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거, 할인 품목 '정가 청구' 논란…전국서 가격 오류 다수 적발
미국 대형 유통업체 크로거(Kroger)가 할인 또는 세일로 표시된 상품에 대해 실제 계산대에서는 정가를 청구한 사실이 다수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소비자 전문 매체 컨슈머리포트는 가디언(The Guardian), 식품환경보도네트워크(FERN)와 공동 진행한 조사 결과, 크로거가 운영하는 대형 마트에서 수백 건의 가격표 오류가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컨슈머리포트는 크로거 및 계열사(해리스 티터, 프레드 마이어, 프라이스, 랄프스 등) 매장 2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50종 이상의 식료품과 생활용품에서 할인 기간이 지난 가격표가 그대로 부착돼 있어 실제 구매 시 고객이 초과 요금을 지불하는 사례가 확인됐다.
조사 대상 품목에는 쇠고기, 연어, 주스, 채소, 감기약, 반려견 사료, 시리얼, 커피 등이 포함됐으며, 일부 가격표는 할인 종료일로부터 90일이 지난 경우도 있었다. 품목당 평균 초과 청구 금액은 1.70달러로, 정가 대비 평균 18.4% 비싸게 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콜로라도주에서 근무 중인 크로거 직원들이 노조와의 단체협상 과정에서 매장 내 가격표 오류가 만연하다고 주장한 것이 이번 조사의 계기가 됐다.
이와 관련해 크로거 측은 “저렴하고 정확한 가격 제공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으며, 매주 수백만 개 품목의 가격을 점검하고 있다”면서도 “컨슈머리포트가 제기한 문제는 수십억 건의 거래 중 일부 사례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회사는 또 “모든 가격 오류는 유감이지만, 전국적 문제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현장 직원들이 정책에 따라 고객 불만이 접수되면 즉시 가격을 조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매장 직원들은 반복적인 인력 감축으로 인해 가격표를 제때 교체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컨슈머리포트에 따르면 크로거 계열 매장에서 2019년부터 2024년 사이 직원 수는 평균 10.3% 줄었고, 근무 시간도 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8년째 콜로라도주 덴버 교외의 킹 수퍼스 매장에서 근무 중인 직원 조이 알렉산더는 “많은 고객들이 고정 수입으로 생활하고 나이가 많아 가격표를 자세히 살펴보지 않는다”며 “2.50달러로 알고 상품을 집었는데 계산대에서는 3.75달러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컨슈머리포트 측은 “수천 개의 가격표가 걸려 있는 매장에서 인력 부족으로 인한 가격 오류는 구조적인 문제”라며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격 운영 시스템을 위한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크로거는 캘리포니아, 일리노이, 오하이오, 유타 등지에서 가격 오류와 관련된 집단소송의 대상이 된 바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연방정부가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KSEATTLE.com