' 비상

재정적자 우려에 직면한 일본과 유럽 등의 장기물 국채 금리도 상승세다.

21일 일본의 초장기물 국채 금리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 중 한때 30년물과 40년물 국채 금리가 각각 3.185%, 3.635%까지 치솟은 것이다.

이들 국채 금리는 한국시간 22일 오후 4시 17분 기준 3.151%, 3.659%로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7월 참의원(상원)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에서 소비세 감세 논의가 나오면서 부족해진 사회보장 재원을 적자 국채로 메울 것이라는 관측에 장기물 국채 금리가 올랐다고 해석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최근 일본의 재정 상황에 대해 "매우 좋지 않다"면서 "그리스보다 좋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아사히 신문은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일본의 2023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250%로 그리스가 재정 위기에 직면했던 2009년의 127%보다 훨씬 높다고 짚었다.

로이터 통신은 20일 일본의 20년물 국채 경매에서 수요가 부진했던 점도 국채 매도를 부채질했다면서, 앞으로 예정된 30년물 및 40년물 국채 경매를 앞두고 시장 심리가 가라앉은 상태라고 전했다.

장기물 국채 금리 상승 시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어려워지고 일본 정부의 이자 지급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독일 연방의회

독일 연방의회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영국·독일 국채 금리도 가파른 상승세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채권 매도세 속에 지난달 9일 30년물 국채 금리가 장중 5.63%까지 오르며 1998년 이후 최고치를 찍은 데 이어 최근 다시 장기물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영국 3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21일 전장 대비 6.1bp 오른 5.516%를 기록했고, 한국시간 22일 오후 4시 17분 기준 5.540%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는 2022년 리즈 트러스 내각 당시 대규모 감세안을 내세운 '트러스노믹스'로 채권 시장이 발작했을 때보다 높은 수준이다.

영국 국채 가격은 미국 국채 가격과 연동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만큼 미국 시장 불안의 영향을 받았다. 또 영국 경기침체와 물가 상승, 영국 정부의 높은 차입 수요 등이 불안 요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유럽연합(EU) 주요국인 독일의 경우 지난 3월 독일 정부의 천문학적 규모의 '돈 풀기' 정책 여파로 국채 투매세가 촉발됐으며 최근 다시 국채 금리가 오르고 있다.

독일 3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3월 14일 3.199% 수준까지 올랐다가 이후 하락했는데, 최근 상승세 속에 21일에는 전장 대비 4.7bp 오른 3.133%를 기록했고, 한국시간 22일 오후 4시 17분 기준 3.150%다.

JP모건자산운용의 프리야 미스라는 "채권시장이 정책결정자들에게 재정 건전성 문제를 너무 오랫동안 무시할 수 없음을 경고한다"고 짚었다.

이어 "이러한 공포가 채권시장뿐만 아니라 위험 심리와 증권시장을 사로잡고 있고 신용시장도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세계적으로 투자자들이 각국 정부에 장기로 돈을 빌려주기를 꺼려하고 있다면서 '채권 자경단'이 활동에 나서고 있다고 평가했다.

채권 자경단은 정부의 재정·통화 정책에 문제가 있거나 인플레이션 징후가 나타날 경우 국채를 대량으로 매도하는 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투자자들을 가리킨다.

◇ 한국은 아직 금리 변동폭 크지 않아…추경 논의 주목

일단 한국의 국고채 금리는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의 국채 금리 '요동'에도 아직 큰 움직임은 없다.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다음 날인 22일 중단기물 금리는 오히려 하락했다. 20년물과 30년물 금리는 상승했지만 변동폭은 0.2∼0.3bp 정도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한국과 미국 간 국채 금리가 비동조화하는 흐름을 보여온 데다, 국내 시장은 경제 성장 둔화로 금리 인하 사이클로 접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현행 연 2.75%인 기준금리를 연내 연 2.00%까지 인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울러 원화 가치가 저평가돼 있다는 인식에 일부 외국인 투자자가 환헤지 없이 현물 채권을 매수하면서 그간 국내 채권 시장의 투자수익률이 주요국 대비 좋았던 점도 이유로 꼽힌다.

다만 시장에서는 하반기 2차 추경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추경을 중심으로 내년 예산까지 확대 재정이 편성될 경우 국채 공급이 증가할 수 있어서다.

아울러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시기가 내년으로 지연된 점도 국고채 금리가 추가로 상승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지난달 국채 선물을 약 35조원 순매수했던 외국인 투자자도 이달 들어 국채 선물에 대해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22일 현재까지 3년 국채 선물을 7조3천710억원, 10년 국채 선물은 8조7천670억원을 각각 순매도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어려운 경기 여건 속에 금리 인하 기대가 확대됐으나, 대선 전후 확대 재정 압력을 반영해야 할 것"이라며 "연내 기준금리 인하 폭은 2.0%까지 열어둬야 하나 8월 예정된 2026년 예산 결정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1957

'LA시위' 5일째 소요 다소 누그러져…뉴욕 등 美 곳곳 시위 확산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143
KReporter 2025.06.11 0 143
41956

다음주 미국 금리동결은 '기정사실'…5월 CPI에 쏠린 눈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113
KReporter 2025.06.11 0 113
41955

美복지부 예산안, 조직 통폐합·CDC예산 칼질…"공중보건 우려"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69
KReporter 2025.06.11 0 69
41954

트럼프에 꼬리 내린 머스크…"내가 너무 나갔다"

KReporter | 2025.06.11 | Votes 0 | Views 156
KReporter 2025.06.11 0 156
41953

2025년 여름, 미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는 인턴십 직종은?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677
KReporter 2025.06.10 0 677
41952

남성 인구 급증한 시애틀, 미 도시 중 ‘최고의 남초 도시’로 떠올라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03
KReporter 2025.06.10 0 303
41951

시애틀 등 미국 전역서 ‘NO KINGS’ 반트럼프 시위 예고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10
KReporter 2025.06.10 0 310
41950

미국 주택 소유 ‘숨겨진 비용’은 얼마?…워싱턴주 연평균 상위권 기록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49
KReporter 2025.06.10 0 349
41949

시애틀 도심서 ICE 급습 항의 행진…노조 지도자 석방 촉구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346
KReporter 2025.06.10 0 346
41948

사우스 시애틀서 싸움 중 '산탄총' 피격 남성 발견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190
KReporter 2025.06.10 0 190
41947

LA시위 강경대응에 머스크 다시 '트럼프 칭송 모드'…화해 신호?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229
KReporter 2025.06.10 0 229
41946

트럼프 장남 'LA폭동 한인자경단' 소환…한인회 "트라우마 이용말라"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218
KReporter 2025.06.10 0 218
41945

도요타, 자사 판매망서 미국차 판매 美관세협상 카드로 제안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125
KReporter 2025.06.10 0 125
41944

대서양 금 수송…JP모건 등 월가 '골드 특수'

KReporter | 2025.06.10 | Votes 0 | Views 80
KReporter 2025.06.10 0 80
41943

워싱턴주서 판매된 달걀 리콜…살모넬라 집단감염 우려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610
KReporter 2025.06.09 0 610
41942

“여름철 I-5 극심한 정체 우려”…시애틀 브리지 전면 통제 예고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323
KReporter 2025.06.09 0 323
41941

폭염 속 강·호수 물놀이 '매우 위험'…냉방된 실내 이용 권장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192
KReporter 2025.06.09 0 192
41940

서부 워싱턴 곳곳서 기온 신기록…시택 공항 90도 기록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230
KReporter 2025.06.09 0 230
41939

LA경찰, 다운타운 전역 집회금지…"당장 떠나라"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193
KReporter 2025.06.09 0 193
41938

글로벌 기업들, '트럼프 복수세' 반발…"무역전쟁 새 전선"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144
KReporter 2025.06.09 0 144
41937

트럼프, 머스크 비난할 땐 수위 조절…측근에 입단속 지시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169
KReporter 2025.06.09 0 169
41936

美, 12개국 대상 입국 금지령 발효…"기존 비자 소유자는 제외"

KReporter | 2025.06.09 | Votes 0 | Views 151
KReporter 2025.06.09 0 151
41935

"비싸도 자리가 없다"…시애틀 썸머캠프 등록 전쟁, 학부모들 ‘한숨’

KReporter | 2025.06.06 | Votes 1 | Views 923
KReporter 2025.06.06 1 923
41934

WA 유학생, 경제 1조원대 '효자' 역할…비자 규제 확산에 불안감 고조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443
KReporter 2025.06.06 0 443
41933

워싱턴주서 코로나19 신종 하위변이 확인…감염 사례 14건 적발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401
KReporter 2025.06.06 0 401
41932

워싱턴주 곳곳 '가뭄 비상사태' 확대…여름 물부족 우려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289
KReporter 2025.06.06 0 289
41931

한미정상, 첫 통화…"양국 만족할 조속한 관세 합의 노력키로"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201
KReporter 2025.06.06 0 201
41930

트럼프-머스크 비난전 속 파국…"정부계약 취소" vs "탄핵 예스"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245
KReporter 2025.06.06 0 245
41929

美, 한국 등 9개국 환율관찰대상국 지정…"향후 심사 더 강화"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100
KReporter 2025.06.06 0 100
41928

'관세 휴전 속 갈등' 트럼프-시진핑, 90분 통화…후속 협상 합의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63
KReporter 2025.06.06 0 63
41927

美, '비행기 탑승객 감시' 프로그램 10여년만에 공식 중단

KReporter | 2025.06.06 | Votes 0 | Views 302
KReporter 2025.06.06 0 302
41926

워싱턴주 고소득자 연소득 ‘50만 달러’ 육박…미국 상위권 기록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871
KReporter 2025.06.05 0 871
41925

“집값도, 이자도 부담”… 시애틀 주택 시장, 금리·경제 불안에 ‘급랭’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435
KReporter 2025.06.05 0 435
41924

시애틀, 주말까지 기온 상승…80도 후반에서 90도 초반 전망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334
KReporter 2025.06.05 0 334
41923

“가솔린 차량 금지” 물거품 위기…WA 전기차 의무판매 근거 흔들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432
KReporter 2025.06.05 0 432
41922

워싱턴주 공화당, 우편투표 폐지 추진…“투명성 회복해야”

KReporter | 2025.06.05 | Votes 1 | Views 130
KReporter 2025.06.05 1 130
41921

벨뷰 경찰, 과속 집중 단속…300건 적발, 8명 체포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254
KReporter 2025.06.05 0 254
41920

“캠핑장서 딸 셋 살해” WA 군 배테랑, 정신질환 이력 속 도주 중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795
KReporter 2025.06.05 0 795
41919

트럼프 관세 인상만큼 재빨리 가격 올린 미국 기업들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210
KReporter 2025.06.05 0 210
41918

"출생 반대" 美난임클리닉 테러 공모 '한국계 추정 30대' 체포

KReporter | 2025.06.05 | Votes 0 | Views 188
KReporter 2025.06.05 0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