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4년에 돈 바닥…메디케어·사회보장기금 고갈 시점 앞당겨져
미국의 대표적 복지제도인 메디케어(Medicare)와 사회보장제도(Social Security)의 기금 고갈 시점이 기존 예상보다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가속과 의료비 급등, 최근의 복지확대 법안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미 재무부 등 6개 부처가 공동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병원보험(HI) 신탁기금으로 운영되는 메디케어는 2036년이던 고갈 예상 시점이 2033년으로 3년 앞당겨졌다. 고갈 이후엔 환자 입원과 호스피스, 요양병원 이용 등에 필요한 비용의 89%만 지급 가능해질 전망이다.
사회보장기금도 상황은 비슷하다. 기존 예상보다 1년 앞선 2034년에 기금이 바닥날 것으로 예측되며, 이후부터는 수급자들에게 지급되는 연금이 현재보다 약 81% 수준으로 줄어들 수 있다. 사회보장제도에는 현재 약 6,800만 명이 가입돼 있다.
보고서는 “현행법에 따른 추계로도 메디케어는 여전히 심각한 재정 적자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할 추가 입법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또 “개혁이 지연될수록 수혜자와 제공기관, 납세자에 미치는 충격이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메디케어 병원보험기금은 지난해 약 29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2027년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돼 2033년 완전 고갈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2025 딸기 U-PICK! 워싱턴주 농장 리스트
2025 여름 시애틀 무료 야외 영화 가이드
높은 수익률 보장! 가장 안전한 미국 투자처 8가지
미 평균 은퇴소득은 얼마? "WA 벨뷰 전국 2위"
"공항 충전기, 와이파이 함부로 쓰지 마세요" TSA 경고
한편, 올해 1월 발효된 '사회보장 형평법(Social Security Fairness Act)'도 사회보장기금 고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해당 법안은 과거의 ‘풍선효과 조정 조항’과 ‘공무원 연금 상쇄조항’을 폐지하며 일부 근로자의 수령액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보수 성향 싱크탱크인 케이토연구소(CATO Institute)의 로미나 보치아 국장은 “이번 법안은 개혁을 가장한 정치적 선심성 조치일 뿐”이라며, “문제의 구조적 원인에는 손도 대지 않은 채 소수에게 혜택만 늘려 신탁기금의 고갈을 앞당겼다”고 비판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은 메디케어나 사회보장제도 축소는 없다고 밝히면서도, 연방정부 지출은 감축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사회보장국 신임 국장 프랭크 비시그나노는 성명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가 신탁기금의 재정 건전성 확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국가부채 증가의 가장 큰 요인으로 메디케어와 사회보장제도 지출 확대를 꼽는다. 고령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는 가운데, 복지기금의 구조 개편 없이 현 수준의 급여가 유지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현지 정치권에서도 다양한 개혁안이 제출되고 있지만, 고령 유권자의 표심과 맞물린 문제인 만큼 실질적 논의 진전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Copyright@KSEATT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