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애틀 워싱턴 뉴스

세계 경제 '급소' 확인한 중국…머스크 로봇도 희토류 영향권

Author
KReporter
Date
2025-06-12 06:04
Views
140

자동차·방산·로봇 산업 등 줄줄이 타격

"중국, 향후에도 희토류 무기화 가능성"




희토류 금속을 함유한 합금. 기사와 상관없는 자료사진입니다.

희토류 금속을 함유한 합금. 기사와 상관없는 자료사진입니다.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무역전쟁에서 중국이 꺼내든 희토류 카드의 위력이 확인되면서 중국이 향후에도 이를 협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11일(현지시간)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로 자동차·방산 등 주요 산업이 타격을 받고 미국을 비롯한 각국이 고통을 체감했다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자동차 업체 미국 포드와 일본 스즈키가 생산 속도를 낮춰야 했고, 독일 폭스바겐은 협력사들에 희토류 함량이 적은 부품 등 대체재를 찾도록 요청했다고 한 소식통은 전했다.

제너럴모터스(GM)를 비롯한 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희토류가 들어가는 부품의 생산을 중국으로 이전하는 방안까지 고려했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도 있다.

독일 자석 제조업체 마그노스피어 측은 "자동차 산업 전체가 완전한 패닉 상태"라고 전했다.

희토류 자석이 들어가는 드론, F-35 전투기 등 방산 산업과 로봇 산업도 희토류 쇼크의 여파를 피해 가지 못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를 만드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4월 어닝콜에서 "옵티머스는 중국발 희토류 자석 이슈로 영향을 받고 있다. 로봇 팔 부분의 작동기에 영구자석을 쓰기 때문"이라고 말한 바 있다.



테슬라 로보택시 공개 행사에서 소개된 로봇 옵티머스. 기사와 상관없는 자료사진입니다

테슬라 로보택시 공개 행사에서 소개된 로봇 옵티머스. 기사와 상관없는 자료사진입니다

[테슬라(Tesla)/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F-35 전투기 등에 필수적인 영구 자석의 경우 지난해 중국의 수출액이 29억 달러(약 4조원) 규모에 달한다.

올 1월 백악관에 복귀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와 제조업 부흥을 내걸고 취임 직후부터 관세 정책을 밀어붙였다. 특히 4월 초 발표한 상호관세 등을 통해 취임 후 중국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대응해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까지 끌어올린 데 이어 희토류 7종에 대한 수출 통제에 나섰다.

지난달 양국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무역 협상을 통해 90일간 관세를 115% 포인트씩 낮추고 비관세 장벽을 없애기로 했지만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는 유지됐다.

이후 미중 정상 통화 이후 양국은 이달 9∼10일 열린 2차 무역 협상에서 1차 회담 합의를 이행할 프레임워크 도출에 합의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이번 프레임워크가 제네바 합의에 "구체적인 내용을 추가한 것"이라며 "이로 인해 중국의 핵심 광물·희토류 수출 통제 및 최근 도입된 미국의 (중국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가 해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련의 미중 무역 협상 과정은 중국이 희토류 시장에서의 우위를 이용해 얼마나 신속하게 상대방의 양보를 끌어낼 수 있는지 보여준 것이라는 시장 평가가 나온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밴티지마켓츠의 헤베 첸 애널리스트는 "미국이 무역 협상 재개에서 주도권을 잡은 것처럼 보였지만 중국이 조용히 우위를 확보했을 수 있다"면서 "중국은 협상의 균형점을 옮기기 위해 희토류 지배력을 무기화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무역협상

지난달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무역협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에서 희토류 자석용 합금을 생산하는 호주 광산기업 ASM의 로위나 스미스 CEO는 "전화기에서 불이 났다"면서 "미국뿐만 아니라 모두가 영향을 받았다"고 전했다.

WSJ은 중국이 미국 기업을 상대로 희토류 수출을 재개하기로 하면서도 허가 기간을 6개월로 한정했다면서 향후 미중 긴장이 다시 고조되면 수출 제한이 또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의 희토류 카드는 미중 관계뿐만 아니라 향후 중국의 모든 협상 과정에서 '다모클레스의 검'(일촉즉발의 절박한 상황)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컨설팅업체 로디움그룹의 노아 바킨은 "중국이 지난 몇 달간 희토류 수출 승인 속도를 늦추는 식으로 유럽에 '필요하다면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명확한 메시지를 보냈다"고 해석했다.

중국은 2010년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영유권 분쟁 당시에도 일본을 상대로 희토류 수출 통제에 나선 바 있다.

다만 중국이 단기적으로 희토류 분야 우위를 유지하더라도 영원히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중국의 이번 수출 통제를 계기로 각국이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중국 밖에서 희토류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연합뉴스제공 (케이시애틀 제휴사)

Total Reply 0

Number Title Author Date Votes Views
42167

"미국 부모들 무너진다"…육아비용 부담, 국민 75% “심각한 사회 문제”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859
KReporter 2025.07.11 0 859
42166

퓨젯사운드 주요 고속도로 대규모 통제…7월 11일~14일 주말 대혼잡 예고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1090
KReporter 2025.07.11 0 1090
42165

서부 워싱턴, 다음 주 90도 육박 폭염 예고…주민들 대비 필요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753
KReporter 2025.07.11 0 753
42164

시애틀 워터프론트 명소 대변신! 7월 25일 가족 놀이터로 전면 개장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624
KReporter 2025.07.11 0 624
42163

워싱턴주, 북미 최대 하이브리드 전기 페리 ‘웨나치호’ 첫 운항 개시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177
KReporter 2025.07.11 0 177
42162

화산인가, 우연인가…레이니어산 지하서 정체불명 진동 300회 넘게 발생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329
KReporter 2025.07.11 0 329
42161

러 "트럼프가 예고한 '중대성명' 기다리고 있어"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157
KReporter 2025.07.11 0 157
42160

'뜨거운 지구' 패션산업도 바꾼다…유니클로 "3월부터 여름옷"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267
KReporter 2025.07.11 0 267
42159

'美관세' 브라질 커피 韓수출 늘리나…공급가 하락 가능성 주목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75
KReporter 2025.07.11 0 75
42158

中외교, '관세폭탄' 맞은 아세안에 "함께 아시아 부흥시키자"

KReporter | 2025.07.11 | Votes 0 | Views 60
KReporter 2025.07.11 0 60
42157

미국 부동산 소유권 확인, 직접 할 수 있다…5단계로 보는 타이틀 검색 절차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420
KReporter 2025.07.10 0 420
42156

“레스토랑 직원도 억대 연봉 가능”…미 외식업계, 인재 확보 총력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756
KReporter 2025.07.10 0 756
42155

워싱턴주, 트럼프 행정부 SNAP 예산 삭감에 ‘비상’…저소득층 타격 불가피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487
KReporter 2025.07.10 0 487
42154

“공공 신뢰 회복이 최우선”…숀 반스, 시애틀 경찰국장 공식 취임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107
KReporter 2025.07.10 0 107
42153

서부 워싱턴 쓰레기 수거 중단…리퍼블릭 서비스 파업 확산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564
KReporter 2025.07.10 0 564
42152

WA 메이슨 카운티 산불 50여 가구 위협, 대피 명령 발령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112
KReporter 2025.07.10 0 112
42151

트럼프, '관세효과' 주장하며 또 연준 압박…"금리 빨리 내려라"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90
KReporter 2025.07.10 0 90
42150

美국방장관 前고문 "주한미군 전투병력 대폭 줄여 1만명만 둬야"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113
KReporter 2025.07.10 0 113
42149

교역국 500% 관세안에도…러 "美 추가제재로 상황 급변 안한다"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51
KReporter 2025.07.10 0 51
42148

2000년에 퇴치 선언했는데…美 홍역 발생 25년만에 최고

KReporter | 2025.07.10 | Votes 0 | Views 66
KReporter 2025.07.10 0 66
42147

워싱턴주 대부분 카운티서 아동보다 노인 인구 많아져…인구 구조 급변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253
KReporter 2025.07.09 0 253
42146

“전국 최고 배달비” 낙인…시애틀, 도어대시 서비스 요금 또 인상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441
KReporter 2025.07.09 0 441
42145

이번 주말 퓨젯사운드 고속도로 대규모 통제…“운전자들 사전 대비 필요”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463
KReporter 2025.07.09 0 463
42144

레이니어산 수백 차례 지진 발생…당국 “우려할 수준은 아냐”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296
KReporter 2025.07.09 0 296
42143

시애틀 차이나타운 차량서 던진 폭죽에 남성 얼굴 부상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192
KReporter 2025.07.09 0 192
42142

미 의약품 최대 200% 관세 예고…제약업계 대응책 마련 고심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187
KReporter 2025.07.09 0 187
42141

"머스크의 스페이스X, 기업가치 500조원대로 주식거래 추진"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180
KReporter 2025.07.09 0 180
42140

한국인 10명중 9명 "美 가장 중요동맹"…최대위협 응답은 13%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161
KReporter 2025.07.09 0 161
42139

'초호화 결혼식' 베이조스, 아마존 주식 9천억원어치 추가 처분

KReporter | 2025.07.09 | Votes 0 | Views 131
KReporter 2025.07.09 0 131
42138

미 주택시장, 일반 구매자 주춤하자 투자자 비중 ‘껑충’…4채 중 1채는 투자용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732
KReporter 2025.07.08 0 732
42137

“누구인지도 모르고 잡아갔다” 화이트센터, ‘ICE 체포’ 불분명에 주민 불안 고조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1111
KReporter 2025.07.08 0 1111
42136

코스트코 유명 제품 10여 개 품목 리콜…화재·오염·부상 위험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1017
KReporter 2025.07.08 0 1017
42135

TSA, 공항 보안검색 절차 대폭 완화…신발 벗는 관행 폐지 시작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384
KReporter 2025.07.08 0 384
42134

광견병 박쥐, 스포캔카운티서 인간에 노출…3명 긴급 치료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142
KReporter 2025.07.08 0 142
42133

트럼프, 韓日에 상호관세 서한…이번에도 '동맹'이 최우선 표적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115
KReporter 2025.07.08 0 115
42132

美 LA 공원서 軍동원 이민자 단속 작전…"도심에 공포 분위기"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252
KReporter 2025.07.08 0 252
42131

"68억원짜리 트럼프 '골드카드 영주권' 현실화 안 될 수도"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361
KReporter 2025.07.08 0 361
42130

휴전 협상 중에도 가자지구서 사상자 속출…"105명 사망"

KReporter | 2025.07.08 | Votes 0 | Views 57
KReporter 2025.07.08 0 57
42129

미국서 ‘주택 자산 투자’ 관심 증가…부채 부담 없이 현금 확보 가능

KReporter | 2025.07.07 | Votes 0 | Views 496
KReporter 2025.07.07 0 496
42128

WA 주택 중간가격 67만 달러 돌파…매물은 2022년 이후 최대폭 증가

KReporter | 2025.07.07 | Votes 0 | Views 280
KReporter 2025.07.07 0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